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철학]샤머니즘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序論 (주제선정 동기와 간략한 개요)

2. 本論
Ⅰ. 샤머니즘이란?
-무속과 샤머니즘의 관계

Ⅱ. 한국의 무속 신앙

Ⅲ. 샤머니즘과 한(恨), 그리고 예술

Ⅳ. 한국 예술속의 샤머니즘
-종합예술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샤머니즘 ‘굿’
-영화 이야기, 영화 속의 샤머니즘
-설치미술 이야기, 백남준의 예술세계는 샤머니즘과 통한다.
-한국 전통건축의 샤머니즘

Ⅴ. 샤머니즘의 의의
-문학 예술적 관점에서
-종교적 관점에서
-심리학적 관점에서

3. 結論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험에서 얻은 지식과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을 지닌다. 그러면서 현실의 욕망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자기 절제를 통하여 끝까지 자신을 포기하지 않는 태도로 유지한다. 자아의 내면에서 영원한 갈등을 이루는 감성과 이성의 미학적 긴장을 유지하고 조화시키는 것, 이것이 한국인의 조화이며 멋이다. 이러한 한국인의 이상은 전통 사상으로 닦여서 무속이라는 현세적 그릇에 담겨져 오늘에 이르렀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샤머니즘은 점점 정체성을 잃어가고, 부정적 이미지만이 판을 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근본적인 방법이 예술에 샤머니즘을 주입시키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샤머니즘이 내포된 한국 예술들의 예에서 보았듯 한국적 특색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고, 주체성을 갖으며, 더욱더 소중히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정체성의 확립은 고대역사를 밝히는데 있어, 다른 나라와의 무속문화를 비교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다.
또한 샤머니즘적 예술은 비단 회화, 음악, 건축이라는 틀 속에 얽매이지 않는다. 백남준의 장치미술에서처럼 그 발상은 자유로울 수 있다. 이러한 발상의 전환도 우리 샤머니즘의 발전에 중요한 무기가 될 것이다.
끝으로 한국인들이 샤머니즘을 더 이상 낯설게 느끼지 않으며 우리의 전통으로 인식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예술로서의 승화가 우리들과 샤머니즘을 친숙하게 만드는 첫걸음이 될 것이며 무엇보다도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수립하고 발굴해내는 주인공 바로 ‘우리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1. 김열규,「怨恨 그 짙은 안개」, 범문 출판사, 1980, pp.26-27.
2. 김열규,「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자유문학사, 1986, pp.123-133.
3. 류동식,「한국종교와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2001.
4. 미르치아 엘리아데 (박태규 옮김),「세계종교사상사3」, 이학사, 2005, pp.39-42.
5. 이종승,「영화와 샤머니즘<한국적 환상과 리얼리티를 찾아서>」, 2005.
6. 채새미,「한국 현대 희곡의 샤머니즘 수용연구」, 푸른사상, 2002, pp.31-32.
7. 최길성,「韓國人의 恨」, 도서출판 예진, 1991, pp.11-28.
8. 최상진,「‘恨’의 심리적 특성,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2005.
9. 편집부, 「한국의 굿」,열화당 ,1999
-웹 사이트
1.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88682
2. 신당수 사진,
http://blog.naver.com/mutterbada/100004273060
3. 굿하는 장면,
http://100.naver.com//100.nhn?type=image&media_id=77219
4. 영화‘혈의 누’중 한 장면, http://movie.naver.com/movie/bi/mi/photo.nhn?code=40033&page=2#ps
5. 설치미술 사진,
http://blog.naver.com/yu7204?Redirect=Log&logNo=22848643
-기사
1. 동아일보 (백남준의 예술세계는 샤머니즘과 통한다.) 2002년 3월 21일자.
2. 문화일보 (‘전통문화의 본류’를 찾아간다.) 2003년 3월 12일자.
-논문 & 계간지
1. 김기형, “무굿 연구의 현황과 과제”, 덕성여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2. 김홍희,「백남준 예술 속의 샤머니즘 “비디오에 한번 찍히면 죽을 수가 없다.”」, 2001.
3. 문미경, “韓日 古代 王朝文化속의 샤머니즘:万葉集.鄕歌를 中心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 학원, 1996.
4. 신광철, “한국무속 영화의 회고와 전망”, 한신대학교.
5. 윤이흠, “샤머니즘과 한국문화사”, 한국샤머니즘학회, 1999.
6. 이왕기, “한국 전통건축의 샤머니즘적 상징성”, 공간지 1984년 12월.
차례
1. 序論 (주제선정 동기와 간략한 개요)
2. 本論
Ⅰ. 샤머니즘이란?
-무속과 샤머니즘의 관계
Ⅱ. 한국의 무속 신앙
Ⅲ. 샤머니즘과 한(恨), 그리고 예술
Ⅳ. 한국 예술속의 샤머니즘
-종합예술 그리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샤머니즘 ‘굿’
-영화 이야기, 영화 속의 샤머니즘
-설치미술 이야기, 백남준의 예술세계는 샤머니즘과 통한다.
-한국 전통건축의 샤머니즘
Ⅴ. 샤머니즘의 의의
-문학 예술적 관점에서
-종교적 관점에서
-심리학적 관점에서
3. 結論
4. 참고문헌
한국예술의 샤머니즘
예술과 철학 기말보고서
생명분자공학부 3학년
200421887
허지호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2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