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개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9학년 교과서 단원별 내용
(1). 시의 표현 (문학)
(2) 중심 내용 파악하기 (읽기)
(3) 독서와 사회 (읽기. 문학)
(4)읽기와 토의 (읽기)
(5) 읽기와 매체 활동 (읽기.문학)
(6) 단원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문학)

3.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연관성

4. 중학교 3학년 (9학년) 읽기 영역 지도 내용

5. 맺음말

※ 단원 구성, 저자 및 출처

본문내용

-소단원-학습활동-(생각넓히기)-보충심화-한자공부-이 단원을 마치며’로 구성되어 있다. ‘읽기전에’를 통해 학습자의 태도를 지식화하고 있고 각 ‘소단원’과 ‘학습활동’은 그 단원의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텍스트와 활동이 제시된다. ‘학습활동’은 ‘소단원’의 텍스트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구성되어있고 실제적인 활동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7차 교육 과정에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보충심화’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그리고 수준별로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이 부분은 6차 교육과정에는 없었던 것으로 유용한 시도인 듯하다.
  이처럼 하나의 대단원은 매우 유기적인 짜임새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現) 교육현실에서 과연 이 모든 과정을 수업시간 내에 다룰 수 있을 것인가 라는 것은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물론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여러 가지 면에서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한 국어사용, 글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 창의적 표현능력’을 키우기 위한 고심이 엿보이는 교과서라 평가할 수 있겠다. 그러나 교과서는 교육을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훌륭한 교과서를 만드는 일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적절한 교수법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하며 학교 현장의 물리적 조건, 교육제도의 개선 또한 필요할 것이다. 좀 더 나은 국어교육이 속히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이 글을 마친다.
※ 단원 구성, 저자 및 출처
대단원명
단원구성
제재명
저자
출처
1 시의 표현
소단원 (1)
내가 사랑하는 사람
정호승
「내가 사랑하는 사람」(현대 문학북스, 2001)
소단원 (2)
배추의 마음
나희덕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창작과 비평사, 1994)
소단원 (3)
낙화
이형기
「적막강산」(모음 출판사, 1963)
소단원 (4)
둑방길
유재영
「햇빛 시간」(태학사, 2001)
보충심화
토란잎에 궁그는 물방울 같이는
봄비
바다와 나비
논개
복효근
이수복
김기림
변영로
「새에 대한 반성문」(시와 시학사, 2000)
「현대 문학」(1955)
「중학 국어 3-1」(대한교과서(주), 1997)
「중학 국어 2-2」(대한교과서(주), 1990)
쉼터
마음, 향기
정채봉
「스므 살 어머니」(제삼 기획, 1995)
2 중심 내용 파악하기
소단원 (1)
표준어와 방언
성낙수
창작
소단원 (2)
현대 사회와 과학
김영식
「독서와 논리」제3호 (한샘출판사, 1994)
생각넓히기
사투리
정목일
「마음꽃피우기」(청조사, 2002)
보충심화
58쪽 자료글
한국인은 모두 가수
62쪽 자료글
64쪽 자료글
박만상
홍세화
이어령
강만길
「슬기로운 두뇌 관리」(지식산업사, 1994)
「센 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한겨레 신문사, 2000)
「바람이 불어 오는 곳」(삼중당, 1986)
「통일 운동 시대의 역사 인식」(청사, 1990)
쉽터
엄마 무릎
이승은
허헌선
「엄마 어렸을 적엔…」(이레, 2001)
3 독서와 사회
소단원 (1)
독서와 사회문화의 만남
독립군가
박인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창작
「독립 신문」(1920. 2. 17)
소단원 (2)
원미동 사람들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문학과 지성사, 1987)
보충심화
아홉 살 인생
섬마을 아이들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위기철
황용희
조세희
「아홉 살 인생」(청년사, 2001)
「섬마을 아이들」(다리 미디어, 2002)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문학과 지성사, 1999)
쉽터
성실이라는 무기
박인식
이미애
「TV동화 행복한 세상」(샘터, 2002)
4 읽기와 토의
소단원 (1)
지사의 길, 시인의 길
청포도
양왕용
이육사
창작
「육사 시집」(서울출판사, 1946)
소단원 (2)
일리엔 이야기
김영곤
「캐나다 한국일보」1995년 12월 11자 기사
보충심화
김치는 왜 먹어야 하나
한국어의 세계화
조재선
최길시
「건강생활」2000년 11월호
http://webzine,madang21.or.kr/no_21/join/j_01.htm
5 읽기와 매체 활용
단원의 길잡이
하늘빛 청자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 서서」(학고재, 1994)
소단원 (1)
무궁화
유달영
「중학 국어 3-1」(대한교과서(주), 1997)
소단원 (2)
시집 가는 날
오영진 원작
박만규 극본
「시집 가는 날 대본」(서울 뮤지컬단, 1980)
보충심화
진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월드 컵 축제를 넘어
향수
풍란
민요
민요
정지용
이병기
http://www.arirangsong.com/arirang
http://www.arirangsong.com/arirang
중앙 일보, 2002년 6월 30일자 사설
「정지용 시집」(시문학사, 1935)
「가람 문선」(삼중당 문고, 1979)
6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
소단원(1)
한국 현대 문학의 흐름
조남현
창작
소단원(2)
가는 길
먼 후일
김소월
김소월
「개벽 40호」(1923년 10월)
「진달래꽃」(매문사, 1925)
소단원(3)
깃발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유치환
김영랑
「청마시초」(문성사, 1939)
「영랑 시집」(시문학사, 1935)
소단원(4)
봄은
235쪽 자료글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김흥규
신동엽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창작과 비평사, 1989)
「한국 현대시를 찾아서」(한샘출판사, 1993)
「52인 시집」(신구 문화사, 1967)
소단원(5)
운수 좋은 날
현진건
운수 좋은 날 (을유 문화사, 1979)
생각넓히기
데생
김광균
「조선 일보」(1939. 7. 9)
보충심화
동백꽃
오발탄
김유정
이범선
「조광」(1938)
「현대 문학」(1959)
쉼터
고정 관념
이철환
「연탄길1」(삼진 기획, 2002)
부록
함께 하는 독서
잘못 적기 쉬운 말
주진홍
이승구
창작
창작
*목차
1. 머리말
2. 9학년 교과서 단원별 내용
(1). 시의 표현 (문학)
(2) 중심 내용 파악하기 (읽기)
(3) 독서와 사회 (읽기. 문학)
(4)읽기와 토의 (읽기)
(5) 읽기와 매체 활동 (읽기.문학)
(6) 단원 한국 현대 문학의 이해 (문학)
3. 전 학년 학습 내용과의 연관성
4. 중학교 3학년 (9학년) 읽기 영역 지도 내용
5. 맺음말
※ 단원 구성, 저자 및 출처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11.03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