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분열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자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 건강력
①현병력
②과거 병력
3) 신체 검진
4) 발달력
5) 가족력
6)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7)정신상태 검사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중재

5. 결론

본문내용

위해 TV나 라디오의 제한을 권유하였다. 환자 스스로도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아직 망상과 현실을 구분하지는 못하는 못습을 보이고 있다. 가족의 전화 통화에 화를 자제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평소 서예를 즐겨하던 환자를 위해 서예/사군자 요법을 동참시켜 환각에 대한 관심을 다른곳으로 돌리도록 유도하였으며 환자 또한 이 요법에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사정
“다들 나를 미친 취급해. 나는 정상인데 다들 나를 멀리할까 두려워서 말도 제대로 못하겠어. 나는 정말 있는 사실을 말할 뿐인데 아무도 믿어주려 하지안잖아.
나는 정말 내가 어디가 이상있는지 모르겠단말이야.“
“학생은 믿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이모든게 사실이라고. 내가 신기해? 가족 모두가 나를 피해, 하지만 학생은 나를 피하지마.”
“모든것에 의욕이 없어. 모를 해도 용기가 나질 않아.”
-프로그램 요법에 참여 전혀 하지 않음
-늘 방에 혼자 계심
-병원 환자들과의 의사소통 거의없음
-치료진의 질문 및 대화에 소극적 모습
-대화를 통해 망상현상 관찰 됨
간호진단
#2. 사고과정 변화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단기목적
1. 의료진과 함께 망상적인 사고를 토의할 것이다.
2. 치료적 요법에 동참할 것이다.
3. 자존감의 증가를 언어화 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환자와의 신뢰관계를 증 진시켜 망상의 언어화를 유도한다.
-환자의 자존감을 증진시 킨다.
-환자가 자신의 망상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치료적 요법 참여를 권유
한다.
-안부를 묻는 간단한 대화를 시작해 친근감을 형성한다.
(이야기를 캐내기 위해 꼬치 꼬치 묻는 행동은 피한다.)
-환자가 잘하는 행동에 대한 칭찬을 한다.
(매일 하루 한개씩 서로 칭찬 해주기)
-규칙적이고 일관성 있는 태
도로 환자를 대한다.
-환자가 현실을 받아드릴 준비가 되어있다면 망상에 대한 의문점을 묻는다.
-서예/사군자 요법참여
-문예요법 참여
환자는 타인의 반응에 대해 아주 민감하다. 환자와의 신뢰감 형성은 치료적 효과가 뛰어나다.
칭찬은 자존감형성에 있어 가장 좋은 수단이다. 그러나 자칫 과도한 칭찬은 환자의 과대망상을 악화시킬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가 필요하다.
간호사가 환자의 망상에 대한 신념을 나타낸다면 환자의 망상은 강화될 수 있다. 간호사를 신뢰하기 시작할 때 환자의 망상에 간호사가 의문을 표한다면, 환자는 자신의 망상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될 것이다.
자신이 자신있는 분야
의 참여를 통해 성취
감을 얻으며 자존감을
회복할수 있다.
평 가
공무원을 하면서 자신의 머리가 좋다고 생각한 환자는 한순간에 주위로부터 정신병자로 몰려 무능력하다고 생각하며, 대인관계 형성에도 불안감을 보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갔다. 잦은 마주침과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작은 신뢰감이 형성되었지만 망상에 대해 의문점을 표기할 만큼의 관계는 형성하지 못하였다. 환자는 아직도 자신의 망상과 환각이 실제라고 믿고있으나 주위사람들에게 정신병자 취급을 당할까 두려워 말하기를 꺼려하고있는 모습이 관찰되엇다. 최근 문예요법과 서예, 사군자 요법에 참여하여 재능을 보이고 서예 시간에 자신의 글이 좋은 작품으로 뽑혀 전시된것에 대한 성취감과 뿌듯함을 말로써 표현하고, 자존감을 점차 회복해가는 모습을 보이고있다. 다른사람에게 먼저 다가서서 대화하지는 못하나 대가서서 말을 건내면 조심스럽게 대화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사정
“나는 주워왔어, 그러니까 어려서부터 장남 대접도 안해주고 날그렇게 부려먹었지, 이런법이 어딨어, 장남? 대접도 바라지 않아 나를 그냥 그집 자식으로 대해주기를 바랬을 뿐인데 그게 큰일이야? 내가 주워왔으니까 이러는거지, 친자식이었어봐, 오히려 나보다 누나들한테 잘하잖아.”
“누나라는 사람 평생 연락한번 없다가 내가 정신병원들어왔다니까 고소한가
봐. 그러니까 전화하지. 약올리는 거야 뭐야 내가 나가기만 해봐.“
“우리집 자식놈들은 다소용 없어.”
-가족 면담시 환자의 문제를 제대로 파 악하지 못한채 우울증으로만 진단하려 하는 경향이 보임
-평소 즐거운 모습 보이다가도 가족 전 화만 오면 불안해하고 화를 내시는 모 습 관찰됨
-환자 입원 기간 동안 직계가족(부인)
면회 한번 온 후 전화 오는 모습 관찰 안됨
간호진단
#3.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 대처
단기목적
1. 가족은 환자의 질병, 치료 및 예후를 이해하고 지지한다.
2. 가족과 면회, 전화시 화목한 분위기 조성한다.
3. 환자가 가족의 중요함과 소중함을 알도록 돕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환자와 가족관의 건강한 관계를 형성한다.
-환자에게 가족의 소중함 을 일깨워 준다.
-환자의 질병, 치료, 예후 에 대한 정보를 가족에게 제공한다.
-가족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육한 다.
-환자와 면담 및 대화시 가족 의 좋은 기능에 대해 이야기 를 시도했다.
-환자에게 가족과 관련된 영 화 및 책자를 소개해주었다.
(아버지, 어머니, 봉순이 언 니 등-병동 도서실에 구비되 있음)
-보호자와 대면할 기회가 없 어 가족에게 환자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가족은 정신질환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지체계이다. 어쩌면 치료자보다 더욱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 가족의 영향으로 인해 환자의 상태가 음양성으로 바뀔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의 지지체계는 상당히 중요하다.
평 가
환자와 나의 아버지 연령대가 비슷한 점을 고려하여 딸같은 입장으로서 다가갔다. 환자도 좋아했을 뿐만아니라 공감대를 얻는데 유리한 점이 많았다. 우선 나의 어린시절 아버지의 중요성에 대해 슬쩍 이야기를 거내며 환자 내면에 숨겨진 가족 이야기를 이끌어냈다. 지금은 환자가 조금 불안한 상태이나 환자 또한 내면 깊이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이 많이 묻어있었다. 예를 들어 나의 아들이 어느 회사에 지원했는데 꼭 붙고, 장가가는 것을 보는 것이 내소원이다. 라든지 어릴적 형제들과 즐거웠던 이야기를 꺼내는 모습에서 희망을 얻을 수 있었다. 실습기간동안 환자 보호자와의 만남이 없었기 때문에 계획했던 바를 이루지 못했지만 환자의 마음이 조금 열린 것 같다.

키워드

SPR,   Grandiose,   persecute,   AH,   정신분열,   과대망상,   환청,   환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3.1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