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리의 인간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웨슬리의 인간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 타락 이전의 인간의 상태
1.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본래적 인간(인간의 기원과 성격)
2. 인간의 창조 목적
3. 인간의 구조

Ⅲ. 하나님의 형상을 잃어버린 인간
1. 인간의 타락
2. 원죄와 특수한 죄
3. 죄의 결과
4. 남은 자들을 통한 구원

Ⅳ. 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으셨는데”(이사야6:1, 개역한글판) 라고 말했다. 그리고 다시 그는 “남은 자 곧 야곱의 남은 자가 능하신 하나님께로 돌아올 것이라. 이스라엘이여, 네 백성이 바다의 모래같을지라도 남은 자만 돌아오리니 넘치는 공의로 훼멸이 작정되었음이라”(이사야 10:21-22)고 말했다. 사도 바울은 이 진리를 알았으며 이사야를 인용하면서 “남은 자만 구원을 얻으리라”(롬 9:27)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다시 “그런즉 이와 같이 택하심을 따라 남은 자가 있느니라”고 선언했다.
하나님은 인간의 실패와 배신에도 인간을 포기하시지 않으신다. 언제나처럼 그는 지금도 신실하고 의로운 남은 자들을 갖고 있다. 그 충성스러운 남은 자들은 통해서 하나님은 세계복음화의 목적과 하나님 나라의 건설을 이루고 계신다. 하나님은 그의 아들 그리스도 예수의 구속적 권능을 통하여 그 자신의 형상대로 새로운 인간성을 창조하시고 계신다. 인간은 여전히 인간이고 인간성은 여전히 인간적이다.
Ⅳ. 맺음말
웨슬리는 본래적인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거룩한 인간, 무죄한 인간임을 전제한다. 그러나 인간은 인류의 시조 아담의 타락으로 하나님의 형상을 상실하여 악마와 짐승의 형상으로 입어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어 사망은 물론 의지의 자유까지 상실하게 되었으나 하나님의 선행 은총으로 회복되어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을 통한 하나님의 형상을 다시 새로운 인간을 말하였다. 이런 웨슬리의 인간론은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강조하는 인간론이다. 그의 인간론과 죄론에는 실존주의적 경향이 농후하다.
인간은 한편으로는 훌륭한 하나님의 창조물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나도 나약하고 죄에 빠질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이다. 그러나 인간은 틀림없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으며 하나님과 관계를 맺으며 살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이다. 인간은 하나님과 교통하지 않으면 한시라도 살 수 없는 존재들이지만 진정 자유로운 존재이다.
참고자료
1. 단행본
김영선. 「존웨슬리와 감리교 신학」. 서울: 대학기독교서회, 2002.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4.
송흥국. 「웨슬리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9.
Wyncoop, Mildred . 「칼빈주의와 웨슬리신학」. 한영대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7.
Lindstrom, Herold. 「존웨슬레와 성화」(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교육국, 1962)
Mickey, Paul A. 「웨슬레 신학의 요약」. 라영복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Wesley John. “표준설교집(Ⅰ,Ⅱ).”「존 웨슬리 총서(2)」. 박봉배 외역. 서울: 한국교육도서 출판사, 1976.
Cannon, William R. The Theology of John Wesley. New York: Abington-Cokesbury Press, 1946.
Carter, Charles W. A Comtemporary Wesleyan Theology-Vol 1. Grand Rapids: Francis Asbury Press. 1983.

키워드

,   ,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6.07
  • 저작시기200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