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사-고조선(古朝鮮)의 한문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다.
第三十, 武王名璋. 母寡居, 築室於京師南池邊, 池龍交通而生. 小名薯童, 器量難測. 常掘薯, 賣爲活業, 國人因以爲名.
聞新羅眞平王第三公主善花美艶無雙, 剃髮來京師, 以薯餉閭里群童, 群童親附之, 乃作謠, 誘群童而唱之云: “善花公主主隱, 他密只嫁良置古, 薯童房乙, 夜矣卯乙抱遣去如.” 童謠滿京, 達於宮禁, 百官極諫, 竄流公主於遠方, 將行, 王后以純金一斗贈行.
公主將至竄所, 薯童出拜途中, 將欲侍衛而行, 公主雖不識其從來, 偶爾信悅, 因此隨行, 潛通焉, 然後知薯童名, 乃信童謠之驗.
同至百濟, 出母后所贈金, 將謀計活, 薯童大笑曰: “此何物也?” 主曰: “此是黃金, 可致百年之富.” 薯童曰: “吾自少掘薯之地, 委積如泥土.” 主聞大驚曰: “此是天下至寶, 君今知金之所在, 則此寶輸送父母宮殿何如?” 薯童曰: “可.”
於是聚金, 積如丘陵, 詣龍華山師子寺知命法師所, 問輸金之計. 師曰: “吾以神力可輸, 將金來矣.” 主作書, 幷金置於師子前, 師以神力, 一夜輸置新羅宮中. 眞平王異其神變, 尊敬尤甚, 常馳書問安否. 薯童由此得人心, 卽王位.
- 三國遺事 권2
바. 탁전(托傳)과 가전(假傳)
고려 후기에는 전(傳) 문학이 흥성하면서 이로부터 파생된 탁전(托傳)과 가전(假傳) 작품이 여럿 창작되었다. 탁전은 자신을 제3자인 양 진술하는 자전(自傳)의 일종으로, 이규보의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 최해(崔瀣, 1287~1340)의 <예산은자전>(猊山隱者傳)을 대표작으로 꼽을 수 있다. 가전은 사물을 의인화해서 그 생애를 서술하는 전(傳)으로, 임춘(林椿, 1163~1241)의 <국순전>(麴醇傳)과 <공방전>(孔方傳), 이곡(李穀)의 <죽부인전>(竹夫人傳) 등이 유명하다. 여기서는 탁전의 대표작인 최해(崔瀣)의 <예산은자전>을 들어 본다.
隱者名夏, 或稱下逮, 蒼槐其氏也. 世爲龍伯國人, 本非覆姓, 至隱者, 因夷音之緩, 倂其名而易之. 隱者, 方孩提, 已似識天理, 及就學, 不滯於一隅, 得旨歸, 便無卒業, 其汎而不究也. 稍壯, 慨然有志於功名, 而世莫之許也. 是其性不善於伺候, 而又好酒, 數爵而後, 喜說人善惡, 凡從耳而入者, 口不解藏, 故不爲人所愛重, 輒擧輒斥而去. 雖親友惜,其欲改, 或勸或責, 不能納. 中年頗自悔, 然人已待以非可, 牢籠未果用, 而隱者亦不復有意於斯世矣. 自言: “吾所往來者, 皆善人, 而其所不與者多, 欲得衆, 允難矣.” 此其所短, 其所以爲長也. ,從師子岬寺僧, 借田而耕, 開園曰取足, 自號猊山農隱. 其銘座右曰:
爾田爾園, 三寶重恩.
取足奚自,愼勿可.
隱者素不樂浮屠, 而卒爲其佃戶, 蓋訟夙志之爽, 以自戱云.
