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잡지의 역사와 전자잡지와 관련된 문제점 및 과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전자잡지란
1. 전자잡지의 정의
2. 전자잡지의 역사
3. 전자잡지의 특징

Ⅱ. 전자잡지와 종이잡지
1. 학술잡지의 특성
2. 종이잡지의 문제점
3. 전자 학술잡지의 발전과 특성

Ⅲ. 전자잡지와 관련된 문제
1. 가격
2. 보안
3. 전자 형태 페이지의 레이아웃
4. 저작권과 전자매체를 둘러싼 문제
5. 백파일 가용성
6. 데이터의 신뢰성과 접근가능성

Ⅳ. 전자잡지의 예
1. 국내 전자잡지
2. 문헌정보학 관련 전자 잡지
3. 전자잡지를 모아놓은 곳
4. 전자잡지를 모아 놓은 사이트들
5. 전자 학술잡지의 과제

Ⅴ. 결 론

본문내용

서는 16편의 논문 중에서 하나도 없으며 28집에서는 19편 중에서 네 편만이 웹 자료를 참고문헌에서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전체 참고 문헌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1/42, 6/17, 5/17, 1/23(웹 문서자료/전체 참고문헌 수) 이다. 29집에서는 23편의 논문 중에서 한 편의 논문에만 웹 문서가 참고문헌 상에 실려 있으며 30집에서는 21편 논문 중에서 세 편에서만 웹 문서를 인용하고 있다.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잡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2집에 실린 논문 14편 가운데에서 참고문헌에서 웹 사이트를 언급하는 논문은 모두 4편 밖에 없으며, 웹 문서/전체 참고문헌 수 비율을 살펴보면 이들은 각각 2/23, 2/19, 13/48, 3/13이다. 13집의 경우 13편의 논문 중에서 단 한 편의 논문에서만 언급된다. 14집에서는 14편의 논문 가운데에서 단 두 편의 논문에서만 2/26, 4/43 비율로 웹 문서가 인용되고 있다.
아니라 국내 학자의 논문도 실리고 있지 않다. 논문 수정 과정에서 부산외국어대학교 하수권 교수의 논문 “Eine Untersuchung uber Moglichkeiten einer Zusammenarbeit per Internet zwischen koreanischen und deutschen Universitaten im Fach Deutsch als Fremdsprache” 이 ZIF 9권 3호(2004년 9월) 에 실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 학술잡지의 앞으로의 과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우선은 다루고 있는 학문 분야, 다시 말해서 DaF 분야가 전 세계적으로 더 확산된다면 이러한 전자 잡지는 성공할 수 있지만 학문분야가 침체되면 자연스럽게 이러한 잡지도 제대로 간행되기 어렵다.
② 적은 수의 전문가들을 위한 잡지는 온 라인 상으로 제공된다 해도 더 많은 독자들에 의해서 광범위하게 읽히지는 않는다. 종이잡지의 권위와 정통성에 대한 전자잡지의 신속성, 전파성이 대립하면서 경쟁할 것이다. 더 훌륭한 논문이나 학자들이 어느 잡지에 기고하는가에 의해서 그 앞날이 정해질 것이다.
③ 각 논문의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 논문을 어떻게 다른 잡지에서 인용할 것인지도 구체적으로 밝혀주는 것도 좋다.
④ 전자잡지가 가지는 특징을 제대로 더 잘 활용해야 한다. 멀티미디어와 링크된 자료들을 바로 불러올 수 있어야 하며 잡지의 내용이 지녀야 할 고정적인 것과 동시에 전자문서가 가지는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자출판과 학술잡지에 대해서는 신뢰성(Trustworthiness), 공공성(Publicity), 접근성(Accessibility) 요건이 갖추어져야한다. Vgl. Rob King /Geoffrey McKim, :Scholarly Communication and the Continuum of Electronic Publishing, i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0-10, S. 890-906, 1999.
그러나 지금까지는 접근성의 문제만 강조되었지 신뢰성과 공공성은 아직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Ⅴ. 결 론
웹의 출현은 인쇄의 필요와 물리적인 배달을 할 필요 없이 매우 많은 사람에게 편집 내용의 출판과 보급을 위한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이 새로운 기술은 잡지 배달과 신청 전달 시스템 같은 전통적인 인쇄 출판업자와 관련된 능력이나 관례의 필요성을 제거하였지만, 전통적인 인쇄 출판물에서 발견되는 발간호 간의 연속성, 편집 정책, 내용 같은 다른 능력의 필요성은 가지고 있다. 게다가, 하이퍼텍스트 언어가 가진 프로그래밍 능력과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지식 같은 새로운 능력의 습득할 것을 요구한다.
이렇게, 비인쇄 출판의 새로운 형태나 산업부분으로서 전자 잡지의 출현은 전통적인 종이 출판 산업의 소멸을 가져오지는 않을 것이며, 전자 잡지와 전통적인 인쇄 출판물 둘 다 서로 발전할 것이다. 전자 잡지의 경우는 가격 부과 방법, 저작권 등에 관련한 문제들을 앞으로도 계속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김인숙: 디지털 혁명과 전자잡지, 이진출판사, 2000.
이용준: 디지털 혁명과 인쇄매체,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정문용: 인터넷과 독어학 연구, 독어교육 18집,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S. 293-314, 1999.
정문용: 독어학 분야의 웹 출판, 독어학 3집, 한국독어학회, 2001, S. 327-346.
전산용어사전편찬 위원회, 컴퓨터/인터넷 용어 큰사전, 서울: 일진사, 1997.
Jennifer Bort Yacobissi, The Webzine Scene: Digging out from the Underground Self-Publishers Blossom on the Web, http://www.strcom.com/plenary/jenzines.html
What is an Electonic Journal? http://www.coaliance.org/what_is.html
정영미, 안현수 공저, 전자도서관 구축론, 서울: 구미무역(주) 출판부, 1998, pp.196.
More Infromation About The Trincoll Journal,
http://www.trincoll.edu/~tj/about/what.html
Alan B. Eisner, Quintus Jett, Helaine J. Korn, Does Cyber David Have Paper Goliath on the Run?: The Reshaping of the Specialty Magazine Publishing Industry by Internet-based Publisher. http://www.aom.pace.edu/~aeisner/webz.html
George Machove, Electronic Journal Market Overview -1997
http://www.coalliance.org/reports/ejournal/htm
정영미, 안현수 공저, 앞 책, pp.195,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