중국 IT기업의 전망과 현황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IT기업의 전망과 현황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 주요IT기업 시장동향

Ⅲ. 중국 IT시장 환경분석 및 투자방향
1. WCDMA 중국 발전현황 및 동향
2. TD-SCDMA 신속한 상용화

Ⅳ. 분야별 IT시장 동향
1. 하드웨어 시장
2. 소프트웨어 시장
3. 통신시장
4. 무선시내전화(PHS)
5. 국내외 공중전화 서비스 운영 및 미래 발전모델
6. 광통신시장 활성화
7. 중국 핸드폰시장 4대동향
8. 투자건설
9. 최신응용 및 중국시장 발전동향(포커스 DSP)분석

Ⅴ. 결 론

본문내용

산업의 발전은 자동차용 전자제품의 발전을 동반한다. 해외에서 자동차용 전자제품은 전체 자동차 비용의 30%를 차지한다. 중국은 현재 전체 자동차 비용의 15%~20%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용 전자제품에는 자동차 내의 오락설비, 원격정보처리와 자동제어 등으로 이런 설비는 DSP와 관련 있다.
25년간의 발전을 거쳐 DSP칩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현재 국제 시장에는 DSP 칩의 설계와 제조, DSP 개발 Tool의 연구생산, 응용, 컨설팅 등을 망라한 DSP 산업사슬이 형성되었다. 전 세계에는 TI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사용자가 5만 여명이나 되는데 DSP는 이 시스템과의 호환이 용이하다. DSP 관련 부대 업무는 Third Party라 불리는 650여 개의 작은 회사들이 맡고 있다. 그들은 DSP를 기반으로 하는 수 천 여종의 제품을 생산한다. DSP 칩 산업화 관련 업무는 다음과 같다.
DSP 개발Tool에는 각종 모조 소프트웨어, debug,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조기, 평가보드, 초보자 실험용 세트, 학습용 세트 등이 포함된다.
DSP 응용 소프트웨어에는 국제표준에 부합되는 음성, 이미지, 영상신호, 데이터 통신 등이 포함된다. 대다수의 회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G.711, G.722, G.726, G.728, G.723, G.729등 DSP코딩이 바로 ITU-TG 시리즈 음성 압축 코딩표준에 속한다. 가청주파수 코딩에는 MPEG1,2,4의 MP3와 AAC,Dolby의 AC-3 등이 있고 이미지(영상)코딩에는 JPEG, JPEG2000, H.261, H.263, H.264 등이 속한다. 전송속도 관련 데이터 통신 분야에는 Modem, xDSL, Cable Modem 외에 회음 상쇄와 DTMF 등의 시장 잠재력 또한 크다.
중국 DSP 응용은 국제 DSP 기술발전과 발맞추어 왔다. DSP칩이 처음 세상에 나왔을 때 중국에는 이미 DSP칩을 응용하고 판매하는 회사가 있었다. 중국사회의 디지털화와 정보화, 그리고 중국경제의 지속적이고 안정된 발전이 전자정보산업과 시장의 급속한 발전을 촉진하였음은 물론 DSP의 광범위한 응용을 촉진하였다. 2002년 전세계 경제가 불황에 허덕일 때 중국의 DSP 매출액은 93억위엔으로 전년도 대비 46.7% 증가하였다.
2002년 중국시장에서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등 DSP 제품의 수요가 급증하여 중국 DSP시장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디지털 전자제품이 판매 성수기에 진입,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였고 제품 인지도와 보급율 또한 대폭 제고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전자제품 시장의 고속성장은 DSP시장의 고속적인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이밖에 컴퓨터, 통신 전자제품의 디지털화 추세도 DSP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하는 VoIP, Internet Audio, DSL, Cable Modem, 3G, 디지털 카메라와 모터 제어 등 응용분야에서도 DSP가 응용되고 있다.
현재 중국 DSP 응용은 주로 모바일 분야에 집중되어 있지만 중국 디지털 제품에 대한 수요 급증과 디지털 신호에 대한 DSP의 고속연산 및 실시간(동시) 처리능력이 제고됨에 따라 DSP의 응용 분야도 점차 모바일 분야에서 다른 디지털 제품분야로 확대됨으로써 DSP의 사용분야 또한 3C (Consumer Electronic Computer Communication)의 모든 분야로 확대될 것이며, 그 분포도 점차 균형을 이루게 될 것이다. DSP 칩은 디지털 제품에서 그래픽 압축과 전송 등 그래픽 신호처리와 음성코딩, 합성, 식별, 음향효과 등 음성신호처리 및 통신신호의 변복조, 부호화, OFDM, Spread Spectrum, 교정(put right) 코딩 등에 쓰인다.
중국 전자정보 제품시장의 DSP에 대한 수요는 꾸준한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중국 내수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향후 5년 안에 중국 DSP 매출액은 연평균 28% 이상의 복식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카메라, IP전화, 모바일, 전자설비에 대한 수요 증가가 DSP칩에 대한 수요를 증폭시켜 중국은 이미 DSP 칩의 최대 시장으로 부상하였다. 2000년 중국의 DSP칩의 시장 수요는 2.5억 개였으며 이듬해인 2001년에는 3.29억 개로 증가폭이 40%에 달했다. 2007년 DSP시장 성장율은 50% 이상을 웃돌 것이며 시장 총 수요량도 13억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 매출액은 318.8억위엔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약 30억달러에 달하는 것이다.
Ⅴ. 결 론
중국 시장은 우리에게 있어서 매우 큰 기회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업은 중국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특히 IT 분야의 중소/벤처기업의 경우에도 약 2~3년 전부터 중국 진출을 시도해 온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업체들이 사전 준비기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시장이 가지는 매력에 흡수되듯 중국 시장에 진출하거나, 중국 시장이 우리나라 시장과 비교하여 기술적, 경제적으로 후진성을 보이고 있다는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않은 시각을 가지고 중국 시장을 대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서 실패를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분명한 것은, 중국은 여전히 정부의 시장 개입이 절대적인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며, 선진국 및 다국적 기업, 혹은 우리나라 기업의 기존 진출 사례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시장에 대한 정보 및 경영/사업 환경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의 IT 산업은 최근 매우 높은 수준의 성장률을 보여 왔으며, 향후 몇 년간은 아/태 지역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 중국 IT 산업을 포함한 경제 환경변화에 대한 전망은 다소 여러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나 주요한 견해는 중국 IT 산업 및 중국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외국 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통신 산업은 GDP의 두배 정도의 성장을 보이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으며, 통신산업 중에서도 이동통신 분야와 광대역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시장조사업체들은 예측하고 있다.

키워드

중국,   IT,   it,   it시장,   it시장전망,   it시장동향,   IT시장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2.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5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