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석본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들어가는 글

― (1). <제석본풀이>의 명칭의 의미와 내용
(2). 제석본풀이의 전승과 지역적 변이
1. 전승과정에서 변이의 이유
2. 고유명사의 변이
3. 무가권설정을 통한 이야기 구조의 변이 유형
(3). 무가에서의 여성

― 나가는 글

본문내용

신을 낳았다는 사실에 그녀는 생명을 관장하는 삼신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곧, 당금애기는 생명과 관련이 있음이 확인된다. 신적인 아들을 낳는 출생의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생명력은 당금애기가 여성이기 때문에 가능한 힘이다. 여성이 가지고 있는 생산력을 생명의 회복으로 바꾸어서 숭배하는 것이다.
서사무가에서 파악되는 여성의 형상은 매우 이상적이면서 현실적이다. 생산력의 표지(標識)나 전능성(全能性)으로 제시되는 것이 그 이상적 형상이라면, 정절을 지키는 것, 가사노동뿐만 아니라 들노동까지 감당해내야 하는 것, 남아를 출산해야 하는 것 등으로 제시되는 것은 매우 현실적인 형상이라 하겠다. 이중 이상적 형상은 서사무가의 기원과 관련이 깊은데, 서사무가는 원래 제전(祭典)에서 불려지던 것이므로 생산력의 표지나 전능성은 여신이 갖추어야 할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던 것이 점차 생활인으로서의 여성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바뀌었는데, 이것이 현실적 여성의 형상이다. 곧, 여성의 이상적 형상이 점차 현실적 형상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애초에 신에게 제사지내며 불려지던 노래가 점차 현실에 구속된 여성들의 삶을 노래하고, 그것을 제의(祭儀)를 통해 떨쳐버리려는 욕구가 서사무가에 잠재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나가는 글
앞에서 <제석본풀이>의 내용과 그 지역적 차이, 무가에서의 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석본풀이>라 불리는 굿은 지역에 따라서 명칭은 다르나, <제석본풀이>속의 본풀이가 되는 인물이 다양한 관계로 삶의 풍요를 위하여 베풀어진다는 공통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공통성이 <제석본풀이>가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게 한 힘이 된 것이다. 그러나 <제석본풀이>는 지역의 특성에 맞게 내용의 변이, 전승의 방법상 형식적으로 명칭, 강조 부분이 변이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무가 속에서의 여성은 전승과 연행과정의 주체이고 수용과정에서도 매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당금애기에 나타난 여성은 매우 이상적이면서 현실적인 형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비문학은 전승되는 동안의 시대상을 문화적으로 반영한다는 점과 <제석본풀이> 역시 구비로 전승되는 문학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제석본풀이>는 단순한 신화적 내용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무사안일을 기원하는 우리 조상들의 바람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는 소중한 우리의 문화적 재산이라 할 수 있겠다. 비단 무가(巫歌)에 국한해서만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자취를 학문적 차원의 접근에 의한 연구와 분석을 통해 발전시키는 것이야말로 현대를 살아가는 후손의 올바른 태도가 아닐까.
▣별첨
교수님께서 지적해 주신 것과 학우님들의 질문을 모두 포괄하여 새로운 발제지를 만들었습니다. 발제지에 들어가기 애매한 부분이 있는 질문은 답변을 달아서 첨부하였습니다.
1. 당금애기와 중과의 결합에서 태어난 아이가 삼형제인데 이 3이라는 숫자가 의미하는것?
- 3은 1과 2가 합쳐져 만들어진 숫자다. 여기서 1은 양, 2는 음을 뜻한다. 즉 음양이 합해진 숫자이기 때문에 음양이 하나로 된다. 생물학적으로 본다면 새로운 자손의 생산을 뜻하기도 한다. 1이 양을, 2가 음을 뜻하는 숫자라면 3은 음과 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완전한 존재다. 신화의 세계관이 천지인(天地人)의 3개 구조로 나타나는 것도 완벽한 조화를 추구한다는 뜻이다. 이는 우리의 삼신신앙에서 그대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삼신할머니라고 부르는 이 신은 아기를 점지하고 낳고 잘 자라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여기서의 삼신은 신 세 명을 가리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삼신상에서 밥과 국이 항상 세 그릇 차려져 있는 것이 좋은 증거다. 또한 아기를 낳게 되면 삼칠일 동안 금줄을 치고 삼신상을 차려준다. 이래야만 아기가 잔병없이 잘 성장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3의 의미는 단순한 숫자보다는 완전함을 지향한다는 데 있다. 3은 세시풍속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녀왔다. 예를 들어 남해안에서는 배를 만드는 때가 3월이며, 배를 진수하고 선주가 3일 동안 배에서 잠을 잔다. 이렇게 해야만 사고 없이 풍어를 이룰 수 있다고 믿는다. 초상이 났을 때 사자밥을 세 그릇 차리는 이유도 죽은 이를 데려가는 저승사자가 세 명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재복과 수명, 자손생산 등을 담당하는 삼불제석(三佛帝釋)이 세 명인 것에도 3의 관념이 배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2. 중이 부수고 들어가는 문이 의미하는 바?
당금아기가 매우 고귀한 혈통임을 의미(대문의 수가 아주 많다는 것으로 표현)

키워드

제석본풀이,   무속,   주술,   노래,   무가,   신성,   신화,   고전문학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6.1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