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애굽체류기간][모세]출애굽기와 애굽체류기간 심층 분석(출애굽기의 명칭, 출애굽기의 내용, 출애굽기의 기록 목적, 이스라엘의 애굽체류기간 -갈라디아서 3:17을 중심으로, 출애굽기, 애굽, 모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출애굽기][애굽체류기간][모세]출애굽기와 애굽체류기간 심층 분석(출애굽기의 명칭, 출애굽기의 내용, 출애굽기의 기록 목적, 이스라엘의 애굽체류기간 -갈라디아서 3:17을 중심으로, 출애굽기, 애굽, 모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출애굽기의 명칭

Ⅲ. 출애굽기의 내용

Ⅳ. 출애굽기의 기록 목적
1. 역사적 목적
2. 교리적 목적
3. 기독론적 목적

Ⅴ. 이스라엘의 애굽체류기간 -갈라디아서 3:17을 중심으로
1. 430년 체류설
2. 갈 3:17에 근거한 215년 체류설의 주장
3. 갈 3:17절에 의한 215년 체류설 비판

Ⅵ. 결론

본문내용

창 28:14에서 야곱에게 주신 말씀 등을 각각 비교하면, “땅의 모든 나라들(창 28:14에서는 ‘족속’)이 네 자손을 인하여 복을 얻으리라”는 말씀이 나온다.
바울이 이 기간을 계산함에 있어서 야곱에게 한 약속이 확증된 시간으로부터 시내산 율법에 이르는 기간이라고 하는 것은 비합리적인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백 삼십년 (이)후”라는 수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 설명의 합리성은 성서자체가 증거하고 있다. 즉, 바울이 말하는 바 나중에 생긴 율법이 그 이전에 이미 체결된 언약을 폐할 수 없다는 뜻으로 말한 것이다. 또한 바울이 70인 역 독자들을 혼란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645년(가나안 215년+애굽430년)이라는 장황한 설명을 하지 않고, 본문 갈 3:17에서와 같이 다만 “430년”이라고 간결하게 말한 것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문 갈 3:17에서 ‘미리 정하신 언약’도 반드시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뿐 아니라 이삭과 야곱에게 하신 약속(창 46:1-4)이라고 할 수 있다.
215년 체류설을 설령 받아들인다 해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즉, 출 1:5에서 “이미 애굽에 있는 요셉까지 야곱의 혈속이 모두 칠십인이었더라”라고 밝힌바와 같이 그 짧은 기간에 70명이 거의 200백만 이상(장정만 60만, 출 12:37)으로 인구가 불어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430년으로 잡아도 인구증가율은 세계역사상 유례가 없는 일이다.
결론적으로 215년 체류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본문 갈 3:17의 ‘미리 정하신 언약’을 아브라함에게만 정하신 언약으로 보는 해석상의 오류라고 말할 수 있겠다.
Ⅵ. 결론
출애굽기는 모세 오경의 본론으로서 모세의 생애를 주축으로 하여, 선택된 민족의 성립과 그들의 사회적, 종교적, 법률적 형성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에집트에서 노예생활로부터의 해방(출 1:1-15:21), 광야여행(15:22-18:27) 사건을 전하는 출애굽기의 전반부는 오경의 절정 부분이다. 이스라엘 백성은 에집트에서의 탈출, 갈대바다의 승리, 광야의 기적 등을 통하여 그들을 구원하시고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그 무한한 능력 및 사랑을 체험한다. 이로써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백성 곧, 선민이 된 것이다. 이리하여 출애굽은 구약의 구속사 사건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이며, 족장들에게 주신 땅과 민족의 약속을 역사적으로 성취하시기 위해서 하나님이 사용하신 수단이었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2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