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 응용실험 - 인장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계공학 응용실험 - 인장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1.1 실험 목적
1.2 실험 내용 및 이론적 배경
1.3 실험 방법

2. 본 론
2.1 실험 데이터 정리, 결과 및 고찰

3. 결 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B * X
ParameterValueError
------------------------------------------------------------
A-2.698233.50727
B1125.72285114.99688
------------------------------------------------------------
기울기 B는 1125.72285 이다.
즉, 이다.
⑥ 항복점 설명
- 항복이 일어나기 시작할 때의 응력의 값. 항복점을 항복값 이라고도 한다. 물체에 외력 을 가하면 물체 내부에는 변형력이 나타나며, 변형이 생긴다. 보통 변형력이 작은 동안 은 변형은 응력에 비례하나, 비례한계를 넘어서 응력을 크게 해가면 어떤 값부터는 응력 은 거의 증가하지 않으며 변형만이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현상을 항복이라 한 다. 항복의 현상은 연강과 같은 물질에서는 분명히 나타나지만, 무른 물질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여기서는 비례 한계의 값이 대략적인 항복점(하 항복점)에 가장 가까운 값이다.
⑦ 인장강도 (최대 인장 응력)
⑧ 파단 강도
,
⑨ 연신율
⑩ 단면 수축율
3. 결 론
14A호 시편을 가지고 인장 실험을 하였다. 2학년 때 기계공작법을 하면서 CNC로 가공한 인장 시편을 보니 기분이 새로웠다. 건물 화단에 물이 떨어지는 것(냉각장치, 냉각탑)을 보고 무엇을 하는 것이지 많이 궁금해 했었는데(사실 에어콘인가 하는 생각도 했었다.) UTM이라는 것과 그것의 중요성에 대하여 듣고 나서는 예전과는 다르게 보였다. 버니어캘리퍼스로 직경을 측정할 때 직경이 1mm차이면 하중이 1ton차이난다는 것을 알게 되니 측정에 한층 신중해졌다.
원래는 표점거리를 50mm정도로 하는데 Necking이 일어나는 부분이 일정하지 않아 임의로 90mm정도로 넓혀서 실험을 하였다. 시편의 파단을 고려한 것이다.
탄성계수를 구할 때 직선구간을 오리진으로 선형 보간하여 구하였는데 실제 그래프로 hooke의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기에는 그 값이 선형구간이라 보기에 무리가 있어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러한 인장실험을 통하여 비례한계와 인장강도, 항복점과 탄성계수 등을 알 수 있다.
즉, 인장실험의 목적은 기존의 실험으로 정리되어 있는 데이터들과 비교분석을 하기 위해서이다. 그럼으로써 재질의 물성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고체역학 시간에 배웠던 Necking, fracture 현상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 되었다. 이론적으로 배웠던 것을 실제로 경험해 봄으로써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는 것 같다.
서론의 응력-변형률 선도 그래프(그림 5.1)에 비해 이번 실험에서의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항복 구간이 짧은데, 전자가 연강임을 고려하면 이번 실험에 사용된 14A호 시편은 연강보다 타소 함유량이 조금 작음을 알 수 있다.
4. 참고 문헌
공업재료 가공학, 김낙수 외 2명 공역, 반도출판사
기계공학응용실험, 기계공학실험교재편찬위원회, 청문각
Mechanics of Materials , James M. Gere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3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