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편 전쟁으로 다시 본 중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편 전쟁으로 다시 본 중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아편 전쟁 전의 중국 사회
1. 아시아 최후의 대제국 청(淸)
2. 왕조 체제의 완성
3. 구사회의 변화
4. 청조의 쇠퇴

Ⅲ. 근대 서구 열강과 일본의 중국 인식 & 그 시대 배경
1. 근대 유럽의 중국 인식
2. 근대 일본의 중국 인식
3. 유럽의 식민지 개척

Ⅳ. 제 1차 아편 전쟁
1. 아편 전쟁의 발단
1) 영국의 공업화와 광동 무역
2) 아편 문제
2. 아편 전쟁의 발발 & 결과
1) 임칙서의 아편 정책
2) 전쟁의 도화선
3) 중국의 패전과 남경조약의 체결
4) 아편전쟁의 영향

Ⅴ. 제 2차 아편 전쟁
1. 아편전쟁 이후의 중ㆍ영 무역
2. 애로우 전쟁
3. 북경조약의 체결과 영향

Ⅵ. 아편 전쟁의 의의

Ⅶ. 맺음말

본문내용

청나라와 텐진 조약을 체결하였다. 1859년 영국과 프랑스의 조약비준 사절이 텐진에서 저지되자 다시 전쟁이 일어나 영국, 프랑스 연합군은 1860년 베이징을 침공하여 명원 및 원명원 등 궁전을 약탈, 방화하였다. 이에 정조가 굴복하여 1860년 베이징 조약을 체결. 사과와 배상 및 그리스도의 중국 내륙 포교를 허가하였다.
을 구실로 광서에서의 프랑스인 선교사 처형 사건의 배상을 요구하고 있던 프랑스룰 꾀어 공동 출병하여 애로우 전쟁(제 2차 아편전쟁)을 일으켰다. 영국 프랑스 연합군은 1857년 말에 광주를 점령한 후 북상하여 천진에 육박하자 청조에게 조약 개정을 요구하였다. 굴복한 청조는 텐진 조약을 맺게 된다. 텐진 조약의 주요 내용 : 외교 사절의 북경 상주, 외국인의 내지 여행의 자유, 장강의 개방, 개항장의 증가(남경을 포함한 10항), 크리스트교 포교의 자유 등을 승인함.
그러나 그 후 분쟁이 일어나 영국과 프랑스 양국은 재차 공격하여 대고, 텐진을 점령하였고, 1860년 9월에는 북경에 침입하여 원명원을 태우고 약탈을 자행하였다. 청조는 텐진조양을 비준함과 동시에 또 다시 북경조약을 체결하였던 것이다.
3. 북경 조약의 체결과 영향
환약 전쟁(換約戰爭)과 영ㆍ프 연군의 북경 점령 등의 일을 당한 함풍제는 북경을 떠나면서 공친왕(恭親王)에게 영ㆍ프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텐진 조약의 비준서를 교환하여 그들이 하루 빨리 북경을 떠나도록 했다. 따라서 공친왕은 10월 24일과 25일에 영국ㆍ프랑스와 각각 북경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1) 북경 조약의 주요 내용 :
북경 조약의 내용은 텐진 조약을 인정하는 이외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시켰 다. ① 텐진의 개항, ② 중국 노동자의 출국 인정, ③구룡(九龍)을 영국에 할양, ④ 금교 조치로 국가에 귀속된 구천주교 재산의 반환 여기에 통역을 맡았던 선교사들이 중문본(中文本)에 선교사는 강성에서 토지를 구입하여 교회를 지을 수 있다는 항목을 추가함.
, ⑤ 텐진 조약에서 합의된 배 상금에 800만 냥을 추가함
2) 북경 조약의 영향 :
북경 조약의 결과 중국의 폐관정책은 완전히 실패로 돌아갔으며 중국의 개방은 확대되고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세계 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1) 북경 중앙 관리들의 서양에 대한 인식 :
서양 사람들이 자신들이 생각했던 것처럼 야만인이나 오랑캐가 아니라는 사실 을 깨닫게 되었다. 후에 중앙의 중요 대시들은 서양에 대한 인식을 크게 바꾸고 뒤이어 양무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2) 중국 정치 개입 :
외국 공사의 북경상주는 국제 관례에 따른 것이라고는 하지만 공사들이 중국 정치에 깊게 개입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이후에 양무파가 대두되면서 이들과 정치협력관계를 맺었다.
(3) 개항장의 증가 :
