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전거 도로와 외국의 자전거 도로의 예와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자전거 도로와 외국의 자전거 도로의 예와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자전거 도로의 정의와 구분
(2)자전거도로 계획의 배경

Ⅱ 본론
1. 외국의 자전거도로 사례
2. 국내 자전거도로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을 적극 수렴하여 부작용을 최소화시키고 자전거도로계획 권역 안에 들어있는 지역의 도로현황을 파악한다면 지금의 문제점을 완화 할 수 있을 것 같다.
유엔은 자동차 배기가스로 지구 온난화가 촉진되고 이에 따라 매년 100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100만명은 환경난민이 될 것으로 경고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대기오염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연간 20조원 이상으로 분석했다. 2005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 서울에서 대기오염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10만명을 웃돌 것으로 추정했다.
이제 자전거는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건강한 삶의 대안으로, 생활체육의 총아로 우리 앞에 다가온 셈이다. 의학계는 자전거를 매주 2∼4시간 타면 체중 감소 효과를 볼 수 있고, 매일 30분 이상 타면 당뇨 위험까지 현저히 낮출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웃 일본과 유럽의 네덜란드의 자전거 타기 생활화는 우리에게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다. 본의원이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장면들이 많았다. 암스텔담의 중앙역 앞에 설치된 수천대의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 빌딩, 일본 도쿄의 할인점에 설치된 자동차 주차장 보다 넓은 자전거 보관소 등이 자전거 문화를 이끄는 원동력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두 나라의 공통점은 정장을 한 신사와 미니스커트를 입은 아가씨, 학생, 노인 등 누구든지 자유롭게 자전거를 타고 있었다. 심지어 유모차가 딸린 자전거에 아기를 눕히고 다니는 모습도 인상적이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자전거 등록제로 도난 방지가 가능하고 어딜 가도 주차타워와 자전거 보관소가 설치돼 있으며 전철역 주변에는 어김없이 자전거 보관소가 있어서 대중교통과의 연계성을 높이고 있었다. 자전거 수송 분담률이 네덜란드 암스텔담은 무려 50%에 달하고 일본 도쿄도 20%가 넘는다고 한다.
현재 우리 아산시는 무한한 발전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현재 어느 도시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보다 확고한 의지와 대안을 가지고 모든 시민들이 공감을 가질 수 있는 자전거 도로 개설 계획을 수립하여 앞으로는 안전하고 신나게 자전거를 타면서 등하교, 출퇴근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분명 잘 만들어진 자전거도로는 살기 좋은 아산을 앞당길 것이며 누구나 오고 싶은 도시가 될 것이라 여기고 그런 날이 하루 속히 오기를 꿈꾸며 아산시는 물론이고 모든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앞장서서 노력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5.3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