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통합이론]경제통합의 유형분류, 경제통합이론, 아시아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유라시아지역의 경제통합, 중남미지역의 경제통합,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통합,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비전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제통합이론]경제통합의 유형분류, 경제통합이론, 아시아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유라시아지역의 경제통합, 중남미지역의 경제통합,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통합,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비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경제통합의 유형분류

Ⅲ. 경제통합이론
1. 고전적 경제통합론
1) 고전적 경제통합론의 내용
2) 고전적 경제통합론에 대한 비판
2. 이질적 체제간의 경제통합론

Ⅳ. 아시아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1. 아시아지역의 경제통합
2.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Ⅴ. 유라시아지역의 경제통합
1.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유라시아지역과 지역협력체 결성의 필요성
2. 유라시아 경제협력체의 결성과 한반도문제

Ⅵ. 중남미지역의 경제통합
1. 남미공동시장(MERCOSUR)
2. 안데스 협정의 재건
3. 중미공동시장(CACM)의 활성화

Ⅶ.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통합
1. 북부아프리카 경제통합(AMU:Arab Maghred Union)
2. 서부 아프리카 경제통합
1) 서부 아프리카국가 경제공동체(ECOWAS: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2) 서부아프리카 경제 공동체(CEAO: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
3) 마노강 동맹(MRU:Mano River Union)
4) 서부아프리카 통화동맹(UMOA:Union Monetaire Ouest Africaine)
3. 중부 아프리카 경제통합
1) 중부 아프리카 관세경제동맹(UDEAC:L'Union Douaniere et Economique de l'Afrique Centrale)
2) 중부아프리카 국가 경제공동체(CEEAC:Communaute Economique des Etats de l'afrique Centrale) or (ECCAS:Economic Community of Central African states)
4. 동부 및 남부 아프리카 경제통합
1) 동부 아프리카 공동체(EAC:East African Community)
2) 남동부 아프리카 국가 특혜무역지역(PTA:Preferential Trade Ares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n States) 과 남동부 아프리카 공동 시장 (COMESA: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
3)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5. 아프리카 연합(AU:African Union)
1) 설립 배경 과 목적
2) 조직
3) AU의 전략
4) 문제점

