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설화는 현대와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고전 설화 - 전설과 민담
(1) 장자못 전설
1) 장르 : 전설
2) 줄거리 및 분석
3) 소설적 변용과 현대적 재창조
(2) 구렁덩덩 신선비
1) 장르 : 민담
2) 줄거리 및 분석
3) 다양한 변용과 현대적 재창조

3. 현재의 설화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앞으로 인터넷의 설화에 대해 체계적 연구가 뒤따른다면 우리의 구비 문학은 보다 풍성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4. 결론
황미선, <설화교육방법>,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1, p12
구비문학은 말로 존재하기 때문에 시간적이고 일회적(一回的)이며, 그것이 거듭 말해지면 이미 다른 작품이 되는 특징을 가진다. 즉, 구비문학이 개인의 창작보다는 집단성을 배경으로 한 의식 공동체로서의 민중문학이며, 구비전승 되면서 그 시대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의 삶에 따라 재해석되고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꿈과 희망에 따라 끊임없이 재창조되는 문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비문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비문학은 다른 기록 문학을 지도할 때와는 다른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구비문학의 특성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말로 만들어지고 전달되는 문학’임을 고려했을 때 구비문학 교육은 ‘듣기+말하기+문학’을 통합적으로 연계해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대개 국어 수업시간에 구비문학은 교과서에 실린 글을 눈으로 읽는, ‘읽기+문학’의 방식으로 지도된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구비문학의 특성을 실감할 수 없으며 교사가 ‘구비문학이 민족의 생활과 더불어 발전되고 민족적 창조력의 바탕으로 작용해 왔다’는 사실을 학생들에게 아무리 설명해 주어도 이해하기 힘들어 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구비문학을 지도할 때는 직접 학생들이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에 ‘듣기+말하기+문학’을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지도하는 것을 제안했었는데, 그러한 좋은 예를 제시해 보면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 개론>, 三知院 , 2006, 483p
‘전래동화를 현대물로 번안하기’가 있다. 이러한 활동은 구비 문학물들을 현실의 공간 속에서 살아있는 이야기로 향수(享受)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활동이다. 흔히 현대의 학생들이 구비문학의 성격을 가지는 문학들이 단순 암기의 대상으로 화석화(化石化)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또한 'SBS 아이 삼국유사’와 같이 구비문학을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매체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어렸을 적 할머니 무릎에 누워 전래 동화를 들었듯이 국어 교사가 학생들에게 구비문학을 직접 이야기 해주거나 녹음 테입을 학생들에게 들려주면 학생들이 더 잘 집중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이 들은 이야기를 부모님이나 친구에게 전달 해 보는 체험을 통해 구비 문학의 전승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 신화 ‘주몽신화’나 민담 중 명의담에 해당하는 ‘허준’과 같이 구비문학을 소재로 하여 드라마를 제작한 것이 많은데, 수업 시간에 학생들을 환기시킬 겸 잠깐잠깐 보여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민담을 직접 창작하도록 수업 구성안을 짜는 것도 민담을 현재의 것으로 인식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옛날의 민담으로만 수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민담을 바탕으로 새롭게 변형을 해본다거나, 자신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완전히 새로운 민담을 만들어 낸다면 학생들은 민담을 옛날 것으로 생각하는 닫힌 사고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대에도 설화가 우리 삶 속에서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꾸준히 존속되어 왔으며, 현대에서도 수많은 새로운 설화가 창조되고 있음을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민담은 어느 공간, 어느 시간에, 어느 누구라도 주인공이 될 수 있고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들에게 직접 민담을 만들어 친구들에게 이야기 해 보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이 민담을 특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 문학을 수업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이 구비문학의 성격이나 구비문학 작품의 감상을 교사의 주입식 설명에 의존한다든지 작품의 내용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활동해 보게 함으로써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게 함에 있다. 뿐만 아니라 구비문학이 역사 속의 문학으로써 현대와 단절된 문학이 아니라 현대에도 여전히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5. 참 고 문 헌
강진옥 외, <한국 구비 문학의 이해>, 월인, 2002
서대석 외 17인,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2
신동흔, <현대 구비문학과 전파 매체, 구비문학연구 제 3집>, 1996
정선화, <장자못 전설의 수용양상 및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3
조동일,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5
천혜숙, <설화의 범주와 갈래, 그 미래적 전망-구비문학 연구 제 18집>, 2004
최수철 외 8인, <얼음의 도가니(1993 제 17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사상사, 1993
최현섭 외, <국어교육학 개론>, 三知院 , 2006
황미선, <설화교육방법>,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1
http://blog.daum.net/saintw3223/2276861 <구비문학 장자못 전설에 대해서>
http://gubi.co.kr/ <신동흔과 함께하는 고비문학과 고전문학 세상>
http://lib.aks.ac.kr/ <한국학 전자 도서관(장서각)>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0768 <네이버영화정보-맹진사댁경사>
http://solbit.net/cgi-bin/ezboard/ezboard.cgi?db=7k학습참고자료&action=read&dbf=26
<7차 국어 학습 자료 국어(상) 2단원 (1) 용소(龍沼)와 며느리바위>
http://100.naver.com/100.nhn?docid=758292 <네이버 백과사전- 뱀신랑>
*목차
1. 서론
2. 고전 설화 - 전설과 민담
(1) 장자못 전설
1) 장르 : 전설
2) 줄거리 및 분석
3) 소설적 변용과 현대적 재창조
(2) 구렁덩덩 신선비
1) 장르 : 민담
2) 줄거리 및 분석
3) 다양한 변용과 현대적 재창조
3. 현재의 설화
4. 결론
5.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2.02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