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실험] 처짐실험(구조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림과 같이 W 의 위치에 50g (0.49N) 의 하중을 가한다.
③ 중앙 지점의 최대 처짐량 값을 Digital dial test indicator on sliding bracker를 통해
구한다.
④ 하중을 100g, 150g, 200g, 250g으로 변화시키면서 각각의 데이터를 구한다.
⑤ 이론적으로 구한 값과 실험을 통해서 구한 값을 비교분석한다.
5. 실험 결과
최대 처짐량 계산식 = (mm)
여기서, L = 400 mm
E = 105 N / m2
I = 4.45 × 10-11 m4
Mass(Grams)
Load(Newtons)
처짐 실험값(mm)
처짐 이론값(mm)
50
0.49
0.12
0.14
100
0.98
0.23
0.28
150
1.47
0.40
0.42
200
1.96
0.54
0.56
250
2.45
0.69
0.70
6. 고 찰
이번 처짐 시험은 모멘트, 전단 시험과 마찬가지로 무난한 과정이었다. 다만, 측정기구들과 이론값을 구하는 공식들 정도만이 변화가 있었을 뿐이었다.
50g, 100g, 150g, 200g, 250g 추 만이 전 시험들과 마찬가지였고, structure frame Specimen beam, Digital dial test indicator on sliding bracker 등이 새로 추가되었다. 모양도 비슷할 뿐 아니라, 사용방법도 유사하여, 쉽게 시험을 진행할 수 있었고, 시간도 오래 걸리지 않았다. 알맞게 시험 기구를 장치하고, structure frame 에 각기 다른 무게의 추를 달아, 보가 어느정도 처지는 가를 알아보는 게 주요 시험 목표였다. 이번에도 이론값을 공식으로 구해 시험값과 비교해 보았다. 전의 모멘트 곡선이나 전단시험은 처음에는 시험값의 직선과 이론값의 직선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는 특징을 보였으나, 이번 처짐 시험은 오히려 아주 적은 하중과 굉장히 큰 하중에서 그 차이가 적어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하중 증가와 처짐 시험값의 오차가 상관관계가 없기 때문에 시험이 잘못 진행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만, 하중 재하시의 부주의와 작은 떨림, 그 이외의 변수들로 인해 오차가 조금씩 차이가 났다고 생각된다. 전의 시험들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들을 항시 기억하고 시험에 임했던 것이, 빠르고 정확한 시험을 낳게 했다고 생각한다. 시험을 거듭할수록, 책에서만 배웠던 머릿속에서의 이론들이 완전한 지식으로 자리를 잡아감을 느낄 수가 있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2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