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도서관 이용과 정보자료 접근을 위한 웹 페이지 컨텐츠 개발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서 론

II.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특성
A. 구축목적
B.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구성요소

III.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 컨텐츠 설계방안
A. 정보내용 측면
B. 이용자 편의를 위한 설계 측면
1. 이용자와 시스템간 대화기능
2. 외국어 버전
3. 길잡이 표시기능
4. 그래픽 기능
5. 멀티미디어 기능
6. 최신성
7. 화면이동 기능
8. 웹 페이지 이용 도움말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체계적인 설계.운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웹 페이지는 인터넷의 기본 목적인 정보의 공유와 분배를 지향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의 컨텐츠는 모든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공개되어야 한다. 물론 저작권으로 인해 불가항력적으로 이용제한을 두어야 할 경우도 있겠지만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원칙적으로 모든 이용자들에게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 나라 '도서관인 윤리선언'의 6조 라항은 "도서관인은 이용자와 관련된 개인정보를 보호하며 그 공개를 강요받지 아니한다."라고 천명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뿐만 아니라 전산화된 도서관을 이용할 때 불가피하게 저장될 수 있는 모든 개인정보는 어떠한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흔히 웹 페이지를 구축할 때에 미적 디자인 측면에만 중점을 두는 경향이 많은데 좋은 웹 페이지의 기준은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충분한 컨텐츠를 담고 있느냐,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느냐, 내용 분류가 적절한가, 클릭하기 편한가 등이다.
넷째, 지나치게 산만한 웹 페이지 메뉴 구성은 오히려 이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웹 페이지 초기화면에는 최소한의 주요 아이템들만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웹 페이지는 주된 이용자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웹 페이지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 결과 이용자들의 언어와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는 교육적인 효과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올바른 언어와 용어를 선택, 사용하면서 주된 이용자인 학생들을 이끌어 나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는 외국의 그것에 비해 정보서비스나 교수-학습자료의 제공이 미미한 수준이다. 이는 실적위주로 마련된 권위주의적인 웹 페이지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웹 페이지의 신뢰성, 책임성 여부보다 기술적, 기능적 측면과 시각적 요소에 강하게 치중한 나머지 실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서비스를 외면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양하고 진정한 의미의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를 설계.운영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국내외 학교도서관 웹 페이지만을 비교 연구하는 것보다는 타 관종의 도서관이나, 더 나아가 도서관이 아닌 다른 기관 웹 페이지와의 비교 연구까지 병행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식. 2001. 사이버 시대의 청소년 교육. 『청소년소식』, 57(8월): 4-5.
김용섭, 전은경. 2002. 『전략적인 웹디자인』. 서울: 영진닷컴.
김용철. 1997. 學校圖書館 정책. 『도서관』, 52(4): 3-43.
김지성. 2000. 『웹사이트의 컨텐츠 특성이 웹사이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김휘출. 1998. 『인터넷을 이용한 참고봉사』. 서울: 한국디지털도서관포럼.
문정순. 1999. 웹기반 참고정보원 사이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229-253.
박미란. 1998. 인터넷 정보자원에 대한 품질평가. 『경영과 컴퓨터』, 9: 232-239.
성동규. 2000. 소비문화를 넘어 생산의 문화로. 『2000 간행물윤리세미나』, 2000년 5월 30일. [서울:한국프레스센터].
안인자. 1997. 전자도서관의 WWW데이터 평가기준에 대한 연구. 『情報管理學會誌』, 14(2): 249-267.
이란주, 윤소정. 1998. 도서관 홈페이지 설계에 관한 연구 - 인터페이스와 정보자료구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3): 141-157.
이명희. 2001. 웹기반 학습이론에 근거한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165-185.
이영아, 하재구. 1999.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획』. 서울: 영진출판사.
이응봉. 1999. 인터넷 웹사이트 문서의 평가 기준 및 방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1):151-169.
靜岡大學敎育學部 附屬 敎育實踐綜合センタ-. 2000. 『司書敎師 情報化 敎材』. [cited 2002. 10. 9]..
정동열. 2000. 멀티미디어 학교도서관 구축방안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1): 93-109.
조은. 2000. 탈대중화시대의 청소년문화. 『2000 간행물윤리세미나』, 2000년 5월 3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조찬식. 2001.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웹 페이지 콘텐츠 분석. 『한국비블리아』, 12(2): 105-124.
최상기, 김연례. 2000. 인터넷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의 구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1):209-228.
한국교육개발원. 2002.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의 실태 및 외국의 정책방향.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공청회』. 2002년 7월 26일. [서울: 교육행정연수원].
한국도서관협회. 1994. 『도서관정보관리편람』. 서울: 동 협회.
황금숙. 2000. 『디지털 도서관론』. 서울: 학문사.
AASL/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 for Learning. Chicago: ALA.
Brandt, D. Scott. 1996. "Evaluat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ited 2002.10.9]. .
Edward, Judith. 1998. "The good, the bad and the useless : evaluating Internet resources."[cited 2002. 10.9]. .
Katz, William A. 1992.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New York: McGraw-Hill.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3.0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