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적 생산체제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포드주의와 탈포드주의
2. 유연적 전문화
3. 스코트의 신산업공간론
4. 산업단지와 사례
5. 정책제언

Ⅲ. 결론

본문내용

역할은 조성단계와 사회적 조건에 따라 지속적으로 재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최근 선진국의 혁신클러스터는 클러스터 내 기업들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수의 혁신클러스터는 직접적인 시장개척과 혁신클러스터의 이미지 제고, 틈새시장의 개척, 그리고 전시회 및 박람회 등을 개최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선진국의 선진적 혁신클러스터는 투어리즘과 연계하고 있다. 이러한 투어리즘은 혁신클러스터의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혁신클러스터내 기업들의 명성을 제고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혁신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지역명성과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써, 투어리즘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전반적으로 보아서 유연적 생산체제하에서 기업의 입지패턴은 유연적 생산체제를 가동하는데 유리한 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고학력노동, 숙련노동, 다기능공 인력을 필요로 하는 지식집약형 산업이나 첨단산업 등의 경우에는 대도시 입지성향이 더욱 높아지게 될 가능성이 많다. 이처럼 21세기 지식기반경제하에서 대부분의 성장산업은 이러한 유연적 생산체제의 성격을 띠고 있는 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대도시 입지성향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수도권을 배제한 지역균형발전전략은 국가경쟁력 강화와 충돌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시장의 원리 또는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국가경쟁력 강화를 모색해 나갈 경우에는 국가균형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가 충돌할 수밖에 없다.
첨단산업 관련 신산업지구가 형성되고 보다 발전된 형태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하부구조의 조성, 기업가 정신의 확산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지방정부 및 공공기관, 대학, 기업연합, 무역협회 등이 적극적으로 정책적 제도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첨단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매몰비용이 과거보다 중요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몰비용을 절감시키는 전략은 첨단산업 관련 기업유치와 신설기업의 창업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국제화와 세계화에 발맞춰 나아가기 위해서는 국지적 네트워크의 강화와 더불어 국제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은 결국 산업지구의 고립을 막고 기술혁신성을 높이는 데 공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략은 바로 우리나라의 첨단산업 관련 신산업지구의 조성과 기존 신산업지구의 발전을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참고문헌
<국내 문헌>
고태경, 1992, “1980년대 한국자본주의의 발달과 공간구조의 변화”, 지리학, 27(3), 232-242.
구미상공회의소, 1991, 구미상의 10년사, 구미상공회의소.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4, 세계의 지역혁신체제, 한울아카데미(서울).
김인 박수진, 2006, 도시해석, 푸른길.
박삼옥, 1994, “첨단산업발전과 신산업지구 형성: 이론과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Vol.29, No.2.
박종화 윤대식 이종열, 2006, 지역개발론(이론과 정책), 박영사.
세계도시정보 도요타시 http://ubin.krihs.re.kr/wurban/toyota.html
유영휘, 1998, 한국의 공업단지, 국토개발연구원.
이강국, 2005, 다보스, 포르투, 알레그레 그리고 서울(세계화의 두 경제학), 후마니타스.
이관률, 2005, 국가산업단지 혁신클러스터의 특성과 영향구조에 관한 연구 :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사례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영희, 1990, “극소전자기술혁명과 노동의 변화”, 경제와 사회, 8, 43-70.
, 1992. “포스트 포디즘론의 비판적 검토: 축적구조와 노동구조의 변화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4, 65-90.
이은진, 1990, “자동차와 현단계”, 경제와 사회, 8, 107-122.
조명래 김왕배 강현수, 1991, 자본주의 세계체제와 한국사회, 한울.
조영석, 2005, 산업단지 중심의 혁신클러스터 형성전망과 과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Vol.17 No.1, 73-90.
조철주, 1993, 청주테크노빌의 육성전략과 충북권개발. 2000년대를 향한 충북권개발과 지방도시성장관리정책에 관한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한국지역개발학회 충북경제연구소, 5월 21-22일.
최병두, 2002a, 현대사회지리학, 한울.
<외국문헌>
Allen, J., 1996, Post-Industrialism/Post-Fordism, in S. Hall et al. Modernity: An Introduction to Modern Societies. Blackwell, Oxford, 533-563.
Becattini, G., 1991, Italian industrial districts: problems and perspectives, International Studies of Management & Organization, 21(1), 83-90.
Brusco, S., 1986, Small firms and industrial districts: the experience of Itary, in New firm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Europe, (eds.), D. Keeble and E. Wever, 184-202. Croom Helm, London.
Harrison, B., 1990, Industrial districts: old wine in new bottles? Regional Studies, 26(5), 469-483.
Hoover, E.M., 1937, Location Theory and the Shoe and Leather Industrie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Marshall, A., 1920, Industry and trade, Macmi-lian and Co., London.
Sabel, C. F., 1982, Work and Politics: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