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R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SDR의 정의

Ⅱ. SDR의 특성

Ⅲ. 세계의 SDR연구 방향

Ⅳ. SDR의 요소기술

Ⅴ. 결 론

본문내용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SDR표준화를 위한 활동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SDR포럼의 아시아 대표로서 활동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유럽과 같이 아시아 국가들이 상호 협조 하에 공동 연구 및 regulatory 회의 진행을 통해 이동통신 시장에서 아시아의 위상을 향상시키기를 바라고 있다.
초창기 일본의 SDR기술의 연구는 ARIB(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 전파산업회)의 소프트웨어 무선 조사 검토회에서 1996년도부터 SDR에 관한 기술과제, 시장 전망, 표준화 항목 등에 대한 조사 실시로 시작되었다. ARIB에서는 SDR기술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검토 연구를 진행하였고 1999년 3월에 최종보고서를 제출하였다.
1998년에는 IEICE(Institute of Electronic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내에 SDR study group을 결성하여 SDR기반 무선 시스템의 실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의 기업들은 SDR기반 프로토타입 개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NTT에서는 SDR의 미래 무선통신에서의 역할에 대한 청사진을 바탕으로 프로토타입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SONY, NEC, Anritsu 등의 기업에서도 관련 연구 개발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SONY의 CSL(Computer Science Lab.)은 ATL(Advanced Telecommunication Lab.)과 함께 멀티포트 기반 직접 변환 SDR플랫폼인 SOPRANO(Software Programmable and Hardware Reconfigurable Architecture for Network)를 제안하였다. 이는 수신 기능만을 수행하며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 2.45GHz와 5.25GHz를 가지고 PSK와 QAM 신호들을 수신한다.
4G 시스템 개발에 착수하려 하는 우리나라에서는 SDR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었다. 각 대기업 및 벤처 기업에서는 3G 이동 통신 시스템의 SDR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학교에서는 SDR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요구되는 기반 기술 연구에 주요 관심을 보이고 있다.
Ⅳ. SDR의 요소기술
멀티밴드, 멀티모드 기능을 갖는 SDR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술들은 단순한 무선통신기술이 아니라 컴퓨터, 반도체, DSP기술, 소프트웨어공학 등의 여러 가지 시스템 기술이 요구되는 기술의 통합 및 조화를 필요로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SDR기술은 소자기술부터 시스템기술까지 매우 광범위하며, [표1]과 같이 크게 네 가지 요소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기술 및 내용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요소기술
세부요소기술
내 용
소자기술
A/D, D/A 변환
고속, 고분해능 소자 개발 기술
광대역 RF
광대역 Amp, 광대역 안테나
디지털 IF
디지털 IF 소자 기술
FPGA, DSP
고속, 저전력 소자 기술
SDR프로세서
SDR용 프로세서 제작 기술
소프트웨어 기술
소프트웨어 구조
SCA
미들웨어
Virtual Machine, CORBA, JAVA
OS
RTOS
Description 언어
UML, XML
통신 기술
네트워크 기술
네트워크 간 Handover, 네트워크 탐지
다운로드 기술
OTA 다운로드 프로토콜
보안 및 인증
프로토콜 불법 사용 방지, 도청 및 간섭 방지
시스템
하드웨어 Abstraction
시스템 구조,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플랫폼
SDR테스트 베드, 스마트 안테나 등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반적인 SW 시스템 기술
스마트 안테나
스마트 안테나 API 표준 개발
[표 1] 요소기술 분석
Ⅴ. 결 론
SDR은 일반적으로 고정된 하드웨어 플랫폼 을 사용하는 동안 소프트웨어를 통해 유연성을 주는 무선시스템이기 때문에, SDR시스템 설계시 기능 향상 및 새로운 기능 추가 등은 대부분 소프트웨어로 해결하고 그 밖의 성능개선들은 효율적인 하드웨어 설계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SDR기술은 기존의 고정된 하드웨어 중심의 무선시스템을 소프트웨어 중심의 멀티밴드 / 멀티모드 무선시스템으로 패러다임을 이동시키는 중요한 차세대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규격의 무선 네트워크들 간의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보장하기 위해 재구성 가능한 SDR플랫폼이 절실히 요구되며, 결국 미래의 무선 통신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SDR에 대한 연구 및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SDR,   4G,   3G,   DSP
  • 가격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7.05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