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화와 지방분권화 정책의 과제 및 일본의 교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글로벌화와 지방분권
2.1 중앙집권체제의 근거
2.2 글로벌화와 경제체제의 변화
2.3 장기정체국면과 지방분권화의 의미

3. 동북아시대 정부역할의 변화: 한일 지방분권화개혁을 중심으로
3.1 동북아시대 정부역할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동북아시대 지역협력체제의 배경
2) 지방분권화 개혁의 배경
3.2 한국과 일본 지방분권화 개혁의 현황
1) 한국의 지방분권화 개혁
2) 일본의 지방분권화 개혁
3) 일본의 디플레불황과 지방분권화정책
3.3 분권화된 지방자치체의 역할

4. 결론: 양국 지방분권화 개혁의 평가와 교훈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를 지니게 됨을 새삼 인식하게 된다. 신자유주의로 표현되는 세계화의 추세 하에서 일본의 분권화개혁은 침체된 일본사회를 변혁시키기 위한 유용하고도 유일한 수단으로 이제 새로운 실험의 장에 오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분권화개혁에 비교할 때, 한국의 분권화개혁은 역사적으로나 내용면에서 미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지방자치제도의 시행 역시 정치적 우여곡절을 거치면서 10여년의 짧은 경험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개혁의 하부체제로 인식되면서 분권화개혁은 중앙기능 이양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더욱이 97년 외환위기로 임시방편적이고 단편적인 공공부문 개혁을 추진하면서 실질적으로 분권화개혁에 대한 논의는 주춤한 상태였다.
참여정부 출범이후 국가발전전략의 핵심과제로 부상한 분권화개혁은 일단 강력한 리더쉽에 의하여 제도적 체제를 갖추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중앙집권적 전통이 강한 한국에서도 분권화개혁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에는 여러 가지 제한이 작용할 것으로 보여진다. 무엇보다도 분권화개혁에 대한 인식부족과 경험부족에 의한 관련 중앙부처의 반발,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분권화 수행능력에 대한 주의깊은 배려가 요구된다. 또한 현재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의 안은 상당 부분 구체화되지 않고 있으며, 규범적 차원의 논의로 비추어지는 부분도 보여지므로 이러한 안이 현실화될 때의 문제점을 예측하여 단기적 과제와 장기적 과제로 구분하여 추진하는 외에 지역의 현실을 감안하여 차별적이고도 다양한 제도적 장치를 고려, 각 안들의 상호연계성이 확보되어야만 하며, 중앙과 지방의 긴장관계를 지속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공공부문의 개혁은 일상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분권화개혁 역시 한국의 지방자치의 성장과 함께 한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제도적 수용에 있어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지방분권화개혁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주민의 삼요소가 각자의 역할 인식을 명백히 하고 그에 따른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된다. 세계2위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안정화를 지향하면서 일정수준의 행정서비스체제를 구축한 일본에서 추진된 일련의 지방분권화의 개혁과정을 지켜보면서, 일본에 비해 일천한 지방자치의 역사와 현 단계에서 상정되는 다양한 분권화의 문제, 국가 전반에 걸친 경제의 위기, 그리고 지방자치에 대한 주민의식의 수준 정도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 지방분권화개혁이 공급자 중심의 사고로 추진됨에 따라 수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제도적 실패로 연결되지 않도록, 자치의 현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분권화개혁에 있어서도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강성학, 신국제질서와 동북아지역 협력체제의 수립방향 , 평화연구 제3호, 1994.
기획예산처, 「공공개혁백서」, 2002.
김병준,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현황과 과제: 분권화와 자기책임성 강화 , 한국비교정부학보, vol.5, no.1, 2001.
김의곤, 새로운 국제정치질서와 동북아: 국제정치경제적 측면에서 , 한국정치학회 새로운 세계질서의 도전과 한국정치, 1991.
김장권, 일본의 세계화와 분권화개혁: 분권화개혁의 정치·경제적 배경 , 한국정치학회 97 연례학술대회, 1997.
오용석, 동북아지역의 정치경제환경 , 「동북아경제협력의 여건과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91-20, 1991.
윤영진·김태룡, 「지방정부개혁」, 대영문화사, 2000.
이기우, 한국에서 지방분권화의 현황과 과제 , 한국정치학회 민선자치2주년 기념학술심포지움, 1997.
이내영, 홍성걸, 동북아 신경제질서:동북아의 경제블럭화는 가능한가? , 평화연구 제5호, 1996.
장은주a , 대도시 행정체계 개선을 위한 일본 정령지정도시제도의 검토 , 지방자치, 2003. 8.
장은주b, 일본의 분권개혁에 따른 지방자치제도의 새로운 전개(1) , 지방자치, 2003. 9.
장은주c, 일본 지방자치법 및 시행령 일부 개정에 관한 검토 , 지방자치, 2003. 12.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참여정부 지방분권추진 로드맵」(안), 2003. 7. 4.
Caiden, & E. Gerald. And Siedentopf, Heinrich., Strategies for Administrative Reform, Massachusetts: lexingtonBooks, 1982.
Feigebbaum, Edward A., & Brunner, David J. (西岡幸一 譯), 「起業特區で日本 濟の復活を」, 日本 濟新聞社, 2002.
Gilpin, Robert,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Relations, NY: Prinston Univ. Press, 1987.
岩埼美紀子, 「行政改革と財政再建」, 御茶の水書房, 2002.
新藤宗幸, 「地方分權」, 岩波書店, 2002.
河信乃(編),「行政改革: 行政の過去·現在·未來」, イマジン出版, 2001.
山口道昭, 新地方自治制度, 東京法令出版, 2001.
毛桂榮, 「日本の行政改革」, 靑木書店, 1997.
高木健二, 三位一 改革:今後の課題 , 地方自治職員硏修, 2003. 9.
東田親司, 「現代行政と行政改革」, 芦書房, 2002.
アクセンチュア(池上孝一·官公廳本部), 「スマ-トガバメント」, 東洋 濟新聞社, 2002.
井 宏和, 構造改革特區について 「地方自治」, 2003. 7.
政策情報, 構造改革特區のゆくえ 2003, 6.
政策情報, 規制改革推進のための新法制定を求める , 2003. 7.
政策情報, 三位一 改革に第一步 2003. 8
政策情報, 過去2年半にあたる小泉政權の實績を强調, 2003. 11.
古川彰, "動き した構造改革特區", 「産業立地」, 2003. 8.
井上隆一郞, 對日投資促進の新段階, 「産業立地」, 2003. 2.
日本貿易振興會, 「世界と日本の海外直接投資」, 1996
地方分權推進委員會, 「中間報告書: 分權型社會の創造」,1996.
ジュリスト 海外法律情報: 韓國, 濟自由區域法の成立 , 2003.3.15
朝日新聞, 2003. 10. 28
동아일보, 2003. 10. 21.
www.moleg.go.kr.
  • 가격2,9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3.2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5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