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비만의 진단
1) 표준체중법
2) 체질량지수에 의한 방법
3) 허리둘레에 의한 건강위험도 평가

1. 이상체중(Ideal weight)
2.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이 위험도 평가
3. 신체 둘레 측정
4. 피하지방 측정법
5. 피하지방 측정 절차 (ACSM, 2000)
6. 신체밀도 (body density) : Pollock의 공식이용
7. 체지방 ( % body fat )의 평가 기준
8. 비만자의 설문내용

Ⅱ. 비만의 치료
- 식이요법, 행동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1. 식이요법 지침사항
2. 다이어트의 부작용 및 그 관리
3. 행동 수정 요법
4. 약물요법
1) 식욕억제제
2) 음식물의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

3. 운동요법
1) 운동시 요구사항
2) 일반적인 운동처방 지침(ACSM, 2000)
3) 운동검사
4) 운동처방사가 해야할일

Ⅲ. 관련 단어 정의
① 체지방
②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③ 표준체중 [standard weight]
④ 과체중 [overweight]
⑤ 지방조직 [adipose tissue]
⑤ 복부비만
⑥ 기초대사량 [basal metabolism]
⑧ 부종 [edema]

본문내용

1kcal/(kg·시간) = 1680kcal 이고, 체중 50kg의 여성이 소모하는 양은 50kg × 24시간 × 0.9kcal/(kg·시간) = 1080kcal이다. 기초대사량은 우리가 하루에 소모하는 총 에너지의 60~7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체중 조절을 위해 무리하게 굶게 되면 우리 몸에서는 에너지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에너지가 고갈되지 않게 하기 위해 기초대사량을 줄여나간다. 따라서 에너지 소모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다이어트에 역효과를 주게 된다. 이보다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기초대사에 쓰이는 에너지 외에 일상 생활에서 활동하면서 소모되는 에너지량을 활동대사량이라고 하며 기초대사량과 활동대사량을 합한 양이 자신에게 필요한 에너지량이다.
⑦ 활동대사량 - 활동대사량은 보통, 책상에서 사무를 보는 일과 같이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아주 가벼운 일을 할 경우, 기초대사량의 20~40% 정도이다. 또 화장을 하거나 빨래를 널거나 청소기를 이용해 청소를 하는 것, 보통 속도로 걷는 등의 가벼운 일을 할 경우 기초대사량의 55~65%정도가 활동대사량이 된다. 자전거를 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 춤을 추는 것 등의 중등 활동에는 기초대사량의 70~75%가 소모된다. 등산이나 달리기, 농구, 축구 등과 같이 심한 활동을 할 때에는 기초대사량의 80~100%가량의 에너지가 소모된다. 기초대사량은 남성의 경우 1kcal/kg·시간이며 여성의 경우 1kcal/kg·시간이다. 만약 몸무게가 65kg인 남성이 친구들과 축구를 하며 하루를 보냈다고 하자. 이 남성의 기초대사량은 활동과 크게 상관없이 몸무게로부터 추정할 수 있고, 활동대사량은 그날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 남성의 1일 기초대사량은 1kcal/kg·시간 × 65kg × 24시간/일 = 1560kcal/일이다. 축구와 같은 심한 활동을 했으므로 활동대사량은 기초대사량의 약 80%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1560kcal/일 × 0.8 = 1248kcal/일이다. 이 남자가 이날 하루 동안 활동하기 위해서는 약 2800kcal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⑧ 부종 [edema] - 자각증세로는 부기를 느끼고, 누르면 압흔이 생긴다. 전신적인 부종은 심장성 ·신장성 ·간성 ·내분비성 ·영양장애성의 부종으로 나눌 수 있고, 국소성의 부종은 혈관 ·림프관의 폐색으로 인한 것과 혈관운동성 부종 등이 있다.
치료는 각 원인질환의 치료를 비롯하여 일반적으로는 나트륨을 제한하고, 수분섭취량은 오줌 양과 같은 정도로 한다. 약제는 심장성부종에 강심제 ·이뇨제, 네프로시스 증후군에는 이뇨제 ·부신피질호르몬을 투여한다. 내분비성의 경우는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복수 ·흉수가 저류하고 이뇨제 등의 약제로도 낫지 않을 때는 기계적으로 천자하여 액을 빼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임신부의 경우는 임신중독증의 염려가 있으므로 의사와 의논하여야 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0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0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