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벤션센터(국제회의 산업)의 활성화와 외화수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켄벤션센터(국제회의 산업)의 활성화와 외화수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개의 글

2. 아시아지역 컨벤션목적지 한국 4위수준

3. 켄벤션산업의 기대효과

4. 국제회의산업과 지역발전

5. 일본의 컨벤션 산업

6. 싱가포르 컨벤션 산업

7. 공공기관의 주도적인 사업 참여 유도해야

8. 국내 컨벤션 산업 실태

9. 컨벤션 산업의 수익성제고 고찰

10. 세계10대 컨벤션유치 국가

11. 아시아지역 10대 켄벤션 유치국가

본문내용

이 분야의 산업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컨벤션 산업의 수익성제고 고찰
최근 한국관광공사의 조사에 따르면 국제회의 참가자들의 여행비용이 일반관광객의 여행비용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결과는 한국관광공사가 지난해 7월에서 10월까지 국제회의 참가를 위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관광객 1천7백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것으로 방한 기간 중 한 사람당 평균3천2백85달러를 쓴 것으로 나타나 94년 방한한 외국인관광객 평균소비액 1천64달러에 비해 무려 3.1배에 달했다. 국제회의 참가자들의 부문별 소비액 비중은 숙박비가 30.8%로 가장 높고 쇼핑 19.8%, 식음료 15.4%, 오락비 9.2%, 입장료 등 순수 관광비 7.2%, 기타비용 10.1% 등의 순으로 집계됐으며 국제회의 참가자들의 평균 체재일은 7.4일로 일반 관광객의 5.2일에 비해 훨씬 긴 것으로 조사됐다. 회의 참가자들은 한국에 머물면서 불편하거나 개선해야할 사항으로 교통체증 및 운송수단의 부족, 언어소통 불편, 높은 물가, 숙소와 회의장간의 거리가 먼점 등을 들었다. 관광공사의 국제회의 유치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 국제회의산업의 외화가득률이 높다는 사실이 입증됐고 서울이 국제회의 개최지로서 여건도 좋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국제회의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할 것” 이라고 밝혔다. 국내 컨벤션 회의 시설은 점차 시설자체가 확대일로에 있으나 마케팅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언어 능력과 컨벤션 경험이 많은 전문가들의 훈련과 경험축적을 위한 국제회의 참가도 시급한 실정이며 전문가가 이 시설관리나 운영에 사령탑으로 자리하는 정치-행정적 관행도 고려할 사항이다.
세계10대 컨벤션유치 국가
국가명 개최수
파리 358
런던 205
비엔나 203
브뤼셀 182
제네바 124
싱가포르 118
암스텔담 112
베를린 106
코펜하겐 100
뉴욕 97
아시아지역 10대 켄벤션유치국가
국가명 개최수
싱가포르 118
홍콩 91
방콕 69
서울 55
도쿄 55
북경 53
뉴델리 47
시드니 42
콸라룸프르 37
쿄토 30
-조사 자료는 94년 자료입니다. 여러나라의 자료를 취합하다 보니 시차가 맞지 않아 부득이 시간이 좀 오래된 자료를 올렸습니다.
자료출처 : 국내 진출한 각국 관광청및 대사관 상무담당관실
국제회의, 컨벤션, 콘벤션, convention, 국제회의 유치, 회의시설, Convention Bureau
1000
경영학, 관광학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