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 인터넷 와이브로(WiBro)의 개념과 특징, 표준채택의 의의, 향후 시장규모 및 수출 전망 및 와이브로 에볼루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5년간 64.4조원 규모에서 93.9조원으로 확대 전망
< 향후 5년간 WiBro 시장규모 전망 >(단위 : 억원)
구분
‘08년도
‘09년도
‘10년도
‘11년도
‘12년도
합계
당초
시장규모(A)
38,000
66,000
116,000
176,000
248,000
644,000
표준채택후
순증시장규모(B)
1,602
8,627
47,842
104,542
132,166
294,779
표준채택후
시장규모(C)
39,602
74,627
163,842
280,542
380,166
938,779
※ C = A + B
※ A는 ‘06. 11월 시장조사기관 Yangkee의 자료를 토대로 일부 추정, B와 C는 ETRI 신기술정책연구팀의 예측치
② WiBro 장비 수출 전망
- WiBro의 3G 표준 채택으로 향후 5년간 9.7조원의 추가 수출 창출이 기대되어, 당초 향후 5년간 21.3조원 규모에서 31조원으로 확대 전망
< 향후 5년간 WiBro 수출 전망 > (단위 : 억원)
구분
‘08년도
‘09년도
‘10년도
‘11년도
‘12년도
합계
당초
수출액(A)
12,540
21,780
38,280
58,080
81,840
212,520
표준채택후
순증 수출액(B)
529
2,847
15,788
34,499
43,615
97,278
표준채택후
수출액(C)
13,069
24,627
54,068
92,579
125,455
309,798
③ WiBro 장비수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 WiBro의 3G 표준 채택에 따른 장비 수출 증가로 ‘08년부터 향후 5년간 생산유발 14.6조원, 부가가치유발 7.3조원, 고용창출효과 연인원 7만 5천여명이 발생할 전망
< 표준채택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단위: 억원)
구 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합계
생산유발효과
796
4,287
23,773
51,947
65,673
146,476
부가가치유발
398
2,145
11,896
25,994
32,863
73,296
고용창출(M/Y)
407
2,192
12,157
26,564
33,583
74,903
④ WiBro 기술료 수입 전망
- 당초 ‘24년까지 약 4천 8백만 달러'⇒ 표준 채택 후, 6천 8백만 달러 예상
* IITA 지재권분석팀이 도출한 예측치로서, 현재 WCDMA의 기술료 수준
(단말 0.02달러, 시스템 0.1%)을 WiBro에 적용
< WiBro 국내보급현황 >
o ‘10월 현재 현재 수도권 중심으로 25개시(인구대비 약 50%) 구축 완료, ’08년까지 84개시(인구대비 약 70%)로 확대 예정
o 서비스 개시 초기에는 가입자 유치 부진, ‘07년 3분기부터 급격히 증가
구 분
‘06.7
‘06.12
‘07.3
‘07.5
‘07.7
‘07.8
‘07.9
K T
280
1,601
3,010
8,285
29,991
40,748
66,817
SKT
209
447
486
1,136
859
909
951

489
2,048
3,496
9,421
30,850
41,657
67,76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7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