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공해, 자동차공해를 줄이는 방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통공해의 정의

2. 교통공해의 구분

3. 우리나라의 교통공해 환경 분석
우리나라 자동차 환경 현황
주요국의 경유차 보유비율
주요국의 휘발유 가격대비 경유가격 (휘발유가격/경유가격)
국내 대도시의 자동차에 의한 오염비중 (1997년)
국내 자동차 대수 증가 현황
자동차별 오염물질 배출실태
인체에 대한 피해

4. 교통공해 저감 대책
1) 선진국의 사례
ⓛ 미국, ② 일본, ③ EU
2) 우리의 교통공해 저감 대책
① 신차 개발을 위한 정부의 지원
② 제작자동차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강화하는 방안
③ 배출가스 보증기간 강화 방안
④ 경유자동차의 연료전환
⑤ 제작차 소음허용기준을 강화하는 방안
⑥ 운행차 배출허용기준 강화
⑦ 운행차 배출가스 관리의 강화
⑧ 배출가스 정기검사제 도입 추진
⑨ 운행차 공회전 방지 홍보
⑩ 자동차 연료의 품질개선
3) 자동차 소음 대책
(1) 자동차 소음문제의 배경
① 자동차 보급의 진전과 뒤쳐진 도시기반정비
② 대책의 진전
(2) 자동차 소음문제현황
① 도로교통소음이 심각한 지역의 현재화
② 환경기준 달성의 저조함
(3) 도로교통 소음대책으로 현재 예상하는 대책의 효과와 문제점
① 자동차 자체 대책
② 도로구조 대책
③ 교통흐름대책
(4) 다른 외국과의 비교
4) 신차의 개발
(1) 하이브리드 자동차
(2) 천연가스 자동차(NGV)
① 천연가스의 장점
천연가스의 자동차 연료로써의 특징
천연가스 자동차란?
④ 천연가스 자동차의 특징
⑤ 천연가스버스

