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9000 시리즈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ISO 9000 시리즈 정의 및 도입의 배경
제1절 도입의 정의
제2절 도입의 배경

제3장 ISO 9000 시리즈 도입의 필요성

제4장 ISO 9000 시리즈의 발전과정

제5장 ISO 시리즈의 개요 및 운영
제1절 ISO 시리즈의 개요
제2절 ISO 시리즈의 운영

제6장 ISO 품질 시스템
제1절 품질 매뉴얼
제2절 사내 규격과의 관계
제3절 ISO 9000 품질 시스템 운영상의 장 · 단점
1. 장 점
2. 단 점

제7장 ISO 9000 시리즈 도입 사례

제1절 국내 기업
1. 영 풍
2. 북성기업
3. 신한기술센타
4. 기 타
제2절 해외 기업
1. Kerry Ingredients
2. Fexco
3. Denso Corporation

제8장 ISO 9000 인증의 문제점

제9장 결론 및 제언 - iii -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제적인 수준으로 경쟁하기 위해 우리에게 전에 없었던 엄청난 압력과 요구가 있다. 우리 고객들은 정교해지며, 분별력이 있고 예외적인 서비스 기준을 요구가 있다. 우리는 두 번의 기회를 가지고 있지 않다. FEXCO가 국제적으로 인증된 최고의 운영 수준으로 운영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성과로의 확실한 재원과 사람, 시간, 돈과 관련하여 ISO 규격의 인증을 유지하는 것에 집중했다.
확고한 이점 가운데는 ISO 규격이 우리와 우리의 고객과 사업 제휴자게 독립적인 확신의 수준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ISO 9001:2000은 우리가 좀 더 중심에서 실전분야의 수준에서 경쟁하는 것과 Coca-Cola, Diageo, Microsoft 그리고 Unilever와 같은 명성이 있는 고객과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3. Denso Corporation
ISO 인증취득의 배경 및 성과
일본은 1991년 10월 1일부터 ISO 9000을 JIS규격으로 채택하였고, 약 1,800여개 업체가 인증을 취득하였다. 일본 기업들은 ISO 9000시리즈에 대한 별도의 필요성을 느끼지는 않으나, 국제적 대세와 EC 지역 수출업체는 이를 필요로 하고 있어 정부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덴소는 도요타 계열 회사다. 덴소의 강점은 전자정보분야와 파워트레인 시스템·공조장치 등이다. 전세계적으로 1,700개의 특허기술을 보유할 정도로 앞선 기술력을 자랑한다. 덴소는 도요타에 대한 매출은 50% 선을 유지한 채 해외시장 개척에 의욕을 보여왔다. 현재 전세계 21개국에서 41개의 공장을 지어 세계적 생산망을 확보한 상태다.
덴소의 경쟁력은 품질경영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덴소의 이케다공장이 96년 국제품질규격인 ISO 14001을 획득한 데 이어 97년에는 자동차산업과 관련된 모든 산업부문에서 QS 9000, ISO 9001 인증을 받는 등 지속적인 품질경영을 펼쳐왔다(경향신문, 2005. 3. 22).
제8장 ISO 9000 인증의 문제점
조직이 품질경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ISO 9001 인증을 취득하는 것은 조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ISO 9001의 인증 취득 자체가 형식적으로 행해지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구자항 & 황병호, 2003 : 30-31).
1) 인증을 목적으로 추진
2) 소수 인원에 의한 인증 추진
- 전 임직원이 ISO 9001 이해를 못하고 있음
3) 컨설팅 사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추진
- 컨설팅 사 샘플 문서 복사형식으로 문서 작성
- 기업문화, 능력, 업종, 제품특성이 반영 안됨
4) 경영층이 관심이 없음
- 인증만이 목적이며 추진 목표, 방향 제시가 안 됨
5) 형식적인 인증심사 및 사후관리
제9장 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 우리는 ISO 9000 시리즈에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알아보았다. 제2장에서는 ISO 9000 시리즈의 정의 및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시리즈 도입의 배경을, 제4장에서는 발전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인증제도의 개요 및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6장에서는 ISO 품질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7장에서는 ISO 9000 시리즈에 대한 국내 외 기업의 도입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8장에서는 ISO 9000 시리즈 인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간단히 알아보았다. 하지만 도입 사례에서 자료의 부족으로 다양한 기업의 사례를 들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21세기는 글로벌시대로 치열한 경쟁에서 경쟁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업은 오로지 기업만을 생각하는 의사결정보다는 소비자 중심적인 보다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즉, 자재를 들여와서 생산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손에 넘어가 제품을 사용하기까지 품질수준제고와 비용의 최소화로 보다 고품질이며 저렴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사회의 모든 분야, 국가, 정부, 국영기업, 대중소기업, 그리고 산업현장에서까지, 우리는 경영을 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경영에 대한 올바른 사고와 인식, 그리고 실천이 잘못되어 여러 면에서 국력낭비와 작업에 있어서의 비효율(非效率), 비능률(非能率)이 만연되어 국제 경쟁력마저도 약화되어 있는 현상을 안타깝게 느끼고, 이젠 모든 분야에서 올바른 경영(經營)에의 길을 찾아서 실천해야 한다.
또한, ISO 9000과 TQM의 관계에 대한 기술도 중요하다고 본다. 금일 ISO 9000은 세계적인 Boom이 되고 있으나 이것은 다분히 ISO 9000에 대한 과대평가에서 온 것이라고 본다. ISO 9000의 인증을 받는 것은 Global로 사업을 전개하기 위하여 필요한 몇 가지의 기본적 요건에 지나지 않으며 경쟁력을 가진 사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ISO 9000의 인증과 더불어 TQM이 필요하게 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 김연성 외 저(2004),「품질경영론」, 서울 : 박영사.
▲ 구연성, 황병호 공저(2003),「ISO 9001 2000 품질경영 시스템의 운영 실무」, 서울 : 기전연구사
▲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6). “ISO 인증 획득의 타당성 및 당위성 검토 연구”, 대한 주택공사 주택연구소 연구논문.
▲ 이종석, 공길택 공저(1996),「기업과 품질경영 시스템」, 서울 : 청문각.
▲ 이형춘, 곽성호 공저(1999). ISO 9000 인증 중소기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서울 : 학문사
▲ 이회식(2001),「Single PPM 품질혁신 이론」, 서울 : Single PPM 품질혁신추진본부.
▲ 전영호 외 저(2001),「품질관리」, 서울 : 박영사.
▲ Kerry Group(2005),「Annual Report & Accounts 2005」Ireland : Tralee.
▲ 경향신문 2005. 3. 25. 표제어 : 덴소
▲ http://www.iso.org/iso/en/iso9000-14000/explore/insidestory/insidestory.html 검색어 : “ISO” 2006. 09.24
  • 가격2,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4.07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