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의 고령층의 정보 격차 실태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 정보격차에 대한 개념과 범주
(2) 정보격차에 이론적 접근
① 확산이론(diffusion theory) 모델
② 결정적 다수(critical mass) 모델
(3) 매체적 관점에서 본 정보격차 연구
① 지식격차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모델
② 인터넷과 정보격차에 관한 기존 연구
(4) 디지털 디바이드 (Digital divide)
① 디지털 디바이드의 개념
② 보편적 서비스와 디지털 디바이드
③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디바이드
④ 디지털격차(Information Divide)

3. 연구 문제

4. 연구방법
․ 연구 대상 매체
․ 연구 대상
․ 연구 방법

5.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높을 것이다.
가설2) 같은 연령 대에서는 교육적 수준과 경제적 능력이 높을수록 정보를 획득하는 능력 이 높을 것이다.
가설3) 경제적 능력보다는 교육적 수준이 정보 접근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연구방법
연구 대상 매체 : 인터넷
연구 대상 : 최근 선거에 참여한 적이 있고,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는 전국의 55~70세 노인, 20~35세 젊은이로 크게 나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또 경제적인 능력 과 교육적인 수준으로 다시 한번 나눈다. 즉 18개의 그룹이 나오게 된다.
( 경제적인 능력 : 재산정도를 기준으로 상, 중, 하 교육적인 수준 : 학력 을 기준으로 중졸 이하, 고졸, 대학재학 이상)
연구 방법 : 설문조사
우리가 접근하고자 하는 방향은 크게 정치적, 문화적 정보격차이다. 따라서 위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 지표는 다음과 같다.
① 정치적 소외 현상
‘촛불시위’는 미군 장갑차량에 깔려 숨진 두 여자 중학생의 사인 규명과 추모를 위해 2002년 11월 처음 열린 이래 한국의 대표적인 평화적 시위로 정착한 시위문화이다. 촛 불 시위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계획되어 지고 사전정보가 전달되어 의견을 표출할 수 있 는 정치적 참여의 장이 되었다. 촛불시위에 대한 사전정보를 한번이라도 얻은 적이 있는 지의 여부를 정치적 정보격차의 지표로 삼는다.
② 문화적 소외 현상
사람들은 여행을 갈 때 사전에 계획하고 준비를 한다. 여행을 간다면 주로 어디서 어떤 정보를 얻는지를 통해서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어 여행을 한 사람들과 비교해 경제적 이 익과 만족도 등을 통해 문화적 정보격차의 지표로 삼는다.
일단 각 그룹간의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조사해보고, 수치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보격차가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정보 접근의 정도는 수치의 확률(%)로 그룹별로 분리한다.
5. 결론
경제적, 교육적 수준이 모두 높은 노인 그룹을 제외하고는 경제적, 교육적 수준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노인들은 인터넷에 접근조차 해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는 촛불집회에 대한 정보는 주로 젊은 층들 사이에서만 퍼졌을 것이고, 결국 광화문이나 시청 앞으로 모인 시민들의 대부분은 젊은 층일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촛불집회가 있었다는 결과만을 매스컴을 통해 접하게 되고, 촛불 집회에 대한 자신의 견해도 매스미디어에서 바라보는 시각과 동일할 것이다. 같은 연령대 안의 경제적인 수준에서 보면 ‘하’인 그룹은 접근 확률이 낮았지만 ‘중’과 ‘상’인 그룹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고, 교육 수준별로는 노인 그룹에서는 확연히 대학재학 이상 그룹에서 정보를 얻은 확률이 높을 것이고 고졸, 중졸 이하에서는 차이가 별로 나지 않을 것 같지만, 젊은이 그룹에서는 중졸 이하, 고졸, 대학 재학 이상의 순서대로 정보의 접근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노인 그룹은 주로 자식들이 보내주어서 여행을 가거나, 마을이나 시에서 보내주는 단체 관광을 이용할 것이다. 경제적, 교육적 수준이 모두 높은 노인 그룹도 직접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지 않고 대리인을 통해 여행을 계획할 것이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가고 싶은 관광지를 찾아내서 자신들에게 맞는 숙박시설, 놀이시설, 교통편을 직접 다 알아보고 가는 젊은 세대에 비해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능력이 부족한 노인들은 누군가가 계획해 놓은 일정 속에 맞추어 여행을 가는 것이 대부분일 것이다. 인터넷을 통해 여행에 대해 정보를 얻는 것은 경제적 수준과는 크게 차이가 나진 않았지만 교육적인 수준에서는 차이가 많이 날 것이다. 노인층에서는 확실히 교육적 수준이 높은 그룹이 인터넷으로 정보를 얻는 확률이 높았고 젊은층도 마찬가지였다. 젊은층과 노인층 모두 경제적 수준에서는 상, 중 사이에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 같지만 경제적 수준이 하인 그룹은 인터넷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인터넷에 접근하기 힘든 대부분의 노인들은 젊은 세대들보다 나중에 정보를 얻게 되거나 아예 정보에 접근조차 하지 못하게 되었다. 경제적, 교육적 수준이 모두 높은 노인층도 경제적, 교육적 수준이 낮은 젊은층보다 정보의 접근 정도가 낮을 것이다. 또한 같은 연령대 안에서는 교육적,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정보 접근 정도가 높고 경제적 수준보다는 교육적 수준이 정보 접근 정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경제적 수준에서는 상, 중, 하의 차이로 뚜렷하게 나타나기 보다는 상과 중은 비슷한 수준으로 하가 눈에 띄게 정보접근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연령은 높은 사람들이, 경제적, 교육적 수준은 평균보다 낮아질수록 정치적, 문화적으로 급격히 소외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 최두진외, 『멀티미디어시대의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문화센터, 1996
- 강홍렬외,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경제적 함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2.12.
- 『정보사회 정치경제학』
-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
- 『정보사회이론』
- 『정보사회의 이해』
- Denis McQuail ; Sven Windahl 공저 ; 임상원 역,『커뮤니케이션 모델』, 나남, 1987
- 『디지털 디바이드 해소와 방송』
- http://blog.naver.com/freework/11946791, 디지털 시대의 지식인상, 남태우
인터넷에서의 고령층의 정보 격차 실태 조사
1.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1) 정보격차에 대한 개념과 범주
(2) 정보격차에 이론적 접근
① 확산이론(diffusion theory) 모델
② 결정적 다수(critical mass) 모델
(3) 매체적 관점에서 본 정보격차 연구
① 지식격차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모델
② 인터넷과 정보격차에 관한 기존 연구
(4) 디지털 디바이드 (Digital divide)
① 디지털 디바이드의 개념
② 보편적 서비스와 디지털 디바이드
③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디바이드
④ 디지털격차(Information Divide)
3. 연구 문제
4. 연구방법
연구 대상 매체
연구 대상
연구 방법
5. 결론
<참고 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2.2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