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고츠키의 Z,P,D 이론및 교육적 시사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고츠키의 Z,P,D 이론및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Vygotsky의 생애 (Lev S.Vygotsky : 1896~1934)
2.학문적 배경
3.Vygotsky의 인지발달
4.Vygotsky의 고등정신 기능
5.근접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6.Vygotsky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Ⅲ . 결 론

Ⅳ.참고 문헌

본문내용

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사회적 구성주의로 대변되는 Vygotsky이론을, 교실에서 실천하는 방법으로는, 학생들에게 소그룹별 학습을 보다 많이 하도록 하는 것이다.
소그룹은 의견 교환을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상력이 부족한 교과서식 문제를 사용하는 수업에서의 의견교환은, 주로 답이나 문제풀이를 서로 비교해 보고 도움을 요청 하는 경우, 단순히 해답을 어떻게 구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전부를 차지한다. 이런 형태의 의견교환을 지양하는 것보다 추측이나 반박 또는, 과학처럼, 실험의과정이나 토론의 과정에 의존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학습의 방향선정이 필수 이며, 이는 전적으로 교사의 관심과 노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Vygotsky의 이론에서 비추어 보면 수학교사는 학생들의 훌륭한 인지적 모델이 되어야함을 강조한다. Vygotsky는 그의 이론에서 모델이라는 용어대신 ‘모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일상생활에서 보면 아이가 숫자를 세거나 읽을 때도 부모나 어른으로부터 모방에 의해서 배우게 된다. 교과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도 이와 같은 식으로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과 또래들의 상호 협력을 모델화해서, 고등정신기능을 배운다고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교사의 모델링은 반드시 학생의 근접발달 영역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학생의 근접발달 영역 의 최저 수준과 최고수준의 범위에서 행해지는 모델링은, 인지적 기능의 내면화를 가져오기 보다는 오히려 학생들의 무관심과 단순하고 무의미한 모방에 그쳐, 아무런 학습발달을 가져올 수 없기 때문이다. 스케폴딩과 상호주관성이 인도적 참여를 강조한다면, 모델링(모방)은 인지적 견습활동을 강조 하고 있다.
또한, Vygotsky 교육론에서는 영. 유아 조기 교육에 있어 부모의 역할이 중요시됨을 알 수 있다. 아이의 눈에 비친 부모는 아이의 일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실제로 부모나 돌보는 사람이 가르치고, 제시해 주고, 격려할 때 훨씬 더 효과적인 학습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할만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에게 풍부한 경험과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자극을 주어야한다. 아이에게 자기 전에 흥미를 끌 수 있는 동화책을 읽어주거나,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여러 가지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부모의 눈으로 볼 때 아무리 뛰어난 교육적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아이가 거부 반응을 일으키면 강요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는 Vygotsky의 이론에 많은 매력과 교육적 공감을 느끼며, 특히 근접 발달영역에 관한 그의 이론에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Piaget의 이론 및 업적역시 아동의 인지발달교육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두 학자의 이론을 절충적으로 적용하면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본다.
Ⅳ.참고 문헌
1.임규혁(2005).교육심리학, 학지사.
2.한순미(1999).비고츠키와 교육 : 문화-역사적 접근. 서울,교육 과학사.
3.심우엽(2002).비고츠키의 이론과 교육. 춘천교대 연구논문.
4.김지현(2002).학습자 발화의 본질과 기능, 아시아교육 연구.
5.송선희(2000).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성 연구, 교육심리 연구.
6.Wertsch, J. V. (1992).L. S. Vygotsy and contemporary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Psychology,28(4). 548-557.
7.Vygotsk,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Edited by A. Kozulin). Cambridge, MA; MIT Press.
8.Thomas,R.M.(2000). Comparing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5th ed.). Belmont, CA; Wadsworth.
9.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0.Daniels, H.(2001). Vygotsky and Pedagogy. New York; RoutledgeFalmer.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7.08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