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너지 바이모달 수송시스템 개발 및 국내외 기술 동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FCP Bus Program이 있음
○ 일본 도요타에서는 2002년 연료전지버스를 개발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동경시에서 시범운행을 할 계획임
○ 미국 정부에서는 10년 이내 연료전지버스의 시장 진입을 목표로 광범위한 국가적 지원을 추진 중임
※ FCBT (Fuel Cell Bus Technologies) Program : 연구개발 및 시범운행을 통하여 정보공유 및 일반인 교육, 기술 표준화 등의 효과를 기대하는 미국의 광범위한 관-민 협동 프로젝트
나. 국내 기술개발 동향 및 수준
○ 연료전지 시스템(현대자동차)
- 25kW급 PEM FC 시스템 개발 기술 보유
- MeOH 연료전지/2차 전지 하이브리드 차량 개발
※ 연료전지 스택 성능 : 30kW (상압,공기/수소,0.6V/cell)
※ 스택 출력밀도 : 0.55kW/L
○ 연료전지 구동형 대중교통 수단
- 현재까지 국내에서 연료전지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대중교통 수단(궤도차량 또는 TRAM)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음
- 대중교통용 친환경 차량으로 디젤엔진-전기모터 하이브리드 버스가 연구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천연가스 시내버스는 상용화 개발되어 현재 전국 대도시에서 2,000대 이상 운행 중임
다. 미래 기술예측 및 당면과제
○ 미래청정에너지로서 연료전지를 구동형 대중교통 수단의 실현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시장선점을 위한 세계 각국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지고 있음
- 수소자동차는 빠르면 2010년경 개발되어 2020년쯤에 상용화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어 대중교통용 수소연료 공급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연구개발이 시급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