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肥滿, obesity] 관련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만 [肥滿, obesity] 관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본문내용

on the Inside, TOFI)족이라고도 불리는 내장비만은 말 그대로, 겉은 날씬해서 BMI 지수 등은 비만에 속하지 않는데 내장 사이사이에 지방이 채워지면서 배가 불룩하게 나오는 올챙이 형 체형을 말합니다.
이런 체형은 주로, 식사를 자주 거르는 대신 폭식과 야식을 즐기거나, 술을 즐겨 마시는 생활 스타일을 가진 사람에게 자주 생깁니다. 특히 직장 남성의 경우 생활 스타일이 위와 같기 쉬운데다가, 호르몬의 영향으로 복부비만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더욱 위험합니다. 여성의 경우는 폐경기 이후에 위험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탈출 내장비만
식탁은 가볍고 일정하게
지방을 가능한 적게 섭취하고 칼로리와 식사량을 줄이는 가벼운 식사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먹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라면 초반에는 의사의 지시 하에 약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또, 3끼 식사를 모두 챙겨 먹음으로써 야식과 폭식을 막아야 합니다.
유산소 운동에서 근육 운동까지, 어려워도 일상에서 꾸준하게
초반에는 이미 쌓여있는 지방을 태우기 위한 유산소 운동이 중요합니다.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력이 어느 정도 다져지면 근육의 양도 함께 늘릴 수 있는 부하 운동을 병행합니다. 운동 시간을 따로 내기 어려운 회사원이라 해도, 사무실 내에서 스트레칭이나 일상 생활을 통해 움직임을 늘려주어야 합니다.
내장비만형 몸매를 방치하면 돌연사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아름다움의 미의 전부를 대표하는 것은 아닙니다. 팔, 다리가 가늘고 배는 옷으로 가릴 수 있다고 기뻐할 것이 아니라, 배만 유독 많이 나온 이유를 생각해 보고, 토피족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네이버 지식인 tae8523 >
본론
체중을 줄이려면
1. 결심을 굳게 한다.(날씬해질 모습을 상상해본다)
2. 체중을 줄이고 싶은 이유의 목록을 작성해 보고 자극을 받는다.
3. 매일 식사일기를 쓴다.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누구와 먹었는지 또 그시간에 느꼈던 기분을 함께 적으면 과식을 하게 되는 원인을 쉽게 알수 있다)
4. 시장을 갈 때는 꼭 사야 할 식품의 목록을 적어가지고 간다. 그리고 배가 고플때 시장에 가는 일은 피한다.
5. 이야기 하거나 텔레비전을 보거나 라디오를 듣거나 신문을 읽으면서 식사를 하지 않는다. 또 책상 이나 이부자리로 음식을 가지고 가는 일은 피해야 한다.
6. 음식은 되도록 눈에 띄는 곳에 놓아두지 않는다.
7. 집에서 조리를 할 때에는 꼭 식구수 만큼만 만들고 1인 분량만큼씩 덜어서 식탁에 놓는다. 그리고 조리 중에 음식을 맛보지 않도록 한다.
8. 친교활동을 갖거나 새로운 취미할도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음식에 대한 관심을 딴 곳으로 돌린다.
9. 좀 더 효과적인 체중조절을 위해 1주일에 4번이상, 1번에 40분이상씩 조깅, 테니스, 수영, 핸드볼, 축구, 에어로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면 지방조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10. 식사를 거르지 않는다.
11. 천천히 식사한다.
12. 모임에 갈 때는 무엇을 먹을지 미리 계획을 세우고 모임에는 너무 배고픈 상태로 가지 않도록 한 다.
13. 식사한 후에는 곧바로 이를 닦는다.
14. 기분으로 음심을 먹는 일을 삼감다(기분이 좋거나 나쁘다고 먹는행위)
15. 먹는 것에 대한 유혹을 이겨냈을 때 자신에게 상을 주도록한다(먹는 것은 빼고)
16. 너무 많은 금지식품을 정해놓지 않는다. 한 가지 식품에 대한 유혹을 무리치는 것보다 전체 식품 에 대한 유혹을 물리치는 것이 더 좋다.
17. 체중을 너무 자주 확인해 보지 않는다.(1주일에 한번 정도가 적당) 생각보다 체중이 빠지지 않는 다면 실망해서 포기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몸은 일정한 체중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빠지 지방조직 대신 물이 그 자리에 차서 오히려 체중이 늘거나 그대로인 기간이 있다.
18. 목표체중에 도달하는 날을 못받아 두지 말고 실천가능한 목표를 세운다.
동영상 자료
1."비만일수록 치매 위험 높아진다"
[SBS TV 2005-02-21 21:41]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ion_id2=&office_id=055&article_id=0000039091
2.[건강] "성인 비만, 사춘기 때 결정된다"
[SBS TV 2007-01-29 12:21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0&office_id=055&article_id=0000090100&menu_id=115
3.비만 아닌 과체중도 위험
[연합뉴스 TV 2006-08-24 18:35]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115§ion_id2=290&office_id=130&article_id=0000010419&menu_id=115
4."비만일수록 치매 위험 높아진다"
[SBS TV 2005-02-21 21:41]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SS2D§ion_id=§ion_id2=&office_id=055&article_id=0000039091
5.병원에서 비만관리 받은 사람 - 33%가 부작용 발생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740299&page=2&rowNum=5&q=%EB%B9%84%EB%A7%8C
6 .잘못된 비만관리! - 소비자방송
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1711647&page=2&rowNum=8&q=%EB%B9%84%EB%A7%8C
Reference
네이버 백과사전
조용직,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1999년 11일
김공헌외 10명, 건강생활 이렇게 하자, 한국보건 사회연구원.1999년 4월
비만과 영양관리, 1~2page, 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체질량지수와 연관한 비만관련질환 유병률 연구를 통한 한국인 비만기준설정 및 비만관 리 전략평가,보건복지부,65-71p,2001

키워드

비만,   체중,   BMI,   비만도
  • 가격1,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