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공학) 한*미*중 인터넷 문화 비교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 공학) 한*미*중 인터넷 문화 비교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인터넷 보급과정

2.인터넷 사용현황

3.인터넷 사용 목적

본문내용

사용현황>
한국
나. 국내 인터넷 이용률 및 이용자 수
2007년 6월 현재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은 75.5%(전년 대비 2.0% 증가) 이며, 이용자수는 34,430천명(전년 대비 850천명 증가)으로 나타납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젊은 층의 대부분(94% 이상)이 인터넷 이용자이며, 40대의 인터넷이용률이 77.8%, 50대 45.6%, 60세 이상 17.4%로 나타납니다.- 2006년 6월과 비교할 경우, 50대의 인터넷이용률이 8.1 %로 가장 크게 증가합니다.
중국
아직 중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미비한 편이고 이에 따라 중국의 인터넷 인구 구성은 보편화 되었다기 보다는 특정한 계층 위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인터넷 보급으로 발생한 생활 방식의 변화가 보편적 변화인지, 특정한 계층을 위주로 하는 변화인지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사용자의 구성을 조사해보았다.
<연령별 구성비>
(단위 : %)
연령층
18세이하
18~24
25~30
31~35
36~40
41~50
51~60
60세 이상
백분율
18.84
14.93
41.18
8.89
7.12
5.72
2.06
1.26
<지역별 구성비(상위 7개 지역)>
(단위 : %)
지역
北京
廣東省
上海
浙江省
江蘇省
山東省
四川省
백분율
12.39
9.69
8.97
6.62
5.43
5.33
5.03
<학력별 구성비>
(단위 : %)
학력
고졸 미만
고졸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 (석사)
대학원 (박사)
백분율
6.44
23.45
28.97
38.82
1.91
0.41
위 설문조사 결과, 중국의 인터넷 인구는 주로 30세 미만의 젊은 계층으로 구성되어있고, 북경, 상해 등의 대도시와 중국에서 최초로 경제특구로 지정된 광동성 등 경제가 발달된 지역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사용인구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봤을 때 중국의 인터넷 인구구성은 아직은 보편화 되어 있다기 보다는 대도시고학력젊은층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
■ 미국의 성인 인터넷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검색엔진은 Google(4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Yahoo(26%), MSN(7%), AOL(5%) 순으로, 1위 Google과 2위 Yahoo의 차이가 거의 2배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 정보 검색시 인터넷 이용자들이 얼마나 많이 검색엔진에 의존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32%가 '검색엔진 없으면 살 수 없다'라고 응답했고, 응답자의 50%는 '검색엔진 사용을 좋아하지만,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라고 응답했다.





<인터넷 사용 목적>
한국
국내 이용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주 목적으로는 컴퓨터 관련 정보 수집이 가장 많아 57%로 나타났고, E-mail이용이 53%이었으며, 뉴스보기가 50.0%, 업무관련 정보수집(41.3%)과 학술 정보수집(28.0%)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국내에서 인터넷 이용에 있어 연령별 특징을 보면, 뉴스 보기는 25세 이상 그룹들에서 모두 50%이상으로 높았으나 24세 이하는 35%이하로 비교적 저조했다. 업무 관련 정보 수집은 30세 이상 그룹들은 모두 55%-60% 가량으로 나타난 반면, 학술 정보 수집은 대학생 연령인 18-24세가 35.2%로 가장 놓았다. 스포츠ㆍ연예ㆍ게임은 12-17세가 52.3%, 18-24세가 30.7%로 높은 반면 30세 이상 그룹들은 10% 대에 머물렀다.


중국
(단위 : %)
사용 목적
정보 획득
컴퓨터 학습
여가 생활
업무 관련
무료 서비스
연락 수단
주식 거래
통신비 절약
電子 商去來
기타
백분율
68.84
13.32
51.37
11.25
9.9
12.16
6.41
2.59
0.86
5.99
<가장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복수선택)>
(단위 : %)
서비스 종류
e-mail
검색엔진
S/W 다운로드
정보획득
인터넷 채팅
뉴스그룹
BBS
백분율
95.07
66.76
50.56
44.65
37.53
19.33
16.72
서비스 종류
메신저
무료 홈페이지
온라인 게임
온라인 주식거래
電子 商去來
인터넷폰
기타
백분율
24.64
15.58
18.94
10.86
12.54
6.58
9.84
위 설문조사 결과 중국 네티즌들은 정보획득과 여가생활을 위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장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에 검색엔진과 정보획득이 상위권에 있었으며 중국의 네티즌들 역시 대부분이 E-MAIL을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온라인 주식거래나 전자상거래 등 경제활동을 위한 인터넷사용은 아직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중국 네티즌들은 1주당 평균 13.66시간의 인터넷 접속시간을 보일정도로 인터넷 접속시간이 늘어났으며 사용자 1인당 평균 수신 E-MAIL은 16.82개로 나타났다. 이는 주평균 40시간의 노동을 하는 중국인의 생활에 비추어보았을때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간으로써 중국네티즌들이 여가나 학습에 있어서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이용자가 웹을 주로 무엇에 이용하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 개인 정보를 위해서가 73.6%, 업무 관련이 65.9%, 엔터테인먼트가 60.1%, 교육관련이 61.4%, 쇼핑이 52.4%, E-mail의 통신이 35.4%, 시간 보내기 37% 등으로 나타났다.
웹을 주로 이용하는 목적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개인적인 정보를 입수하는데 이용하는 비율은 전 연령별로 고르게 나타난 반면, 오락은 11-20세와 21-25세가 단연 앞섰고, 나이가 많아지면서 급격히 줄었으며, 시간 낭비(time wasting)도 11-20세는 70.7%이었으나 50세 이상은 26.5%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준 것을 볼 수 있다. 쇼핑도 50세 이상이 55.1%로 연령이 높음에 따라 많았으며, 업무 관련은 21-50세가 57.5%로 가장 많았다. 교육 관련은 11-20세가 가장 많은 75.3%, 21-25세 69.1%등으로 높았으며, 50세 이상도 63.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키워드

인터넷,   보급,   사용,   문화,   한국,   미국,   컴퓨터,   공학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5.27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