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출성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출성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사출성형
1.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2. 사출조건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3. Flow In Complex Mold
4. 사출성형을 위한 Computer 해석

Ⅱ. 고분자 사출성형의 혁신기술
1. 사출성형의 변화
2. 일반 사출성형
3. 저압사출성형
4. 고품위 외관 사출성형 기술
5. 고성능화 사출성형 기술
6. 복합부품 및 일체화 사출성형
7. 사출성형 관련 기술

Ⅲ. Moldflow

Ⅳ. 사출기제조기업 분석

Ⅴ. 사출성형의 고찰 및 향후 기술개발 동향

본문내용

밀성형이 가능하여 보수관리가 편리하다.
① 유압밸브를 실린더 가까이 설치하여 응답성 향상 및 정밀제어가능
② 압력 및 유량비례제어 밸브를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저속, 고압/고속, 저압제어 가능, 재현성 및 응답성이 우수하다.
③ 비압제어에 비례밸브를 설치하여 미세압력조정, 성형조건 저장 및 출력이 가능하므로 금형관리가 편리하다.
4.1 사출
① 재현성이 우수한 포지션 트랜스듀서를 사용하여 다단, 속도, 압력제어 정확.
② 원료교환 자동기능을 채택, 원료교환 및 색상교체 시간을 절약하여 생산성 향상.
③ 온도변화에 대한 응답성이 높은 PID(비례미분적분) 온도제어 표준선택으로 정밀안정 성형 가능.
④ 범용 스크류 및 수지에 따른 내마모, 내부식, 고혼련 스크류 장착 가능.
4.2 형체
① 넓은 타이바 간격 및 최대금형, 긴 형체 스트로크로 다양한 작업가능.
② 편심로울러에 의한 형판 높이조정으로 금형보호 기능향상.
③ T홈으로 인한 금형부착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성 향상 도모.
④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기계, 유압, 전기식의 3중 안전장치 적용.
4.3 유압
① 유압 유니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수관리 편리.
② 각 부분 동작 상태 확인편리.
③ 차동회로에 의한 형폐속도 고속화로 생산성 향상.
④ 미세금형보호 회로선택으로 정밀성형.
4.4 사출기에 장착된 지원시스템의 개념
Ⅴ. 사출성형의 고찰 및 향후 기술개발 동향
: 플라스틱 산업의 발전 동향을 보면 지구환경문제, 시장의 세계화, 정보화 및 사회구조에 대응하여 왔으며, 이에 따라 사출성형기술도 무한경쟁 하에서 원가절감, 21C에 대응하는 고부가 가치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사출성형기술의 개발은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① 환경친화적 기술
: 유럽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각종 규제 및 협약, 등이 강화되고, 이는 환경친화적인 제품이 아니면 더 이상 경쟁을 할 수 없는 상황이 현실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재료를 절감하고,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정, 공해물질을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공정, 자원을 재활용하는 리사이클링 공정, 등이 개발될 것이다.
② 공정단축 및 고속화공정과 관련된 기술개발
: 복잡한 구조 성형품의 경우 후가공 공정인 스프레이 코팅으로 외관 품질을 구현하는데, 이러한 후가공 공정을 없애고, 사출성형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는 무도장 성형기술이 대표적인 공정단죽의 예이다.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성형사이클의 고속화가 필요한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사출성형기와 금형 기술의 개발이 예상된다.
③ 사출성형 기술을 이용한 제품의 기능성 향상
: 자동차, 등 기계제품은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여러 개의 부품을 모듈화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술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대표적인 예가 미국 Delphi사, GE plastic, GM사가 공동으로 가스사출성형을 이용하여 개발한 자동차 도어(Superplug)는 기존의 61개의 부품을 하나로 모듈화한 것이다.
④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술의 개발이 지속적 요구
: 새로운 재료개발의 한계를 감안하면, 성형공정만으로 제품의 각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계속되리라 예상되며, 이미 개발된 기술도 적용이 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실용화 기술의 개발도 요구된다.
⑤ 사출성형 제품의 개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축
: 최근에 널리 인식되고 있는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도구 및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제품의 개발과정을 보면 마케팅, 개념설계, 제품설계, 금형가공, 그리고 생산으로 구성된다.
[ 전통적인 개발방법 ]
각 단계의 진행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최종 생산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개발 초기에 발견하기 매우 어렵고, 각 단계의 전문가들과의 상호 정보교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 동시공학에 의한 개발방법 ]
병렬적인 진행과정으로 개발 초기부터 마지막단계까지 관련전문가들 간의 필요한 정보를 상호 공유함으로써, 문제점의 조기 발견 및 개선 등이 가능하고, 이것이 개발기간의 단축으로 이어진다.
▣ 참고문헌
1. 김성철, “고분자공학 I", 喜重堂, 1994, pp.423~432
2. 압출 성형연구회, “사출압축압출성형”, 기전연구사, 1991, pp.15~168
3. 홍명웅, "사출성형기술 I", 기전연구사, 1990
4. 손양언, “사출금형기술”, 구민사, 1998
5. 현재천, “유변학의 이론과 응용”, 한국유변학회, 2001, pp.571~607
6. 노원기 외 2명, “Word Best를 위한 사출성형과 제품설계”, 교보문고, 2006
7. 삼성전자 설계실, “사출성형기 강좌”, 삼성전자, 1993
8. 조동현, “사출성형공정”, 프라코---------------------총설
9. 서영수, “가스사출성형”, 대구대학교 화학공학과---------총설
10. 김대식, “사출성형”, 제일모직----------------------총설
11. 김수근, “플라스틱 사출성형가공과 유해성”, 대한산업보건협회 산업보건 연구소
12. 이상헌외 2명, “의사 솔리드 부품 모델에 대한 금형 설계 시스템의 개발”, 한국CAD/CAM 학회 논문집, 제10권 제3호 2005년 6월, pp.151~161
13. 손영곤, “사출성형된 고분자 블렌드의 형태학적 상구조 예측”,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elastomer Vol.39, No.3, 2004, pp.193~208
14. 김보현, “안정적인 사출성형조건의 탐색을 위한 지원시스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생산시스템 팀, IE Interfaces Vol.18,No.1 2005, pp.73~81
15. http://www.geplastic.com/
16. http://www.mmsh.co.kr/
17. http://www.plamerce.com/
18. http://www.scorim.com/
19. http://www.trexel.com/
20. http://www.vmtech.co.kr/
21. http://iselex.com/2006/html/index.asp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07.07.20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