5. 생활 속 연료 절감 및 교통공해 절감 방법

본문내용

140대, 인천 125대, 광주 81대, 대전 173대 등의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다. 또한 점차 지방으로 보급확산 되고 있는 실정이다. 천연가스 버스는 현대와 대우자동차에서 제작해 출시하고 있다.
천연가스 버스가 보급된 이유는 시급한 대기환경의 오염을 막기 위한 대책방안 중의 하나이다. 그동안 정부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의 줄이기 위해 배출기준을 강화하거나 노상단속 등 규제를 해왔지만 자동차 대수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대형 경유차 중 우선 대도시내에서 운행빈도가 가장 많고, 오염비중이 높은 시내버스의 저공해화 방안으로 천연가스 시내버스 보급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이다.
환경부에 의하면 천연가스 차의 보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천연가스 버스운행을 기준으로 2006년부터 8년간 운행될 경우 오염물질 저감 예상량이 1만 5천480톤, 오염저감 사회적 비용이 189억원 저감, 기후변화 협약대상 물질인 이산화탄소(CO2) 80%(7만 5천 톤) 저감으로 탄소세 100억 원 정도의 절약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국내 개발된 천연가스 버스의 배출가스 수준은 G-13모드로 측정한 결과, 질소산화물(Nox)를 디젤과 비교 60%이상, 일산화탄소 약 46%, 매연과 입자상물질(PM)은 100% 저감했다.
천연가스 버스의 보급 현황
구 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충북
전북
경남
운행중
2110
836
74
175
161
104
198
93
291
10
80
88
천연가스 충전소의 보급 현황
구 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충북
전북
경남
고정식
24
7
1
3
2
1
2
1
4
-
1
2
이동식
44
21
3
2
2
1
5
-
7
1
1
1
하지만 천연가스 버스라고 해서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연료가 기체이므로 액체연료차에 비해 충전시간이 길고, 충전소가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어서 주유하는데 다소 애로사항이 있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앞으로 천연가스 버스가 정착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될 문제이기도 하다.
5. 생활 속 연료 절약 및 교통공해 저감 방법
불필요한 공회전 금지
- 정차나 출퇴근 시에 과도한 공회전은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연료를 낭비함.
- 자동차가 주유중이거나 3분 이상 정차할 때는 꼭 시동을 끔.
절감효과 : 월간 3,300원 연간 40,000원 전국 3,170억원
자가 승용차 대신 지하철, 버스, 열차를 이용
- 승용차로 20km 운전할 때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초기 2km 이내에서 50%가 발생함.
절감효과 : 월간 9,600원 연간 115,000원 전국 3,256억원
가까운 거리는 도보나 자전거 이용
- 자동차의 연간 주행거리를 10%만 줄임.
절감효과 : 월간 17,000원 연간 205,000원 전국 3,256억원
자동차 공기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
- 승용차의 공기필터를 적정하게 교환할 경우 배출가스가 약 10% 감소함.
고속도로에서 규정속도 준수
- 주행속도를 100km/h에서 120km/h로 운행하면 배출오염물질은 10%가 증가하고, 연료소 비는 20% 증가함.
- 승용차는 60~80km/h로 달릴 때 연료소비가 가장 적음.
절감효과 : 월간 8,500원 연간 102,000원 전국 1,627억원
중/대형차 보다는 소형차 이용
- 중형차(연비10㎞/L) 이용시 소형차(연비15㎞/L) 보다 오염물질 1.5배 증가함.
정숙한 자동차 운행
- 급가속/급감속 운전은 정속 주행시보다 연료 소비가 15% 증가함.
즉, 급출발 10회시 100cc, 급가속 10회시 50cc의 연료 소모
절감효과 : 월간 2,500원 연간 30,000원 전국 475억원
적정한 타이어 공기압 유지
- 공기압이 과다하면 타이어의 이상 마모, 진동시 무게중심의 악화 등을 초래하므로 1주일 에 1번 정도 점검 함.
절감효과 : - 월간 6,800원 - 연간 82,000원 - 전국 1,310억원
자가용 승용차 10부제 운행 적극 참여
- 0부제, 카풀에 참여하면 연료비 절감뿐만 아니라 교통소통 원활, 대기환경오염 감소 등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절감효과 : 월간 11,167원 연간 134,000원 전국 1조 671억원
자동차는 항상 잘 정비된 상태를 유지
- 잘 정비된 차는 그렇지 못한 차에 비해 9%의 연료를 절약함.
출발 전 행선지 미리 파악
- 출발 전에 미리 지도나 교통방송을 활용, 운행로를 정해서 출발합시다.
절감효과 : 월간 1,700원 연간 20,500원 전국 1,630억원
차계부 작성
- 차계부를 기록하면 절약 운행이 되고, 수명도 길어집니다.
절감효과 : 월간 2,820원 연간 33,930원 전국 180억원
불필요한 짐의 적재 금지
- 자동차의 중량은 연료소비에 큰 영향을 미침.
절감효과 : 월간 700원 연간 8,500원 전국 135억원
워밍업은 겨울철에만 함
- 엔진기술, 오일성능 향상 등으로 워밍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겨울철에도 2분 이내면 충 분함.
절감효과 : 월간 3,000원 연간 36,000원 전국 570억원
기어변속은 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함.
- 고단 기어를 사용하여 주행하면 연료가 절약됨.
절감효과 : 월간 1,700원 연간 20,500원 전국 102억원
불필요한 운전을 삼가함.
- 우리나라 운전자들은 선진국보다 두배 이상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므로 대도시는 항상 상습 체증에 시달리고 있음.
- 차량 소통 속도에 따라 연료 소모량은 급격히 늘어 시속 30㎞에서 20㎞로 떨어지면 연 료 소비가 19%늘며, 또다시 10㎞이하로 떨어지면 42%나 늘어남.
<승용차의 연간 평균 주행 거리>(단위 : 천㎞)
■ 참고문헌
<자동차 연료와 환경오염>, 엄명도,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 1999
<각국의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동향>, 엄명도, 한국자동차공학회 논문, 1999
<자동차 소음공해에 대한 소고>, 한영출, 한국기계학회, 1990
<자동차 공해실태와 개선방안>, 임삼진, 환경과 생명, 1995
<저공해 연료자동차 보급 활성화 방안 연구>, 한화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996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3.0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0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