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각장애인의 TV방송 접근실태와 개선 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 제기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목적
4.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연구 결과 및 해석
(1)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2) 청각 장애인을 위한 수화방송
(3) 시각장애인을 위한 화면 해설방송
6.정보접근의 문제점
7.개선방안 및 정책제언
8.결론

본문내용

오늘날은 정보화 사회인 만큼 대용량의 정보들이 매체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 중에서 TV방송은 보고 듣는 것을 전제로 하여 이루어지는 대중매체의 대표적인 경우인데 시청각 장애인들에게는 자신의 신체적 불리함으로 인해 TV의 방송접근 조차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 받는 기회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정보 소외감은 곧 사회적 소외감으로 연결 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초래되는 불평등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불평등은 정보의 소외계층, 커뮤니케이션의 빈자들의 사회 참여의 기회도 감소되는 악영향을 가져오게 되기 때문이다. 장애인의 모든 접근권 중에서도 특히 방송과 정보 접근권 확보는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방송 접근권은 사회 모든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아주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방송접근권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송접근 현황을 알아보고 정보접근에의 확대를
시각장애인이란?
  법적으로 시각장애는 ‘장애인복지법시행령’과 ‘특수교육진흥법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시력 0.1 이하를, 특수교육진흥법에서는 0.04 이하 또는 그 이상이라 하더라도 촉각이나 청각을 주요 학습 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를 시각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있다.
청각장애인이란?
청각기관의 어느 부위에 손상을 입어 듣는 능력에 불능을 가져오게 한 다양한 정도를 포괄해서 말한다. : 넓은 의미에서는 청각 기관의 기능 저하를 말하는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장애로 인한 사회적 장애를 포괄한다.
KBS
① 공영 방송 이어서 그런지 홈페이지에 따로 장애인을 위한 자료실 마련
    오전 : 8시~11시, 오후 : 8시 ~ 11시
  • 가격2,1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7.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0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