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 성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섬유의 성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섬유의 성질
목 차
1. 강도와 신도
 ① 강도
 ② 신도

2. 내구성과 강인성

3.탄성
1] 초기탄성률
2] 탄성회복률
3] 점탄성
①점성
②탄성

4. 열가소성

5. 레질리언스

6. 흡습성  

7. 내열성

8. 보온성

9. 대전성 

10. 방적성

11. 비중

12. 화학적 성질
1] 내약품성
2] 내일광성(일광견뢰도)과 자외선

본문내용

입장에서 본다면 손상이라고 할수 있는데 얼마나 변하는가를 표시하는것이 일광견뢰도(1~5급으로 표시)라고 하고 광원에 색이 많이 변하지 않는 의류를 내일광성이 좋다고 말합니다.
② 자외선[紫外線, ultraviolet rays]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은 자외선, 가시 광선, 적외선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자외선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선의 약 6%에 지나지 않으나 피부의 조기 노화와 주름 생성의 약 80%이상이 자외선에 의 한 것이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구분된다.
-자외선의 종류
*세안
구분
파 장
피부침투정도
피부에 미치는 영향
자외선A
장파장(320~400nm)
진피층까지 침투
주름 형성 및 썬탠 현상 유발 만성적 조사시 콜라겐과 엘라스틴 파괴로 탄력 섬유 변성과 모세혈관 확장증을 일으킴. 색소침착(기미, 주근깨, 잡티) 광 알레르기 유발
자외선B
중파장(290~320nm)
표피의 기저층까지 침투
피부에 가장 해로운 광선 기미와 피부 건조의 원인이 됨 피부 세포를 파괴시키고 홍반 수포, 각화, 일광화상, 피부염 가려움증 동반 썬번 현상
자외선C
단파장(200~290nm)
대기중 오존층에 흡수
유발 에너지가 가장 강한 자외선 대기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에 흡수 표피 상층부의 세포에 급속한 파괴 활동을 함. 살균력이 강하므로 자외선 소독기에 사용함.
-자외선 양의 변화
① 계절별
여름은 겨울에 비해 태양 광선이 바로 위에서 조사되어 단위 면적당 태양빛의 밀도 가 높아지기 때문에 자외선도 강해진다.
② 월별
3월 무렵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6월에 이르면 최고조에 달하며 10월 무렵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한 여름의 태양에는 세심한 주위를 기울이는 사람도 5~6월 무렵 의 온화한 태양에는 무심코 방심하기 쉬우므로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③ 하루중 시간대별
하루중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의 시간대가 특히 강하다.
④ 기타
ㄱ. 고도 : 해발 1km 상승시 자외선 20% 증가
ㄴ. 기상 조건 : 흐린날, 장마철에도 자외선은 투과되나 양은 맑은 날에 비해 약 1/2 가량 감소한다.
ㄷ. 생활 환경 : 프레온 가스 등 특정 물질에 의해서 오존층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는 양이 증가한다.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이로운점
해로운점
살균 작용을 한다.
피부 노화를 촉진한다.
체내 비타민D를 형성해 건강하게 한다.
기미, 주근깨 등 잡티가 늘어난다.
피부병을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색이 검어진다.
적당히 태닝된 피부는 건강해 보인다.
피부를 붉게 부어오르게 한다.
피부 표면 조직을 파괴한다.
① 썬탠과 썬번 현상
햇볕에 피부가 노출되어 타거나 그을리는 현상을 일소라 하는데 일소는 썬탠과 썬번으로 나눌 수 있다.
*썬탠이란?
피부 상태가 손상되지 않고 서서히 검은색의 멜라닌 색소 세포가 증가하여 그을리 게 되는 것을 말한다.
*썬번이란?
강한 자외선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피부 조직에 손상이 가서 피부가 빨갛게 되고 열기와 부기가 있는 현상을 말한다.
② 멜라닌 색소의 생성
멜라닌은 기저층의 멜라닌 세포 멜라노사이트에 의해 만들어진 검고 갈색의 작은 멜라닌 입자가 기저층의 세포 속으로 들어가 여러 시간에 걸쳐 서서히 쌓여졌다가 점차 표피의 윗층으로 옮겨져서 생성되어진다. 이렇게 햇볕에 노출되어 멜라닌 입 자를 많이 함유한 피부 세포는 평상시 보다 빠른 속도로 신진대사가 이루어져 각화 현상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태양으로부터 피부 및 신체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피부 조직 기능이 활발해져 성장과정이 빠르게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법
① 자외선 차단 제품을 바르고 햇빛을 쬔다 하더라도 자외선을 받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차단 효과가 감소하게 되므로 제품에 기입된 자외선 차단 지수(*SPF)를 참 고하여 유효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덧발라야 한다.
- SPF란?
Sun Protection Factor의 약자로써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정도를 나타내는 차단 지수를 말하며 자외선 에너지가 유발시키는 피부 홍반 발생 최소 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 UV-A 차단지수 표기방법 >
UV-A 차단지수
표기방법
2~4
PA+
2~8
PA++
8이상
PA++
최근 썬제품에는 SPF 뿐 아니라 UV-A차단지수를 PFA(protection factor of UV-A)로 표시하는데 이는 자외선차단제품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최소흑화량의 비율을 말한다.
최소흑화량이란 UV-A에 조사후 색소침착이 2~4시간 지속되는데 필요한 자외선의 최소량을 나타낸다. PFA는 범위에 따라 PA+, PA++, PA+++로 표기하기
도 한다. (금년도에 출시 예정인 썬제품에 PA지수가 표기될 예정임.)
구 분
UVA
UVB
UVC
피부침투
대부분 표피통과20~30%는 진피(2mm)까지 도달
대부분 표피까지 도달
각질층에서 완전 흡수(10%이하만 UVC에의한 홍반 만듬)
피부암
가속화 시킴
표피 세포 일부분에서 Sun Burn 세포 만듬
DNA 변화 초래하여복구 힘들 때, 암 유발
홍반
2~3일 후(지면홍반)
6~20시간(표피에서 형성된 혈관확장 매개체 방출)
3시간 이내(진피 혈관의 직접적에너지 흡수결과)
멜라닌
즉각 색소 침착 (약 30분후)
① 멜라닌 세포 수지상 돌기 끝방향으로 멜라닌 과립의 이동촉진과 각질 세포로의 전이 촉진
② 각질 세포 안의 멜라닌 과립의 비율 변화
③ 각질층에 이미 존재하는 멜라닌과립의 광산화현상 지연 색소 침착 (2~3일)
①기저층 melanocyte melanosome의 합성을 직접 자극
② 2~3일 후 시작 약8일 후 각질층의 멜라닌 함 유량 4배 증가
③ 표피 2배 멜라닌 4배 증가
색소, 침착 없음
노화
피부가 전체적으로 얇아짐(용해성 콜라겐의 비율 감소,주름 발생, 침착성 반점, 진피 탄력 감소)
① 표피 얇아짐
② 심한 노출시: 건성화, 심한 과각질화, 피부 위축, 피부 과중식 모세혈관 확장증, 피부
UVB보다 더 심하고
급격한 노화 초래 및tumor(쥐젓) 형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88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