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사례관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사례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개요
1. 사례관리의 개념
2. 사례관리의 목적
3. 사례관리의 필요성
4. 사례관리의 발달 배경
5. 사례관리의 구성
6. 사례관리자의 역할
7. 사례관리의 기능

III. 사례관리모델

IV. 사례관리의 모형

V. 노인사례관리의 과정
1. 노인사례관리의 과정모형
2. 노인사례관리의 과정

VI. 노인사례관리팀과 지역연계망
1. 노인사례관리팀
2. 노인사례관리를 위한 지역연계망

VII. 사례관리의 실제 적용
1. 대상자의 접촉 및 인테이크
2. 사정 및 가계도 , 생태도 작성
3. 사회적 지원망 사정과 사례계획
4. 서비스의 점검
5. 평가 및 사후관리

VIII. 사례관리 실천상의 문제점
1. 정책적 차원
2. 대상자차원
3. 사례관리자 차원
4. 사회자원체계 차원

IX. 사례관리실천상의 개선방안
1. 정책적 차원의 개선방안
2. 대상자 차원의 개선방안
3. 사례관리자차원의 개선방안
4. 사회자원체계 차원의 개선방안

X. 결론

본문내용

정도 그리고 면접소견)
사정 및 가계도 , 생태도 작성
서울 울산 여수 CT 만덕 여수 서울 만덕
분석: 현재 할머니는 85세의 노모와 함께 동거하고 있으며 할머니의 오빠와 남자 동생들은 모두 타지역에 살고 있어서 접촉이 거의 없고 여동생들도 마찬가지나 부산 만덕에 살고 있는 막내 여동생과는 교류가 있다.
분석: 노모와의 관계는 좋지 않으며 인근의 온천교회에서 후원금을 지원받고 할머니도 흡족해 하시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동사무소와 교인 그리고 집주인이 부분적으로 할머니를 도와주고 있다. 할머니가 병약하심에 따라 세탁, 이동, 외출에 큰 의존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가사 및 차량봉사 서비스의 필요성이 부각됨.
사회적 지원망 사정과 사례계획
사회적 지원망 사정표
정서적 지원
물질적 지원
정보 충고
접촉 빈도
상호관계
교류지속 기간












가구원
노모

친척
친구
이웃
???
???
월1회

교우
후원자




지원기관
지원내용
개시
자원빈도
지원정도
관계정도
생활보호
???
???
월1회이상


의료보호
병원
종교단체
온천교회
비정기적 후원금
비정기적


사회복지기관
사례관리 계획표
문제 및 욕구
문제 1
문제 2
문제 3
소득원이 없이 거택보호로 지급되는 생화보조비만으로 생활하며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
거동이 불편하여 외출이 어려우며 병원을 다니기도 어려움. 만성질환으로 몸이 많이 허약함.
노모와의 사이가 좋지 않으며 노모와 함께 하기를 싫어함.
목표
일반목표
식생활 개선과 안정된 경제력을 확보한다.
???
CT와 노모의 관계를 보다 증진시키며 성서적 지지를 도모한다.
하위목표
1. 후원자 결연
2. 반찬서비스 지원
3. 생활보조비 지원
???.
1. 노모의 아들집으로의 유도
2. 말벗자원봉사자 파견
기대효과
경제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삶의 의지를 높일 수 있다.
서비스 내용
제공자
제공개시
제공기간
우선순위
비용
소득지원
후원자
99.07
1년 이상
1
10000원
보건의료
.
.
.
.
.
식사배달
.
.
.
.
.
업무대행
.
.
.
.
.
사회적지지
.
.
.
.
.
서비스의 점검
사례관리의 점검표를 이용하여 CT에게 적용되는 계획서비스의 필요성, 적절성, 적시성, 연속성등을 평가하며 CT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전환, 보완을 통해 서비스를 점검하는 단계이다. (사례관리 점검표 생략)
평가 및 사후관리
평가에는 과업성취척도에 의한 평가와 목표달성척도에 의한 평가가 있음 (과업성취적도만 다루기로 함)
과업성취척도(TAS)에 의한 평가
과업
성취도
평점
반찬 서비스
인테이크 이후 서비스 개시, 월 2회
4
후원자 결연
타기관의 협조로 월 1회 1만원 후원
2
생활보조비 지원
복지관에서 비정기적 2만원
3
차량복지도우미파견
병원 동행 시 서비시 개시
3
사회복지 도우미 파견
6월 이후로 활동 시작
3
백내장 무료수술 의뢰
수술 후 통원치료로 현재 완쾌
4
노모를 아들집으로
진척없음-노모가 옮겨갈 것을 싫어함
0
사후관리
송 할머니의 개입이 시작된 후 6개월 동안 사례관리에 의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리를 한 결과 표적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사례관리 케이스로는 종결시키고 일반적인 재가복지의 사후관리체계로 전환시킴. 현재 복지관과 관계를 유지하면서 반찬 서비스와 후원결연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실시될 것임.
결론
사례관리는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사회복지 실천영역에서 사회복지 실천방법의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노인인구의 급증과 노인부양 의식의 약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그들의 욕구 또한 다양화복잡화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다양한 서비스 공급 주체가 없고 사회복지 전달체계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사례관리를 시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선진국들의 경우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주민들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복지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더욱 체계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연결하기 위해 사례관리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한 개별적인 패키지로써 조정해 주고 있는 추세이다. (김수영, 1995)
앞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중심의 서비스전달체계로서 사례관리의 활용을 보다 강화해야 한다.
참고문헌
- 단행본 -
權陸相, 2000. 「最新老人福祉論」,. 裕豊出版社,
권중돈, 2005. 「노인복지론」, 학지사,
金萬斗 編譯(David P. Moxley 著.), 1993. 「私例管理實踐論」,. 弘益齋,
김기태 외. 2004.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김수영 외, 2001. 「노인과 지역사화보호」, 양서원,
류상열, 2000. 「재가복지와 사례관리」. 학문사,
모선희 외, 2006. 「현대노인복지론」, 학지사,
윤현숙 외. 2004. 「의료사회사업론」. 나남출판.
장인협 외, 2001. 「케어케이스매니지먼트」, 서울대학교출판부,
조추용권현주 역, 2000.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白澤政和 저)」, 유풍출판사,
황성철 외, 2003. 「재가노인복지정책과 실천」. 현학사,
- 논문 -
김수영. 1995. “노인들을 위한 사례관리에 관한 연구”. 社會科學硏究.
김진희. 2003. “재가 노인복지서비스에서의 사례관리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학위논문.
류명원. 2006. “한국재가노인복지의 사례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이대윤. 2002. “재가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모형의 개발 및 실천방안”.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주헌, 2004. “재가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유형개발과 그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정민숙, 2003. “재가노인 사례관리의 적용실태와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논문,
- 외국서적 -
Julius R. Ballew, 1986. Case Management in the Human Services. Charles C Thomas Publisher.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