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DTV 서비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MB/DTV 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DMB 서비스
1. DMB의 개념 및 특징
2. DMB 장점
3. DMB 종류
4. DMB 서비스 유형
5. DMB 서비스 이용 방법
6. DMB 해결해야 할 문제점
7. DMB 서비스 전망

Ⅱ. DTV 서비스
1. DTV의 개념 및 특징
2. DTV 장점
3. DTV 서비스
4. DTV 시장 현황
5. DTV 서비스의 전망 및 추진계획

본문내용

있으며, 기억된 동작을 다시 확인하거나 프린터로 뽑아볼 수 있는 등, 그 기능이 다양하다.
2. DTV 서비스의 장점
- 더 좋은 화질(잔상이나, 간섭 없는 HD급 해상도)
- 더 좋은 음향(많은 경우에 돌비 서라운드를 포함해서)
- 더 많은 채널(특히, 위성방송이나 케이블에서)
- 새로운 서비스(이동 방송이나, 데이터 방송)
- 더 넓은 화면 크기 (대부분 DTV 컨텐츠는 16:9 와이드 스크린 행태로 방송된다.)
- 음성다중 이나 다국어 캡션, 또는 자막
- 쉽게 채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 방송되는 프로그램과 연계된 양방향 응용프로그램(bound applications)
- 개인화 TV(PVR, pay-per-view, VOD)
- STB나 수상기에 다운로드 될 수 있는 게임이나 독립적 응용프로그램(Unbound applications)
3. DTV 서비스
■ EPG
EPG (Electronic Program Guide;전자프로그램가이드)는 빈 주파수대나 여유 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터방송을 통해 디지털TV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방송프로그램 일정표를 말한다.
시청자는 리모컨으로 이 EPG를 조작해 당일은 물론이고 약 1주일 후에 어느 방송국에서 어떤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하는지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하면 일람표보다도 더욱 상세한 프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서비스에 따라서는 EPG의 화면으로부터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해 예약 녹화도 할 수 있다. EPG 사업자는 여러 PP로부터 예고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받아 주제별, 시간대별, 시청자 특성별로 구분해 실시간으로 뿌려준다. 그만큼 채널 정보를 얻기가 쉬워진다. EPG는 방송위성(BS) 디지털방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EPG P/F는 시청자 확대에 대단히 중요한 Promotion Window가 되며, IPTV, T-commerce 영역으로 시청자를 안내하는 Gateway이다. EPG를 통한 효과적인 프로모션으로 프로그램 시청률 제고, Pay 채널 및 VOD buy rate를 제고할 수 있다. 디지털 가입자의 경우 EPG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다.
■ VOD
VOD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주문 형으로 시청이 가능한 서비스로 NVOD, RVOD, SVOD 등 3가지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T-Commerce
TV 플랫폼을 통한 Commerce 시장 진입은 향후 ITV P/F 의 가장 중요한 수입원 개척을 의미 한다.
■ T-Government
ITV를 통한 T-Government의 실현은 21세기 정보 지식 사회로의 질적인 도약을 앞당길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다.
▶ ITV 기능 및 의의
◎ ITV (Interactive Television)는 기존의 단방향성 TV에 쌍방향성을 부여한 정보
유통 수단 : ‘바보상자’ → ‘지능형 정보도구’
◎ TV는 일반인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보편적인 수단이며, 모든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인프라로 노소 빈부에 관계없이 친숙한 미디어이다.
◎ ITV가 가지는 세 가지 중대한 정치적 의미
1) 연령과 매체이용능력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드를 해소하는데 가장 효율적 수단
2) 사회발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던 정치부문에 대한 문제 해결
3) 정치 부문과 연계해서 정책결정과정에의 참여 가능성 제공 및 정책결정과정에 대한 투명성확보 가능성
▶ ITV를 통한 정부(T-Government) 구축의 장점
◎ 단순한 리모컨의 클릭으로 찾아오는 정부에 참여하거나 정부에 접근하는 창구화
- 사용자가 찾아가는 PC 중심의 e-Government는 컴퓨터에 익숙한 계층에게만 유용하나 대다수의 국민들의 정보욕구를 충족시키는 데에는 접근 용이성에서 한계가 있다.
◎ T-Government에 의한 참여 민주주의 실현 가능성
- 참여민주주의는 대의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 줄뿐만 아니라, 제반 의사결정에 대한 합의와 공감대 형성, 나아가 결정된 사안에 대한 준수의 책임성을 공유하도록 한다.
- 이는 정치문화의 발전을 의미하며 질적 성장사회 (나눔의 사회)를 구현하는데 유용하다.
4. 시장현황
■ 국외 시장현황
ㆍ 미국 - 2006년 방송의 완전 디지털화 예정, 디지털 TV방송 확대 및 고화질 디지털 TV 보급 촉진
ㆍ 유럽 - 유럽 각국의 디지털 지상파TV 방송이 점차 본격화되면서 시장 규모 증가
ㆍ 일본 - 2006년 전국 방송, 2011년 이후 아날로그 방송 중단 예정
■ 국내 시장현황
디지털 지상파 TV 방송 조기 실시로 인한 국산 디지털TV 품질 안정이 내수시장 확대 및 수출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5. DTV 서비스의 전망 및 추진계획
■ 전망
지상파 DTV는 국민의 정보이용 및 여가수준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고양하고 홈 네트워크 등 가정정보화의 핵심적 기능 수행하며, 지상파 DTV의 전국 확대를 추진하여 2010년까지 생산유발효과 167조원, 부가가치유발효과 93조원을 달성할 전망이다.(서비스 및 기기 포함)
■ 세부추진계획
▶ 기술개발
- 서비스, 기술, 표준화 선도를 위해 3개 분야 기술을 중점 개발 (현재의 디지털 TV 시 장 경쟁력을 유지, 강화하기위한 기술, DMB, 지능형 방송 등 새로운 방송서비스 단말 기술, 실감형 방송 등 미래형방송에 적용될 원천, 기반 기술)
- 효과적인 체계를 구축하여 적기에 필요기술을 확보 (경쟁력강화기술은 산업체 중심으로 개발, 신 시장 창출기술은 산학연 공동개발, 미래형 TV기술은 국책연구소 중심으로 개 발)
▶ 인프라조성
- 주요 3대 방송매체 (디지털 지상파 TV, 디지털 유선방송, 위성방송)의 디지털 방송망 을 조기에 완성하여 국내 DTV산업 활성화 촉진
-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국내에 먼저 도입, 서비스 및 기 술표준화를 선도하여 국제경쟁력을 강화
▶ 제품화 및 시장창출
- 양질의 HD 방송 시청기회 호가대 및 디지털 TV 기능 다양화 등을 통해 내수시장 활 성화 촉진
- 대형, 고가제품 위주의 일류 브랜드 이미지 창출 및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 로 해외 진출 확산

키워드

DMB,   DTV,   digital tv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4.1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6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