서양의 무역이 아편전쟁 직후에 동남연해지방에만 치우쳤던 것과 달리 양자강 중류 내지 깊숙이까지 통상을 위한 개항장이 늘어났다. 따라서 서양 각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중국 경제는 더욱 어렵게 되었다.
(4) 교회의 증가 :
중국 내지까지 자유로운 선교가 가능해져서 많은 교회가 세워지고 또한 신도의 숫자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하여 중국인과 분쟁이 일어나 적지 않은 교안(敎案)이 도처에서 발생하였다.
Ⅵ. 아편 전쟁의 의의
아편 전쟁은 단순히 아편 문제만이 아니라 중국의 전통적 사회가 서양의 사고 방식과 문화에 부딪혀 일어난 것이다. 아편 전쟁은 중국 전통 사회 동요의 한 단서가 되었으며, 난징조약으로 인한 개국은 열강의 중국 침투로 이어져 중국 반식민지의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반식민, 반봉건사회를 타파하려는 운동, 곧 근대화의 시발점이 되기도 하였으니, 이로써 아편전쟁은 중구 전통사회를 깨뜨리는 시발점이자, 중국 역사의 전환점이자 중국 근대사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아편정쟁은 중국 뿐 아니라 동양사회 전체에 커다란 충격을 준 사건이었다. 아편전쟁의 패배와 그 후 서방 자본주의의 진출을 계기로 중국은 사회, 경제적으로는 서양의 상품시장이자 원료 공급지로 전락되면서 국민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은 봉건적 경제체제가 점차 해체되고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일환으로 편입되면서 근대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Ⅶ. 맺음말
지금까지 아편 전쟁은 왜 일어났으며 전쟁의 결과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물론 아편 전쟁이 일어난 직접적인 동기는 아편으로 인한 은의 유출이지만 이 문제만이 전쟁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다. 아편전쟁은 중국의 전통적 사회가 서양의 사고방식과 문화에 부딪혀 일어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편전쟁이 있기 전, 중국인들은 전통적으로 중화사상에 사로잡혀 대외에 대하여 쇄국 정책을 하고 있었다. 아편전쟁이 일어나기 전의 광동 무역 체제가 쇄국정책의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문화적 중국 중심 주의를 바탕으로 한 조공체제와 중국 기존 질서를 조금 더 일찍 타파하였더라면 반식민지화의 운명에 과연 처하게 되었을까?
또한, 그 당시 청나라의 황제가 인민과 유리된 상태에서 자신의 안위와 부귀, 권세 유지만을 걱정하지 않고 인민과 함께 했어야 한다. 그 시대 관리들과 황실에서 황실 중심의 생각을 버리고 인민 위주의 생각을 했더라면 분명히 인민이 황실, 나아가서는 국가를 위하는 마음이 커졌을 것이다. 그렇게 되었다면 자연히 청나라의 병력은 증강하였을 것이고, 영국군에 대항하는 청나라의 군대 또한 훨씬 거세고 힘차게 대항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일본의 메이지 유신처럼 타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먼저 나아가 서구 문명을 받아들였다면 반식민지화는 되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의 관리들이 서양의 근대화된 개혁 자료를 자발적으로 받아들여 제시했다면 좀 더 일찍 중화중심을 탈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개혁이 진행되었다면 태평천국운동, 변법자강운동, 양무운동 등의 운동이 보다 더 새로운 체제나 다른 방식으로 개혁이 되었을 것이다. 그랬다면 지금과는 다른 중국의 모습이 되어 있었을 것이고, 어쩌면 우리는 공산국가가 아닌 민주국가 중국의 모습을 만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키워드

중국,   아편,   전쟁,   북경조약,   영국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6.1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