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의 특징 및 사적 전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가전의 개념 및 장르
1. 가전의 개념
2. 가전의 장르

Ⅲ. 가전문학의 특징
1. 가전의 형식
2. 가전의 문체적 특성
3. 가전의 의인대상
4. 가전의 창작 동기

Ⅳ. 가전의 문학사적 전개

Ⅴ. 맺음말 : 가전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창룡, 위의 책, 82면, 84면
Ⅴ. 맺음말 : 가전의 문학사적 의의
가전은 오랜 세월 우리나라의 독자적 문학으로 자리잡아왔다. 이런 가전의 전개과정 속에서 가전의 몇 가지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우선 가전은 전의 문체적 영역을 넓히는 구실을 했을 뿐 아니라, 문학적 영역의 폭을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전(傳)의 원류는 사마천의『사기』열전에서 비롯되는데, 이때의 전은 성격상 역사의 분야에 속하는 것이었다. 그 이후 가전(家傳)의 생성을 보았다고 하나, 도덕적 진실 편에 크게 치중되어 허구적 진실에 입각한 문학성과는 거리가 놓여 있었다. 다만 탁전(託傳)에 와서 강렬한 자기적 표현욕구가 확립되면서 해학풍자 등에 따른 문예적 의식이 어느 정도의 기미를 나타내게 되었다. 그 다음 가전(假傳)에 이르러 허구적 상상력이 한층 가세하게 됨으로써 보다 확실한 문학적 형상화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가전은 의인문학의 독자적 경지를 확보하였다. 허구적 의인화의 산문학은 여러 가지 다양성을 보여 왔는데, 가전을 포함한 모든 의인장르(의인설화, 의인단편, 의인소설, 의인수필 의인설화 : 「화왕계」,「구토지설」/ 의인단편 :「정시자전」,「용부전」/ 의인소설 :「수성지」, 「여용국전」/ 의인수필 :「규중칠우쟁론기」「조침문」
등)들은 범시대적으로 사대부 지식층의 허구화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다소나마 자신의 울분을 삭히고 불우를 달래는 일정한 역사를 맡아왔다. 특히 가전은 형식상 전기의 체제를 갖춘 것이 전혀 없던 터전에서, 유일하게 새로운 경계를 구축하여 단연 의인문학의 독자적 판도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김창룡, 위의 책, 251-253면
*참고문헌
고경식, 「고려시대의 전 연구」, 단국대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82
김동환, 「가전의 문학교육 대상화의 방향」,『문학연구와 문학교육』, 한성대학교 출판부, 2004
김창룡, 『가전문학의 이론』, 박이정, 2001
______, 「임춘 가전의 연구」, 『동방학지』 89 90 합집, 연세대국학연구원, 1995
______,『한국의 가전문학-상』, 태학사, 1997
김현룡, 「국순전과 국선생전 연구」『국어국문학』 65 66 합병호, 국어국문학회, 1974
안병설, 「가전에 대한 이견산고」, 『명지어문학』7, 1975
______, 「한국가전문학연구」, 명지대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74
______, 『한국가전연구』, 이우출판사, 1986
임종욱, 「고려시대 가전의 창작배경 소고」, 한성어문학,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1999
조동일, 「가전체의 장르규정」,『한국문학의 갈래이론』, 집문당, 1992
______,『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편,『철학대사전』‘物活論’조, 동녘, 1989
*목 차
Ⅰ. 머리말
Ⅱ. 가전의 개념 및 장르
1. 가전의 개념
2. 가전의 장르
Ⅲ. 가전문학의 특징
1. 가전의 형식
2. 가전의 문체적 특성
3. 가전의 의인대상
4. 가전의 창작 동기
Ⅳ. 가전의 문학사적 전개
Ⅴ. 맺음말 : 가전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9.14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0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