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질환의 재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노화에 따른 인체의 변화 ★
★ 골다공증 ( osteoporosis ) ★
★ 퇴행성 관절염 ★
★ 치매(Dementia)와 Alzheimer씨 병 ★

본문내용

ve change)와 조기 치매(early dementia)를 감별 진단함으로써 치매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경인지검사가 유용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치매와 정상적인 나이에 따른 인지변화를 감별하는 가장 민감한 검사는 장기기억회생검사(delayed memory recall test)로 알려져 있으며, 이름대기(naming) 또는 언어적 유창성(verbal fluency) 등 언어검사가 그 다음으로 민감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들은 필히 신경인지검사들을 사용하여 평가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4가지의 독특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신경인지검사 의한 치매의 종류(Prifile of Dementia)
a. 진행성 기억력 장애 (Progressive Amnestic Dementia)
b. 일차성 진행성 실어증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c. 진행성 시지각 장애 (Progressive Visuospatial Dysfunction)
d. 진행성 집행기능 장애 (Progressive Comportmental-Executive Dysfunction)
(2)치매의 초기진단 시 고려해야 되는 사항들
① 치매의 초기증상은 대개 경증이므로 가족이나 의료진들에게 간과되기가 쉽다.
② 노인층에서 나이에 따른 인지검사의 정상치를 확보하여야 비교가 가능하다.
③ 정상적인 노화에는 개인적인 차이가 있으므로 한번의 검사보다는 시간에 따른 재검사 결과의 변화가 더 의미 있다.
④ 사회 문화적 요인과 기분, 성격 등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5. 치매의 약물치료
(1) Cholinergic precursors and agonists
a. Choline and lecithin
b. Muscarinic agonist ; carbachol
(2) Cholinesterase inhibitors
a. Tacrine (Cognex)
b. Donepezil (Aricept)
c. Rivastigmine (Exelon)
d. Metrigonate
(3) Disease modifying drug
A. Antioxidants
a. a-tocopherol (Vit. E)
b. Selegiline
B. Estrogen
C. Anti-inflammatory drugs
a. cyclooxygenase(COx) inhibitor ; Diclopenac, Meloxicam
D. Other potential therapies
a. Nerve growth factors(NGF)
b. Drug that selectively modifies APP metabolism
6. 치매의 재활치료
치매는 조기진단을 통하여 인지장애의 악화를 지연시키는 것이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인지장애의 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재활치료 방법들이 많이 있다.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은 치매의 주 증상인 기억력 감퇴를 호전시키기 위한 인지치료의 한 방법이다. 보통 나이를 먹으면 기억력이 감퇴하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는 대뇌에서 인지처리의 시간이 느려지기 때문이며, 또한 노인들은 기억을 오래 유지하기 위하여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인지적 전략들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치매로 인한 기억력 장애가 있는 사람도 기억을 위한 인지 전략들을 잘 이용할 경우 기억력을 호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특히 경도의 치매나 치매의 전 단계라 할 수 있는 경증 인지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이 과정을 통하여 치매의 발병과 경과를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재활훈련의 근간이 되는 것은 이미 구미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밝혀진 바 있는 노인의 뇌에도 가소성, 즉 기능 재회복의 능력이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는 것이다.
(1) 인지훈련
인지훈련은 손상된 인지기능의 회복을 위한 치료(restoration of damaged function)와 정상적으로 남아 있는 기능을 이용하여 기능장애를 보상하고 대치(compensation & substitution)시켜 주는 두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진다.
A. 기억력 훈련
a. 연습과 반복 (Exercise & drills)
b. 외부 보조도구 사용(External aids): 메모장, 녹음기, 알람시계
c. 기억전략 훈련(Mnemonic strategies)
d. 시간차 회생 훈련(Spaced retrieval)
e. 착오없는 학습(Errorless learning)
f. 단서의 점진적 소실(Vanishing cues)
B. 시공간 지각기능 훈련
a. Functional training: 실생활에서 지각 기능 훈련
b. Transfer of training theory: 지각훈련 도구를 사용
C. 판단 및 집행기능 훈련
(2) 일상생활 훈련
치매환자들은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기능의 장애가 초래되기 때문에 식사, 옷입기, 몸단장, 대소변 관리, 가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영역의 독립적 수행 여부를 세밀히 검사하고 이에 대한 일상생활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환자의 독립성 증가, 개호 인력 감소, 및 환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꾀하여야 한다.
(3) 운동치료
신체의 유산소 운동은 심폐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의 증진에도 효과가 있음이 최근 연구결과 보고되고 있다. Binder 등(1999)은 노인에서 신체적 수행능력이 신경심리 검사상 인지기능 수행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인지기능장애를 예방하고 또한 치료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개인적 신체 수준에 적합한 유산소 운동을 처방하고 병행하는 것이 재활치료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즉, 치매환자를 위한 신체기능 활성화는 환자에 맞게 처방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함으로써, 치매로 인한 인지기능 감퇴를 향상시키는 치료이다. 그러나 노인환자들에서 적절치 못한 운동을 할 경우 오히려 부작용이 초래될 수가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적절한 운동량과 운동의 종류를 정밀 검사 후 처방하여 부작용 없이 운동의 최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9.01
  • 저작시기200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