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행정학(역세권주변지역의용도지역결정에영향을주는요인에대한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역세권의 결정요인
1. 접근성 요인
2. 경제적 요인
3. 자연적 요인
4. 제도적 요인

Ⅲ. 서울시 지하철 건설과 지가변동
1. 주거지
2. 상업지

Ⅳ. 사례지역 분석
1. 일반적 현황
2. 지가변화 분석
가. 시기별 지가변화
① 주거지
② 상업지
나. 거리별 지가변화
① 주거지
② 상업지
3. 공간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의 지가변동률이 가장 높았기 때문에 그 시기의 평균 지가변동률을 분석에 이용 하였다.
다음으로 공간적으로는 지하철의 영향을 받는 범위를 알기 위해, 각 역을 중심으로 500m 내부를 역세권, 500m∼1000m를 비역세권으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지가가 단순히 지하철과의 거리접근성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토지이용 및 지역성을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주거지와 상업지의 지가분포 및 지가변화율에 차이가 있으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레포트의 사례지역을 보면 잠실역의 경우, 80년대부터 지역의 중심지로 성장해 왔으며 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이 교차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다른 역세권에 비해 지가자체가 높다. 그러나 상업지 평균지가의 경우 8호선 개통에 의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권이 충분히 형성되었다고 여겨지는 지역에서도 노선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가변화 및 새로운 토지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나머지 송파역과 문정역도 8호선 지하철 개통에 영향을 받았는데, 고전 경제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가는 거리에 반비례하고 접근성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각 사례지역의 개별지가를 평균을 내는 과정에서 지가가 유난히 높거나 낮은 필지들이 있었는데 이는 토지이용 상황이나, 지역성이 주변지역에 비해 탁월했기 때문이다.
본 레포트의 결과는 역세권지역에 대한 지가는 역에 가까울수록 도심에서의 공간적 거리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지가분포의 유형은 도심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구조에 가까워진다. 즉, 역중심에서는 고밀도 이용을 하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가는 낮아진다. 지하철역세권지역의 지가분포의 특징을 보면 도심내부에서의 최고 정점을 중심으로 하여 고지가지대가 거의 동심원상으로 분포하고 이 보다 바깥쪽으로 갈수록 지가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지하철 역세권 지가는 어떤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다. 다시 말하면 지역 중심이 최고지가대가 되며,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가가 낮아진다.
둘째, 토지이용 등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토지이용에 있어서도 각 역중심을 상당부분이 상업 및 업무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어 높은 지가를 형성하고 있었다. 가로조건이 우수한 지역이 접근성과 편리성이 유리하여 고지가를 형성하였다. 비록 중심성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토지이용 등이 우수한 지역은 지가가 높았기 때문에 일반적 접근성이론을 보완하여 새로운 분석을 해야 한다. 그리고 역중심 평균지가는 각 역을 대표하는 것이므로 역발 전성숙도나 역교차수의 정도에 따라 지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도로교통, 형상지세, 면적이다. 도로교통에서는 가로폭이 넓은 곳일수록 지가가 높게 형성되었다. 즉, 광로, 대로, 중로, 소로, 세로, 맹지 등의 순서로 지가가 낮아졌다. 형상지세에 있어서는 형상보다는 지세의 영향이 큼을 알 수 있다. 즉, 평지, 완경사, 저지, 급경사, 고지 등의 순서로 가격이 낮아졌다. 그리고 지가와 면적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1. 논문
김설주, 1990, 지하철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주, 1999, 서울시 지가의 공간변화와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대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수규, 2005,서울시 공간구조분석을 통한 지하철역세권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pp21-22
박미선, 1999, 서울시 도심재개발의 특성과 공간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4-25
박태열, 2004, 지하철 역세권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패턴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성영란, 2003, 지가를 통한 광주시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지역개발학과 석사학위논문
손승호, 2002, 서울시 지가변동의 패턴과 지가경향면 분석,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논문, pp24-25
손정렬, 1999, 지하철 연계역세권 설정의 준거로서 통행시간 구성요소들의 유의성에 관한 연구, p11
승현아, 2000, 서울시 지가분포패턴의 변화와 지가상승요인, 고려대학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연규태, 2001, 전철역 입지가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전철 3호선의 역세권 지역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지역개발학과 박사학위논문
이숙임, 2000, 서울시 주거지 공간분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5-50
유완이상우, 2000, 교통과 통신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 27권 4호
유완조응래, 2001, “지가모형의 개발”「국토계획」젝25권 제1호 (통권 56호), 대한국토계획학회, p12
유진성, 1999, 서울시 공간구조변천과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11-13
이건영, 허일도, 2003, 교외전철망의 수도권 교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국토계획」제20권 1호, pp239∼249
이혜숙, 2003, 지하철 개통과 역전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14-16
조응래, 1999 , 도로건설이 지역간 접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채미옥, 2001, 서울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특성과 지가결정용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 보고서 및 통계자료
건설교통부, 2004, 2004년도 공시지가에 관한 연차보고서
이원준, 1999, 부동산감정평가이론, 건국대학교출판부
임덕순, 2001, 600년 수도서울, 지식산업사, PP147-148
홍종민, 2000, 변환기에 대응하는 서울의 도시계획, 서울특별시
서울도시계획, 1999, 서울도시계획 정비구상-당면과제와 논리, 서울시정개 발연구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2005, 도시철도의 특성 및 분야별 현황
서울학연구소, 1996 서울의 도시개발정책과 공간구조, PP169-171
이건영, 원제무, 1990, 도시교통정책론, 박영사, pp59-79
이정근, 1992, 현대부동산학, 법문사 P61
이정전, 1988, 토지경제론, 박영사, pp97-69
대한주택공사, 1980-2000, 주택통계연람
서울특별시, 1980-2000, 서울시 통계연보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3.0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