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오락프로그램 분석-무한도전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방향
2. 2007년, 오락프로그램의 현주소

Ⅱ. ‘무한도전’ 꿰뚫어 보기
1. '무한도전' 자세히 보기
(1) ‘무한도전’의 소개와 기본 기획의도
(2) ‘무한도전’ 캐릭터 분석
2. ‘무한도전’ 속에 나타난 부정적 특성
(1) ‘리얼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그 속의 허무함
(2) ‘파일럿 프로그램’의 부정적 경향이 숨어있는 ‘무한도전’
(3) 수위를 넘는 부적절한 언어사용
3. 보다 사랑받는 ‘무한도전’으로 가는 길
(1) ‘무한도전'이 지닌 태생적 장점, ‘포맷의 유연성’ 살리기
(2) 도전을 바탕으로 한 감동 선사하기
(3) 형식면에서의 질적 개선

Ⅲ. 결론

본문내용

의 전달력 또한 저하될 것이다.
또한 오락프로그램은 특정한 세대만이 시청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가족의 구성원 모두가 함께 시청할 수 있는 폭넓은 시청자 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로 오락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공격적인 표현이나 수위를 넘는 부적절한 언어 사용은 프로그램 자체 내에서 막아야 한다.
‘무한도전’은 출연자들이 그 속에서 하는 말이나 행동이 유행어가 되고 사회적으로 이슈가 될 만큼 영향력이 큰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따라서 웃음을 전달하되 그 웃음을 전달하는 방식까지 우습고 가벼운 것이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MBC ‘무한도전’ 속에 부정적인 특성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무한도전’은 매주 20% 이상의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MBC의 대표 오락프로그램으로서 역할 함은 물론, 현재 방송되고 있는 여타 오락프로그램의 선두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소재의 고갈이나 매너리즘에 빠진 것이 아니냐는 비판 또한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사회적으로 관심 받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매 주 방송 될 때마다 시청자의 이목이 집중되는 것은 당연하며 그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비평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
‘무한도전’은 회가 거듭됨에 따라 부분적인 방송에서 기존의 기획의도를 잊고 억지스러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표방이라는 모습을 자아냈다. 단순히 캐릭터와 이미지에 치중하여 더는 신선한 소재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설정된 연기일 뿐이라는 비판이 생겨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에 따라 보다 새롭고, 실제적인 모습을 찾으려는 제작진의 과도한 의도는 ‘파일럿 프로그램’이 지닌 부정적인 모습을 ‘무한도전’내에서도 나타내는 실수를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오락프로그램에 있어서 과거부터 꾸준히 문제시 되어왔던 표현의 수위 문제가 언어적인 측면과, 출연자들 상호에 대한 지나친 비난 등을 바탕으로 문제시 되었다.
본래로 되돌아가 ‘무한도전’ 본래의 초심과 방송 시작의 기획의도를 다시 정립해 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무한도전’이 사랑받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어떤 기교나 꾸밈없이 출연자들이 보이는 진솔한 모습과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과 같다는 인식을 시청자에게 보다 명확히 심어 주고 있는 데에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대중이 보는 공공의 프로그램으로서, 지나치게 과격하고 수위를 넘는 언어표현이 아닌 신중한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마지막으로 이 소논문은 ‘무한도전’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현재 방송되고 있는 오락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공통적인 문제점과 현상의 일부분이 될 것이다. 그러나 좀 더 오랜 시간을 가지고 이론적으로 접근하지 못한 점과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의 제시를 하지 못한 듯하여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 소논문 작성을 통해 내 스스로는, 단순히 비판 없이 접했던 오락프로그램에 대해 비판의 눈으로 바라보는 재고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도 ‘무한도전’ 혹은 여타의 프로그램에 대해 따끔한 비판과 혹은 칭찬을 아끼지 않는 시청자로서의 역할도 잊지 않을 것이다.
참고 자료
단행본
김웅래(2004). 방송연예론, (한울)
학위 논문
송순주(2007), TV오락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시청자 재미와 인지에 주는 영향 :
무한도전 사례를 바탕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현경(2005), TV오락프로그램에서의 ‘신세대 취향’의 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온라인 자료
-인터넷 신문 기사
정덕현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도전하는 MBC의 ‘무한도전’>, 《인터넷 오센뉴스》
<‘무한도전’, 최대의 적 3가지가 있다>. 《인터넷뉴미디어마이데일리》, 2007. 09. 23
<‘무한도전’의 도전에 따른 상반된 반응>, 《인터넷노컷뉴스》, 2007. 12. 02
<‘무한도전’ 비속어, 은어 남발 위험수위...방송위 경고, 시정명령>.《인터넷뉴스
이데일리》, 2007. 11. 28
<‘무한도전- 쉘위댄스’ 감동의 눈물바다>, 《인터넷뉴스 조이뉴스24》, 2007. 12. 08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카페 참조. <2007 6장미뜰>, 2007.11. 16, http://cafe.naver.com/rosegarden
MBC ‘무한도전’ 공식홈페이지 http://www.imbc.com/broad/tv/ent/challenge
-인터넷 자료
‘파일럿 프로그램’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item.nhn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23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