Ⅷ.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비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양화가 절실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부분간 연계에 기초한 경제 다양화 전략을 통해 농가공 및 광물 부문에서 부가(value-added) 이익을 증대시키고 자본재 부분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 수출 증진과 관련해서는, 역내무역 증진, 아프리카의 부정적 이미지 개선 등을 목표로 아프리카산에 대한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매커니즘 및 제도 창설, 지역무역협정 증진 및 역내무역 자유화 강화, 아프리카산의 세계시장 접근 촉진을 위한 수단 및 협정 협상, 해외직접투자 장려, 세계무역체제에의 적극 참여 등을 도모하고 있다.
4) 문제점
현재 아프리카 사회는 외채 문제, 지역분쟁 등 AU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수많은 부정적 요소들에 노출되어 있다. 이처럼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발 전략을 통해 AU가 진정한 통합 기구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반드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Ⅷ.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비전
-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비전 : \"대외지향적이며 개방된 경제체제를 갖추고 지구촌 사회에서 신뢰받는 세계일류국가의 건설\"
o 대외지향성 : 좁은 국토와 빈약한 부존자원의 조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국제분업 및 협업체계 구축을 통하여 세계경제와 적극적으로 통합함으로써 국익을 극대화한다.
o 개방된 경제체제 : 무역.투자.자본거래 등에서 개방화와 자유화를 추진하고 제도와 관행을 국제기준에 맞게 합리화함으로써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여건을 조성한다.
o 지구촌 사회에서의 신뢰 : 인류의 공존공영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하고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존중한다.
o 세계일류국가 :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고 대내외 차별이 없으며 세계에서 사업하기 가장 좋은 규범적 국가이다.
-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 경제규모가 세계 9위 -> 세계 7위(2020년)로 확대 전망
o 연평균 7.5%의 성장이 지속되는 경우, \'94년에 경제규모면에서 세계 11위였던 한국경제는 향후 GDP 8,500억달러를 달성하게 되어 캐나다와 스페인을 제치고 세계 9위에 진입할 전망이다.
o 2000-2010년간 연평균 5.5%, 2010-2020년간 4% 수준의 성장을 유지하는 경우, 한국경제는 2020년에 GDP 약 4조달러를 달성하여 영국과 브라질을 제치고 세계 7위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 만약 2010년을 전후하여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부정적인 요인들이 원만하게 수습되는 경우, 한국은 2020년에 세계 5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 가능하다.
- 21세기 세계속의 한국경제 : 교역규모가 세계 9위 -> 세계 6위(2020년)로 확대 전망이다.
o 연평균 수출입증가율 12-14%를 유지하는 경우, \'94년에 세계 13대 교역국가였던 한국은 무역규모 4,200억달러를 달성하게 되어 싱가폴, 네델란드, 벨기에를 제치고 세계 9위에 진입할 전망이다.
o 2000-2010년간 연평균 10% 내외, 2010-2020년간 연평균 8% 수준 내외의 수출입 신장이 이루어지는 경우, 2020년 한국의 수출입규모는 약2조 4천억달러로서 영국, 이태리, 캐나다를 제치고 세계 6위의 무역 대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 자본재 수출구조가 정착됨으로써 한국은 21세기에 대표적인 자본재 수출대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Ⅸ. 결론
국제사회에는 수십개에 달하는 지역경제통합체(느슨한 형태의 통합체를 합하면 백여개에 이르는)들이 지극히 복잡, 다양한 지역특성 속에서 설립, 운영되고 있다. 한편 이들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지역내 국가간 경제통합의 정도 또는 단계라는 기준이 적용되어 유형이 분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자유무역지대, 관세동맹, 공동시장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측면에서의 통합의 정도 및 단계라는 일원적인 기준만으로는 분류할 수 없을 정도로 현실적으로 복잡다양한 지역특성과 배경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들의 영향을 받으면서 지역경제통합의 설립 및 동태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다양한 지역특성에 관한 이해가 이루어져야 비로소 지역경제통합이 가맹국, 지역 및 세계전체에 미치는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는 바, 통합의 유형분류에 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로 된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경제통합의 형태를 지역특성의 복잡다양성을 감안하여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정리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 주성분분석의 기법을 이용하였다. 특징적인 분석결과로는 지역경제에 따라 상호유사성의 특성에 의하여 지역경제통합이 성립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역내 격차라는 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는 등 일반적인 특성요인을 찾기는 어려울 정도로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1985년에서 1990년간의 사이라는 단서하에 지역경제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특성요인으로는 R&D요인 즉 기술요인과 관련된 것으로 그 평균수준 및 역내 국가간 격차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또한 광역 차원의 지역경제통합의 움직임이 생겨나고 있는 바 이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은 역내격차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부 지역경제통합체의 경우 통합에 영향을 주는 특성요인이 분석기간중에 거의 불변적인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권영민 외(2002) - 동북아 지역 경제권 형성과 기업 간 협력방안, 한국경제연구원
김창남 외(1998) -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 구도와 전망」, 삶과 꿈
김화섭 - 동북아시아 경제협력 모델, 정책연구자료 55, 산업연구원
손병해(2002) - 경제통합의 이해, 법문사
유로화 도입과 유럽 김융제도의 변화, 한국금융연구원(1999)
정인교 - KIEP 오늘의 세계경제 제 02-34호, 세계지역연구센터
최창규 -“동아시아 경제블록의 가능성 검토”, 경제분석 제2권 제3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pp. 59-87
이수훈(2005) - 동북아시대의 중국, 아르케
중국의 뒷받침으로 호조를 보이는 홍콩 경제, 한국은행 조사국 해외조사실(2004)
韓-칠레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타결의 의미와 주요내용 (2002)
EU통합이 한국기업의 수출과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격7,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