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에 관한 조사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조사의 방법 및 구성
3. 조사항목

II.데이터수집 및 응 답 자 의 특성
1. 데이터수집 및 코딩
2.응답자의 특성 (교차분석)

III. 조사분석
1.전공별 취업률 (교차분석)
2.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됐는가에 관한
전공별 분석(교차분석)
3. 취업을 위해 해온 노력(다중응답)
4. 취업노력에 관한 조사
(1)전공별 국가고시준비
(2) 전공별 어학연수(교차분석)
5.우리학교 취업지원팀에 관한 분석
(1)취업지원팀 참여여부 (빈도분석)
(2) 전공에 따른 학교취업지원의 만족도 (교차분석)

IV.분석의 종합
1.연구의 한계
2.요약 및 시사점

본문내용

과학, 법,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학생과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 학생의 숫자가 유사한 것이다.
3. 취업을 위해 해온 노력(다중응답)
Group $노력 취업을 위해 해온 노력
(Value tabulated = 1)
Pct of Pct of
Dichotomy label Name Count Responses Cases
어학공부 18 18.8 31.0
전공공부 7 7.3 12.1
인턴제 6 6.3 10.3
어학연수 7 7.3 12.1
자격증 22 22.9 37.9
국가시험 22 22.9 37.9
아르바이 8 8.3 13.8
기타 6 6.3 10.3
------- ----- -----
Total responses 96 100.0 165.5
0 missing cases; 58 valid cases
Value tabulated = 1 은 선택된 변수값이 1이다.
총 응답자는 58명이며 무응답자는 없다.
총 58명이 96개의 응답을 했고 응답률이 165%로 1인당 평균 1.6개씩 응답.
취업을 위해서 자격증 공부를 하는 학생이 37.9%, 2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가시험 37.9%,22명으로 동일한 숫자를 나타냈다.
4. 취업노력에 관한 조사
(1)전공별 국가고시준비
<표3-3>과 같이 전공과 국가고시 준비를 교차 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한 결과 유의수준 0,05이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따라서 전공과 국가고시준비와는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채택된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은 응답자중 88.9%가 국가고시를 준비한다고 응답했다.그리고 이공계를 전공하는 학생 또한 44.4%로 다소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2) 전공별 어학연수(교차분석)
<표3-4>와 같이 전공과 어학연수간에 교차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한 결과 유의수준 0.05이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전공과 어학연수간에는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채택된다.
그래프를 보면 알수있듯이 상경,이공,사회과학은 어학연수를 다녀온 학생이 없는 반면에 어문전공자의 경우 전공의 특성상 42.9%가 어학연수를 다녀온 것을 알수있다.
5.우리학교 취업지원팀에 관한 분석
(1)취업지원팀 참여여부 (빈도분석)
표3-5를 보면 취업지원팀의 행사에 참여한 적이 있는가의 질문에 행사에 참여했었다는 비율이 60.3%로 그렇지 않다는 39.7%를 앞서고 있다.
(2) 전공에 따른 학교취업지원의 만족도 (교차분석)
<표3-6>과 같이 전공과 어학연수간에 교차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한 결과 유의수준 0.05이내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전공과 취업지원의 만족간에는 상호 독립적이라는 귀무가설이 채택된다.
그러나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66.7%가 학교취업지원에 대해 다소 불만인 것으로 가장 높은 불만을 표시했고 대단히 불만족이라고 답한 사람은 법전공과 예체능전공에서 16.7%를 나타냈다.
IV. 분석의 종합
1.연구의 한계
본 조사연구는 샘플링시 그 모집단을 경기대 4학년만을 한정지음으로 인해, 이의 분석결과를 경기대 외부에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또한 설문조사량(58개)이 너무 적어 분석결과의 설득력이 떨어지는 부분이 발생했다.
2.요약 및 시사점
(1) 경상계와 이공계를 전공하는 학생이 각각 57.1%와 55.6%로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으며 예체능을 전공하는 학생 6명 모두가 아직 미취업 상태에 있었다.
처음 이 조사를 시작할 때 이공계전공을 하는 학생이 취업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가정하고 그것을 증명하기위해 시작했는데 8개의 전공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취업률을 보여주는 것으로 적은 수의 표본집단이긴 하지만 가설검증에 큰 무리가 없는듯하다.
(2) 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가에 있어서 이공계가 55.6%,상경계가 42.9%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여 높은 만족률을 보인 반면 예체능의 경우 83.3%가 도움이 안된다고 응답했다. 그런데 주시할 것은 상경계, 사회과학, 법,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전공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학생과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 학생의 숫자가 유사한 것이다.
전공이 취업에 어느정도 도움을 주는가에 있어서는 이공계가 가장 높은 만족률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자신이 전공한 공과계열의 전공이 취업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아직은 취업하지 못했지만 도움이 될거라는 기대감을 보여주고 있다.
(3)국가고시를 준비하는 학생의 전공을 살펴보면 전공의 특성상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88.9%로 다른 전공에 확연히 높았으며 이공계 44.4%,어문계 42.9%로 평균 37.9%를 상외하고 있었다.
경제불황에 따라 기업의 사원모집이 줄어들어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이공계나 어문계열의 학생이 늘어났으며 장기적인 불황이 계속될때는 이러한 현상이 더 심화될 것이다.
(4) 상경,이공,사회과학은 어학연수를 다녀온 학생이 없는 반면에 어문전공자의 경우 전공의 특성상 42.9%가 어학연수를 다녀온 것을 알수있다.
어학연수를 다녀오지 않으면 취업이 불가능하다고 할 정도로 많은 숫자의 학생들이 연수를 다녀오고 있다고 알려졌지만 조사에서는 단지 어문계열을 전공하는 학생만이 42.9%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모집단의 숫자가 적어 조사의 신뢰성을 인정하기 힘들다.
(5) 취업지원팀의 행사에 참여한 적이 있는가의 질문에 행사에 참여했었다는 비율이 60.3%로 그렇지 않다는 39.7%를 앞서고 있다.
도서관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취업지원팀의 행사에는 취업을 대비해 여러번의 모의면접,기업의 인사팀에서 실무진을 초빙해 강의를 듣는 행사가 있었다.
(6)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66.7%가 학교취업지원에 대해 다소 불만인 것으로 가장 높은 불만을 표시했고 대단히 불만족이라고 답한 사람은 법전공과 예체능전공에서 16.7%를 나타냈다.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경우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비율이 88.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러한 시험에 대해 지원해 주는 것이 없는것에 대한 응답이었는데 이번 겨울방학에는 내년 공무원 시험을 대비하여 특강을 실시한다는 좋은 소식이 있어 사회과학 전공자들에게 높은 만족감을 보일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9.27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