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 과거시제체계'-었-' 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학 - 과거시제체계'-었-' 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작하기에 앞서

2. 「한국어 문법 형태소 ‘-었-’의 의미에 관한 연구」서울여대 대학원 아소 요꼬
2.1. 화자의 ‘기억’을 강조
2.2. 화자의 ‘확신’을 강조
2.3. ‘-었-’의 확장적 사용의 예외
2.4. 결론
<토의내용>
'-었-' 의 다른 확장의미에 대한 토론
'-었-' 의 예외는 동사와 부사어의 잘못된 사용

3.「현대국어 ‘-었-’의 기능 연구」『언어과학연구 제27집』,송창선(대구한의대학교), 2003
3.1. 문제의 제기
3.2. ‘-었겠-’에 쓰인 ‘-었-’의 기능
3.3.‘-었더-’에 쓰인 ‘-었-’의 기능
3.4.‘-었₁었₂-’에 쓰인 ‘-었₁-’의 기능
3.5. 마무리
<토의내용>
- 이 예문에서의 선어말 어미 ‘-었-’의 의미를 ‘완료의 지속’이라고 보는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가?
-“완료의 지속”이라는 것 또한 과거시제의 일부분이 아닌가?

4.「국어의 상과 시제문제」염상모
4.1. 과거시제 형태소로 알려져 있던 ‘았’ →완료 형태소라는 의문이 생김
4.2.관형사형 ‘-ㄴ’은 동사에 붙어서 과거 혹은 현재완료를 나타내지만 여기서도 기준시점이 분명치 않음.
4.3.회상시제 ‘-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토의내용>
- 기준시점에 따라 과거시제의 체계가 달라진다면 그 예를 들어 설명하여라.

