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에 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ADHD의 정의 (왜 사회문제인가?)

2. ADHD의 수치 (변화,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교)

3. 증상과 원인

4. 성인 ADHD와 그 진단법

5. 대처법
1) 주의력결핍장애자들이 조기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일으키는 증상
2) ADHD 아동 부모의 대처법

6. 정부의 대처방안

7. 마무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을 줄 정도로 정서적인 문제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공포증불안증공격증철회우울증과도한 신체불평 등의 증상을 보 인다. 증세를 보이는 아이들은 학교 카운슬러에게서 상담을 받거나 심한 경우, 전문가에게
호주에서는 정신보건 사업체계가 잘 짜여 있어서 회사마다 전문 상담자가 있다. 그래서 ADHD 등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면 정신과 치료를 권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다. 또 실제로 치료를 받는 것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ADHD는 초기에 발견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ADHD 증후군의 아이들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없다. 이러한 아이들이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학교 안에 있는 특수학급(특수반)에 보내는 것이 고작이다. 특수학급도 부모가 찬성을 해야지만 보낼 수 있는데 대부분의 부모들이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신병을 좋지 않게 인식하기 때문에 자신의 아이가 그런 병에 걸렸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단지 ‘아이라서 산만하다’라고만 생각해 버린다.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부모들에게 ADHD가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를 통해 나을 수 있는 간단한 장애 일 뿐이라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마다 ADHD진단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만들어 ADHD전문기관과 연계하여 학교 내에 치료교실을 만들어야 한다. 치료과정을 자연스러운 절차로 부모들에게 인식시키면 치료도 훨씬 쉽게 할 수 있다.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ADHD장애 아동들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를 배우고, 교육청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해 줘야 한다.
7. 마무리
지금까지 ADHD란 무엇이며 수치, 증상과 원인, 사례, 진단법, 대처법, 정부의 방안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DHD아동의 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치료를 절실히 필요로 하는 사람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ADHD를 사회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보지 않고 있다. 한 반에 3~4명은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다. ADHD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많으며 그들도 보통 아이들과 같고 모두가 그들의 치료에 적극 동참해야한다는 의식을 가져야 한다.
ADHD의 근본적인 원인은 부모에게 있지 않나 생각한다. 3~4살 되는 아동은 유치원에 가지 않는 이상 거의 모든 것을 자신의 부모에게서 배운다. ‘아이는 가르치는 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대로 배우며 행동한다.’라는 말이 있다. ADHD장애는 선천적으로 타고 난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생긴, 일종의 학습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부모는 ADHD자녀를 대할 때 내 아이만 왜 이렇지 하며 아이를 혼 낼 것이 아니라 이때까지 자신이 어떠한 행동을 아이에게 보여줬는지 되돌아 봐야한다.
ADHD는 고질병이나 전염병이 아니라 노력만 하면 치료 될 수 있는 결함 일 뿐이다. 부모만 바뀐다고 이것이 치료되지는 않는다. 교사나 친구, 주위 어른들의 도움도 필요하다. ADHD의 원인이나 치료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치료기관을 많이 설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ADHD에 대해 올바른 의식을 심어주는 교육도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Craig Everett, 학지사, 2006
, Christopher Green, 민지사, 1999
<주의력 결핍장애에 효과적인 12가지 비약물 치료방법>, 박형배, 하나의학사, 2005
<주의력결핍 과잉아동과 관련된 문제행동 특성>, 윤정자, 충북대학교생활과학연구소, 1999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아동의 사회적 이해와 행동>, 김은정, 한국심리학회, 2003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2.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