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기업의 아시아 직접투자와 산업공동화의 진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기업의 아시아 직접투자와 산업공동화의 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일본기업의 아시아 직접투자 추이와 해외 네트워크의 진전
1. 해외직접투자의 필요성
2. 동아시아 지역으로의 해외투자 집중
3. NIEs 거점의 역할
4. 한국거점과 대만거점과의 구체적인 차이점

Ⅲ. 일본의 무역구조의 변화와 산업공동화의 진전
1. 일본 무역구조의 변화
2. 산업공동화의 진전

Ⅳ.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서는 아시아지역의 성장잠재력 여부에 대한 평가일 것이다. 현재 아시아의 각국의 급격한 환율하락, 토지, 주식 등의 자산가치 하락, 금융기관의 불량채권 누적, 국내경기의 급격한 수축 등의 위기를 직면하게 되면서, 동아시아의 성장신화도 무너지는 것처럼 보여지고 있다. 동아시아의 경제성장을 일종의 기적으로 보고, 이러한 성공을 매크로경제의 안정성과 우수한 인적자원의 확충, 시장왜곡의 최소화, 수출지향정책, 정부의 선택적 개입에 있어서도 경쟁원리의 적용 등으로 설명해 왔던 동아시아 발전모델(world bank 1993)도, 현재는 투입위주의 고성장정책의 실패사례로 강조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총요소생산성(TFP)의 경제성장률에 대한 낮은 기여도라는 것도, TFP계산에 있어서 다른 결과들(Bosworth&Collins 1996)도 많이 발견될 뿐만 아니라, 선진국의 역사적 경험에서도 경제발전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TFP의 성장기여도는 그리 높지 안았다는 점을 감안해 보면(速水佑次郞 1995), 설사 TFP의 기여도가 낮았다 할지라도 그것을 즉각 아시아의 성장잠재력 고갈로 파악하기는 곤란하다. 또한 시장에서 가치로 실현되지 못하는 상품의 과잉생산능력과 금융기관 불량채권의 누적의 기반에는 Krugman이 지적하고 있듯이 주요 경제주체의 moral hazard가 깔려 있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으나, 이러한 문제도 IMF 프로그램에 의해 급속히 해결되어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결과적으로 아시아 국가들이 현재 금융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들이 개발도상국 중에서 가장 저축률이 높으며, 인적자원의 축적기구도 잘 정비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해 본다면 앞으로의 성장잠재력은 여전히 높다고 판단된다.
셋째로 이상과 같은 상황판단을 전제로 한 위에, 아시아통화와 일본엔과의 상대가격의 격차 확대, 아시아 지역에서의 자산가격의 급격한 하락이라는 요소를 더불어 생각한다면, 특히 일본으로의 역수입 생산거점으로 아시아 지역으로의 투자가 더욱 활발해 질 것을 예측하게 한다. 최근 극심한 외환위기에 직면했던 나라들 중 인도네시아를 제외하고, 한국, 태국, 말레이시아에서는 매크로 경제의 안정과 환율의 안정세가 보여지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기업의 아시아에 대한 직접투자는 일본엔과 현지화폐와의 격차가 벌어져 있는 만큼 더욱 촉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Kwan 1998).
마지막으로 일본엔과 동아시아의 환율격차의 상승은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동아시아 진출 생산법인의 對일본 수출을 증대시켜, 일본내 생산의 많은 부분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표 6>에서 보듯이 아시아 진출 일본기업은 현지조달율 제고와 내수에서 수출로의 생산체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것은 결과적으로 일본의 산업공동화를 가중시킬 수 있다.
현재 4.4% 정도로 실업률이 상승한 일본경제에 있어서 앞으로 산업공동화가 더욱 진행되어 갈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은, 바로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은 산업공동화의 촉진요인을 상쇄할 수 있도록 국내에서 새로운 산업의 프런티어가 급속히 확대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있다. 일본의 무역구조가 점차 고도화되어 가는 것에 대해서는 기존의 많은 연구성과가 존재하나(浦田秀次郞 1995 등), 그러한 무역구조의 고도화, 즉 주력생산제품의 고도화가 결과적으로 일본 산업의 고성장을 보증하고 있지는 않는다는 사실은 지금의 경기침체와 실업률 증가 상황을 보더라도 명약관화한 사실이다. 일본경제의 새로운 고성장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개혁이 필요한가. 그리고 그러한 개혁에 의해 새로운 산업의 발전 가능성은 어느 정도 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본고의 분석범위를 넘는다. 다음의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참고문헌
The MIT Commission on Industrial Productivity(1989), \"Working Papers of the MIT Commission on Industrial Productivity\", Vol.1, Vol.2, The MIT Press.
Yoshikazu Takao & Nobuya Nemoto(1996), \"Long-Term Outlook: Japan\'s Ecnomomy in an Era of Structural Change\", NRI(Nomura Research Institute).
C.K.Kwan(1988), \"Asia\'s Currency Crisis and its Implication form the Japanese Economy\", NRI Quarterly, spring.
JETRO(1998), \"Effects of Asian Currency Crisis on Local Affiliates of Japanese Manufacturers\", May.
岡本康雄(1987, 88, 89, 90), 「多國籍企業と日本企業の多國籍化(1)∼(4)」, 『經濟學論集』, 東京大學經濟學會.
金鍾杰(1995), 『日米歐多國籍企業の對アジア戰略』, 長銀總合硏究所.
沙田透·他(1993), 『日本の東アジアにおける海外直接投資―家電産業の分業體制の變化と技術移轉』, 通産省通商産業硏究所.
長銀總合硏究所(1994), 『日本の製造業の國際分業化に關するアンケ-ト調査報告書』.
日本電子機械工業會, 『海外法人リスト』, 1991, 93年版.
若林隆平(1996)『國際經濟學』岩波書店.
通商産業省編(1989)『共存的競爭への道グロバリゼション·レポト』通商産業調査會.
速水祐次郞(1995)『開發經濟學』, 創文社.
今井賢一(1997), 『日本の企業』, 東京大學出版會.
淺子和美(1997), 『入門日本經濟』, 有斐閣.
赤松要(1965), 『世界經濟論』, 國元書房.
小島淸(1973)『世界貿易と多國籍企業』, 創文社.
日本開發銀行(1996)「最新の經濟動向」, 『調査』, 7月號.
篠崎彰彦(1998)『日本經濟のグロバル化』東洋經濟新報社
浦田秀次郞·河井啓希·木地孝之·西村太郞(1995)「日本の製造業における比較優位の變化とその決定要因」, 『通産硏究レビュ』, 通産省通商産業硏究所5月.
石井昌司(1994)『日本企業の海外事業展開』, 中央經濟社.
臺灣硏究所『臺灣總覽』, 各年版.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6.27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