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에서의 항공력의 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쟁에서의 항공력의 역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한국전쟁 시 항공력의 전개
제 1절 4단계로 분류한 항공력의 전개과정
제 2절 한국전쟁 당시의 군사교리
제 3절 과학기술의 발달
제 4절 한국전쟁에서의 공중전
제 5절 한국전쟁에서의 지상군 지원작전
제 6절 항공압박작전
제 3장 한국전쟁에서 항공력 사용의 한계점
제 1절 한국전쟁의 성격 : 제한전
제 2절 한계점 및 교훈
제 4장 결론

본문내용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전에서는 야간 폭격능력의 저조와 목표물에 대한 정밀공격 능력 개선이라는 점이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초기 도로망 및 병참선에 대한 공격이 성과를 이루었지만, 북한은 미 공군의 이러한 약점을 간파하고 야간이동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 공군의 성과를 줄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야간작전능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한계점이 문제로 떠올랐으며, 정밀한 공격에 대한 문제점이 떠올랐다. 당시 한국전쟁에서는 오폭에 의한 아군 피해도 많았다고 현재 전해진다. 즉 육안으로 보고 공격하는 형식의 공격이 근접항공지원 작전과 같은 전술적인 면에서 볼 때 위험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도성찬 / “탈냉전과 미국 공군교리 변화 -한국전쟁, 베트남전, 걸프전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2002 60-62p
한국전쟁에서의 전략폭격은 작전적인 측면에서는 성공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차 대전과는 달리 전쟁 발발 1개월도 되지 않아 공중우세를 달성했고, 이 공중우세를 전 기간에 걸쳐 지켜냈다는 측면이 전략폭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략적인 측면에서 볼 때 전략폭격이 여전히 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고, 단지 연합군 지상군의 반격을 용이하게 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제 4장 결론
한국전쟁은 제한전쟁에서 항공력과 전략폭격이 갖는 영향력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리고 공산 측이 전쟁의 전 기간에 걸쳐 공중우세를 확보하지는 못했지만 국지적인 공중우세를 통해 효과적으로 연합군의 항공 공격을 차단함으로써 적극적인 공세전략에 차질을 가져다주었다. 도성찬 / “탈냉전과 미국 공군교리 변화 -한국전쟁, 베트남전, 걸프전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2002 60p
이렇듯 한국전쟁은 항공력의 역사에 있어서 분기점이 되는 요소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교훈이 적극적으로 군사교리 변화에 영향을 주지 못했고, 이는 베트남전에서의 엄청난 대가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전쟁에서의 전략폭격은 표면상으로 2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만 이루어졌고, 그 이후부터는 유엔군의 북진에 따른 북한에 대한 전술적인 목표에 초점을 맞춰 주로 운용되게 된다. 물론 요구에 의해 적의 병참선이나 산업시설 및 사회기반시설과 같은 전략적 목표에도 폭격력을 사용하지만, 우선적으로 지상군의 지원에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항공력의 사용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 때문에 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항공력이 전쟁에서 육군의 보조적인 역할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전쟁 초기부터 압도적인 공중우세를 통해 제공권을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만주라는 성역에 대한 전장 확대 제한 등의 이유로 인해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전쟁을 수행함으로써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압도적인 공군력이 아니었더라면 개전 초기 밀물 같은 북한의 남진 속도를 저지할 수 없었을 것이고 그에 따라 전쟁의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는 낙동강 전투는 발생할 수도 없었을 것이며, 인천상륙작전 또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없었을 것이다.
한국전쟁은 한반도에서 벌어진 마지막 전쟁이다. 한국전쟁 당시 미 합참 의장 브레들이 대장은 “공군력은 아무리 막강해도 단독으로 전쟁을 종결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공중전의 승리 없이는 어떠한 다른 전쟁도 승리할 수 없다.” 라고 하여 재래전에서의 공군력의 역할과 제공권 장악의 중요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언제든 북한과의 전쟁을 준비해야 한다. 그에 따라 전쟁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대한민국 공군은 한국전쟁에서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한국공군에 적합하고 실정에 맞는 공군교리체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공군력을 지상군의 보조역할이 아닌 전쟁에서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군사적 여건을 만드는데 힘써야 할 것이며, 공군력이 적재적소에 즉각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무기체계의 확충 및 폭격기의 도입 등 공군력을 증강시키는데 앞으로 큰 기여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최현정 / “제트 전투기 발전과 한국전쟁에서의 공중전 재평가” 군사논단 제11호 1997
도성찬 / “탈냉전과 미국 공군교리 변화 -한국전쟁, 베트남전, 걸프전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2002
허출 / “한국전쟁 시 항공 전력의 역할” 군사논단 1996년 제8호
朴德熙 / “항공력의 발달과 항공 전략사상 변천(Ⅱ)” 군사논단 1997년 제9호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