- 東文選 권100
사. 이제현(李齊賢), 정몽주(鄭夢周), 정도전(鄭道傳)
이제현(1287~1367)은 고려 말을 대표하는 문신이자 문인이다. 중국의 음률(音律)에 정통한 시인으로서 당시 민간에 유행하던 민요를 악부체(樂府體)로 번역했고, 당송고문(唐宋古文)의 정수를 배운 문장가로서 빼어난 기사문(記事文)을 여럿 남겼다. 이제현에게 배운 이색(李穡)의 문장이 조선 초의 권근(權近), 김종직(金宗直)으로까지 이어지는바, 이제현은 조선 초기 문인들의 선도자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문집인 익재난고(益齋亂藁) 외에 잡록(雜錄)에 속하는 역옹패설(翁稗說)이 전한다. 여기서는 이제현의 대표작으로 조선시대에 편찬된 여러 시선집(詩選集)에 거듭 수록되어 온 <산중설야>(山中雪夜)를 들어 본다.
紙被生寒佛燈暗종이 이불에 한기 돌고 불등(佛燈)은 어두운데
沙彌一夜不鳴鐘사미승은 한밤 내내 종을 치지 않네.
應嗔宿客開門早자던 손님이 일찍 문 열고 나간 것 꾸짖겠지만
要看庵前雪壓松암자 앞 눈에 눌린 소나무 보기 위해서라네.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37~1398)은 같은 해에 태어나 각각 고려의 충신, 조선의 개창자(설계자)라는 상반된 길을 걸었다. 정치가로 유명한 인물들이지만 두 사람 모두 한 시대를 대표하는 빼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정몽주의 시풍은 흔히 ‘豪放’으로 요약된다. 정도전 또한 담박함 속에 호방한 기운이 엿보이는 시가 많다. 두 사람의 대표작을 차례로 들어 본다.
定州重九登高處정주(定州)에서 중구일(重九日) 높은 곳에 오르니依舊黃花照眼明국화꽃 예전처럼 눈 앞에 환하네.
浦南連宣德鎭  갯벌은 남으로 선덕진(宣德鎭)에 이어지고
峰巒北倚女眞城 산봉우리는 북으로 여진성(女眞城)에 이어지네.
百年戰國興亡事  백 년 전쟁으로 흥하고 망하는 일이여
萬里征夫慷慨情 만 리 밖에 온 병사의 강개한 마음이여.
酒罷元戎扶上馬  술 마시고 원수(元首)가 말 위에 올려 주니
淺山斜日照紅旌 얕은 산 비낀 해가 붉은 깃발 비추네.
- 鄭夢周, <定州重九韓相命賦>
弊業三峯下일 그만두고 삼봉 아래
歸來松逕秋가을 소나무 길로 돌아왔네.
家貧妨養疾가난 탓에 병 요양하기 어렵지만
心靜足忘憂마음 고요해 근심 잊기 족하네.
護竹開迂徑대나무 그대로 두려 길을 빙 둘러 냈고
憐山起小樓산을 아끼느라 누각은 작게 세웠지.
隣僧來問字이웃 중이 와 글을 묻기에
盡日爲相留종일토록 함께 있었네.
- 鄭道傳, <山中>
아. 주요 작가와 작품들
(1) 최자(崔滋, 1188~1260), 보한집(補閑集)
(2) 각훈(覺訓),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3) 이승휴(李承休, 1224~1300), 제왕운기(帝王韻紀)
(4) 최해(崔瀣, 1287~1340) 편, 동인지문(東人之文)
(5) 정포(鄭鋪, 1309~1345): 아름답고 유려한 시. 대표작 <양주 객사의 벽에 적다>(題梁州客舍壁)
五更燈影照殘粧새벽녘 희미한 등불 눈물로 얼룩진 단장 비출 때
欲話別離先斷腸이별을 고하려니 애가 끊어지네.
落月半庭推戶出뜨락에 지는 달빛 문 밀고 나가 보니
杏花疎影滿衣裳살구꽃 성긴 그림자 옷 가득 비치네.
(6) 이색(李穡, 1328~1396, 목은집(牧隱集): 고려후기 많은 제자를 길러내 사상과 문학에서의 새로운 기풍이 뿌리를 내리게 하고 후대까지 깊은 영향을 끼쳤다.
(7) 소악부(小樂府): 우리말 노래를 한시로 옮긴 작품들. 이제현과 민사평(閔思平, 1295~1359).
참고문헌
김태준, 조선한문학사(김성언 교주, 태학사, 1994)
차용주, 한국한문학사(경인문화사, 199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지식산업사, 제4판, 2005)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3.3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