5.「{-었었}의 의미와 기능」『연구논문집 제13권 제2호』, 고정의, 1982
5.1. 서론
5.2. 요약
5.3. 의미 분석 결과
<토의내용>
- {-었었-}과 {-었-}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6. 끝내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해해야 한다. 위의 예문에서 ‘공부하는’의 시제는 두 가지로 해석된다. 발화시를 기준으로 하면 주문장의 시제가 발화시 이전이므로 과거시제가 된다.(주문장의 시제는 ‘도와주었다’.)하지만 ‘공부하는’의 시제를 ‘도와주었다’의 주문장의 사건시와 관련시킨다면 이것은 과거에 있어서의 현제시제가 된다. 즉 발화시만을 기준으로 결정되지 않는 복잡한 문장은 주문장의 사건시에 의존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상대적 시제를 사용하여 결정한다. 상대적 시제 는 관형사형에서 비교적 분명히 표시된다.
즉, 기준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시제의 체계를 알고 완료냐 과거냐를 굳이 둘로 나누려 하려는 것보단 그 문장의 시제를 알고 문장의 현재/과거/미래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이 논문의 주요 요점이다.
「{-었었}의 의미와 기능」『연구논문집 제13권 제2호』, 고정의, 1982.
<논문내용>
1. 서론
{-었었}의 의미는 형태소 자체의 기능적 의미에서 규명될 것이 아니고 발화상황에 따른 문맥적 의미에서 논의되어야 하 성질의 것임을 밝히고, {-었었}은 과거 경험을 진술하는 형태소로서, 그 경험의 주체는 경험사실을 진술하는 화자임을 살펴 보았다. 한편, {-었었}은 형태적으로는 복합형태로 보아 앞의{-었-}은 과거를, 뒤의 {-었-}은 경험의 진술을 나타내는 것임을 고찰하였다.
2. 요약
첫째, 국어의 선어말 어미 {-었었-}은 시제와 상의 범주를 함께 가지고 있는 ‘혼합자질의 융합체’이므로 시제나 상 어느 일면의 범주로 다루어질 것이 아니라 시제와 상 두 범주로 공히 다루어야 한다.
둘째, {-었었-}은 동사의 의미특성에 따라 상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었었-}의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서는 어휘자질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의미는 그 형태 자체가 갖는 고유한 기능에서 비롯되는 기능적 의미와 그 형태가 다른 형태와 결합하는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문맥적 의미의 두 가지가 있으므로 {-었었-}의 의미는 그것이 쓰이는 환경, 즉 발화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형태소 {-었-}과 {-었었-}의 의미가 반드시 대조적인 것으로 대비시켜 {-었었-}의 의미를 규정할 수 없으며, 이러한 대비에서 규정되는 {-었었-}의 의미는 {-었었-}이 나타내는 의미의 일면에 불과한 것이다.
3. 의미 분석 결과
1) 지금까지 {-었었-}이 시제 범주상 대과거 또는 과거완료로 분류되어 온 것은 기준시가 무시된 모호한 개념으로, {-었었-}은 대과거를 나타내지 않는다.
2) {-었었-}이 ‘완료-재확인(또는, 회상)상’, ‘단속상’, ‘경험-대조상’, ‘강조’ 등으로 규정되어 온 것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고, {-었었-}이 나타내는 다양한 이차적 의미를 규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었었-}이 ‘대조’를 나타내거나, 동사의 특성에 따라 ‘단속상’ 을 나타내거나, 사건의 선후관계에 따라 ‘대과거’ 를 나타내거나, 또는 ‘강조’ 등을 나타내는 것은 {-었었-}의 경험적 성격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었었-}이 ‘과거의 경험’을 표현하기 때문에 때로는 회상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고, 현재와는 내용이 다른 과거의 사실, 즉 단속적 의미로도 의식되나 그것이 본질은 아니다.
3) {-었었-}은 {-었-}에 비하여 화자의 경험적 사실의 진술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화자가 진술하는 내용을 경험적 사실로 나타낼 때 {-었었-}이 쓰이는 것이다.
4) {-었었-}의 의미는 {-었었-}이 결합하는 어휘의 자질을 고려하여 규정하여야 하며, 그것은 형태소 자체의 의미에서보다 발화상황에 따른 화용론적 레벨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5) {-었었-}이 진술하는 경험의 주체는 문장의 주어가 아니고, 그 사실이나 상태를 경험적 입장에서 말하는 화자가 된다. 그러므로 서술문의 경우 주어가 제 1인칭이면 문장 주어와 화자가 일치하므로 경험의 주체는 ‘나’이지만, 문장 주어가 2인칭이나 3인칭인 경우에는 내용 진술의 화자가 경험주가 된다.
6) {-었었-}은 {-었₁-}과 {-었₂-}로 분석되는데, {-었₁-}은 과거를 나타내는 형태소로, {-었₂-}는 경험의 진술을 나타내는 형태소이다.
7) {-었었-}은 {-었-}이 쓰이기 시작된 이후에 발달된 형태로 현대 국어로 넘어오면서 생산적으로 쓰이게 되고, 그에 따라서 의미의 확장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토의내용>
1. {-었었-}과 {-었-}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논문 내용의 유사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었-}에 대한 ‘완료’, ‘과거+완료’, ‘현재까지의 진행, 과거진행’, ‘현재까지의 반복 또는 습관, 과거반복 또는 습관’, ‘과거 완결, 현재 상태의 발생’ 등 문장에 나타난 다양한 {-었-}의 의미는 {-었었-}의 기본적 의미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 있다. 또한, {-었었-}의 의미는 {-었었-}이 결합하는 어휘의 자질을 고려하여 규정하여야 하며, 그것은 형태소 자체의 의미에서보다 발화상황에 맞춰서 논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 끝내면서
지금 까지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었-’의 의미를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 보았다. 동일한 주제를 분석한 것이라 유사한 부분이 많았지만, 동일한 내용을 학자에 따라 달리 해석하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 교재인 『국어학의 이해』의 문법론 단원에서 제시된 ‘-었-’의 의미는
“국어의 과거시제는 ‘-았/-었’ 에 의해 실현되고 대과거시제는 여기에 다시 ‘-었-’ 이 하나 더 결합됨으로써 실현된다.(p.139)”
고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조원들과 자료를 찾고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강의를 통해 배운 내용을 보다 깊게 공부 할수 있었으며, 개인적인 지식의 축적은 물론 조원들 모두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참조문헌:
「한국어 문법 형태소 ‘-었-’의 의미에 관한 연구」,서울여대 대학원 아소 요꼬.
「현대국어 ‘-었-’의 기능 연구 -‘-었겠-’,‘-었더-’,‘-었었-’을 중심으로-」,『언어과학연구 제27집』, 송창선(대구한의대학교), 2003.
「국어의 상과 시제 문제」, 염상모.
「{-었었}의 의미와 기능」, 『연구논문집 제13권 제2호』, 고정의, 1982.

키워드

국어학,   과거시제,   ,   시제,   형태론,   문법론,   통사론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8.1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