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회적 갈등
1. 갈등의 정의
2. 갈등의 속성
3. 집단 간 관계에 관한 이론
4. 집단 간 갈등의 원인
5. 갈등 발생의 이론적 접근
6. 갈등의 과정
7. 현실적 갈등의 접근과 해결

Ⅱ. 친사회적행위
1. 친사회적 행동의 정의
2. 친사회적 행동의 유형
3. 협동의 진화와 사회의 신뢰성
4. 도움행위의 심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라 남을 돕는 행동을 유발한다. 좋은 기분을 유지하거나 나쁜 기분을 전환하고자 도움행위가 나타난다.
② 측은한 마음
상대의 처지를 공감하는 정서가 측은지심을 유발한다. ex) 아이가 다른 아이가 울면 덩달아 우는 것. 측은감은 불편한 심기이기 때문에 이를 모면하려는 행위를 보이게 된다.
-----------------------------------------------------------------------------
감정이입 이타주의가설> by Batson (1981)
그 행동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행복을 증가시킬 목적에 의하여 유발된다고 보았다. 도움을 받는 사람들에 대하여 감정이입을 한 정도와 도움을 제공하는 사람이 당시의 상황을 모면하기 어려운 정도를 조작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한 짝이 된 두 명의 피험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한 사람이 전기 충격을 받으면 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는 설명을 들었는데, 실제로는 전기충격을 받게 되는 사람은 항상 실험협조자였다. 거짓으로 전기충격을 받는 것처럼 꾸민 실험협조자는 전기충격을 받는 즉시 불편하다고 표시하고 어릴 적에 전기로 인해 다친 경험이 있다고 진술하였으나 그래도 계속 실험을 받겠다고 하였다. 이 시점에서 실험자는 피험자에게 실험협조자와 역할을 바꿀 수 있는지 (친사회적 행동) 물어보았다. 전기충격을 받는 실험협조자에 대한 감정이입의 정도는 실험협조자의 가치관이 자신과 비슷하거나 (높은 감정이입조건) 다르다는 (낮은 감정이입조건) 정보를 피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조작되었다. 상황을 모면할 용이성은 피험자가 실험협조자가 전기 충격 받는 것을 두 번 목격한 후에 떠날 수 있게 하거나 (쉬운 모면조건), 전기충격을 열 번 받은 것을 목격한 후에 실험을 그만 둘 수 있다고 (어려운 모면조건) 말해 줌으로써 조작되었다. 실험결과 감정이입 정도가 낮은 경우에 모면의 용이성은 친사회적 행동을 최소화 하였고 감정이입이 높은 경우에는 모면의 용이성이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 실험은 높은 감정이입은 피험자가 그 상황을 모면하는 것이 쉬운 경우일지라도 친사회적 행동을 촉진 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Cialdini와 그의 동료들은 사람은 자신의 기분을 달래기 위하여 남을 돕는다는 이기적 이론을 주장한다. 즉 사람들이 곤경에 빠진 것을 보면 슬퍼지며 이러한 기분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남을 돕는 다는 것이다.
-----------------------------------------------------------------------------
③ 성격
높은 사회적 승인 욕구를 갖는 사람이 낮은 사람보다 다른 사람을 더 돕는다. 한편 순수한 이타심에서 다른 사람을 돕는 사람도 있다.
[3] 도움요구자의 특성
우리들은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을 더 돕는다. 연구자들은 공중전화를 걸기 위해 전화박스에 있는 학생이 지나가는 사람에게 동전을 요구했을 때, 보수적 옷차림을 했느냐 혹은 히피 같은 옷을 입었느냐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는 결과를 제시한다.(Emswiller, Deaux, & Willis, 1971) 자신들과 다른 옷을 입은 학생들은 50% 정도가 동전을 얻었지만 도움 자와 유사한 옷을 입은 학생들은 70% 정도가 동전을 얻었다. 유사한 옷을 입은 사람들이 사회적 정치적 신념에서도 비슷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데, 옷이 바로 그러한 내용을 나타낸 것이라고 추측했기 때문이다.
‘팔이 안으로 굽는다.’ 는 속담이 의미하듯이 가족, 친척, 친구, 같은 학교, 한국 사람이 낯선 사람보다 자신이 키우는 개를 먼저 도울 것이 뻔하다. 하지만 이런 것도 언제나 그렇지만은 않다. 남자와 여자의 경우 남자들은 다른 사람을 돕는 상황이 위험하고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이 있을 때 여자보다 더 도움행동을 나타낸다. 남자들은 매력적이지 못한 여자들 보다 매력적인 여자에게 더 높은 도움행동을 보인다. 남자가 여자에게 나타내는 도움은 분명히 자기중심적이다. 한편 여자들은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의 성별에 관계없이 도왔으며, 위급한 상황에서 남자들 보다 더 도움행동을 보였다.( Shumaker & Hill, 1991)
[4] 상황의 해석과 귀인
측은감이 도움행위로 연결되기 위해서 사건의 책임이 어쩔 수 없던 상황 탓으로 귀인 하는 것이 필요하다. 책임을 피해 당사자에게 하는 경우에는 도움행위는 덜 나타난다. 사람들은 다양한 사건들을 접하면서 사는데 이들에 대하여 어떤 행위를 취해야 할 경우에 귀인을 한다. 어쩔 수 없이 벌어진 사건에 대하야 당사자의 책임을 묻는 것은 사람들이 세상을 통제 가능한 것으로 여기고 싶어 하는 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다. 고통이 자신의 가치관을 위협할 경우 상대방의 책임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강하다.
ex) 신앙심 강해도 도움행위를 선별적으로 행함. 자신과 유사한 처지에 있는 사람의 고통에 대해 상황 탓을 하는 경향이 강하다. ex) 강간 女 : 가해자 탓을 많이 하며 男: 피해자의 책임을 부분적으로 인정하려는 형상 나타남.
[5] 자원봉사
① 자원봉사의 동기
사람들은 남을 돕는 다양한 동기를 지닌다. 상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자부심을 느끼기 위해, 어려움의 도전을 통한 자기수양, 공동체에 대한 관심, 자신의 가치관의 실천을 위해 등등. 그러나 이기적인 목적의 동기를 지닌 -자기수양, 자기가치의 확인을 내세움- 사람들이 이타적인 동기를 지닌 사람들보다 자원봉사 오래하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이다.
② 자원봉사자의 성격
측은지심을 많이 지닐 경우 남을 잘 돕는다. 공정한 세상가설과 보상을 받을 것이라는 믿음, 강한 사회적 책임감, 내통제적 성격, 낮은 자기 중심성향, 지속적 도덕적 가치관과 헌신하고자 하는 마음을 지니고 있다.
♧ 참고문헌
한규석 저.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06.
한덕웅, 성한기, 강혜자 외 5 공저.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5.
노종희 저. 교육행정학-이론과 연구. 서울: 문음사, 2005.
이훈구 저. 사회심리학. 경기: 법문사, 2002.
이동원, 박옥희 공저.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3.
홍성열 저. 사회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4.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6.0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