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문화]한국의 전통혼례 및 아시아 각국의 결혼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혼례의 의의
2. 혼례관행의 변화
3. 전통혼례의 유래와 변천
4. 한국의 전통혼례 내용
5. 전통혼례의 장점
6. 현대의 혼인절차
7. 현대의 결혼문화
1) 결혼식장
2) 예복
3) 예단 및 예물
4) 피로연
8. 아시아 각국의 결혼문화
1) 말레이시아
2) 태국
3) 인도네시아
4) 베트남
5) 인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요즘에는 신랑, 신부 따로 집에서 잔치를 하지 않고 피로연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에서 주로 하는데, 신랑과 신랑의 가족, 절친한 친구만 신부의 집으로 가서 결혼식을 올리고 신부와 함께 피로연장으로 향한다.
초대를 받은 손님들은 피로연장에서 음식을 먹으며 신랑, 신부가 오기를 기다린다.
대개의 경우는 양측 모두 같은 자리에서 피로연을 하고 비용은 신랑 측에서 부담한다.
집에서 결혼식을 할 수 없는 경우는 피로연장에서 하기도 한다.
피로연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아침에는 친척, 점심때는 양가 부모들의 손님, 저녁에는 신랑 신부의 친구나 직장 동료 등의 순서로 한다.
베트남에서 혼례는 대사 중에 대사이어서 많은 돈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돈이 없어 장가를 못가는 경우도 많다. 이는 전통적으로 남성위주의 사회였다는 추측이 가능하다.
5) 인도
▶ 청 혼
여자가 남자한테 청혼하는 것이 보통이며 신랑의 아버지는 청혼 받은 사실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 결혼계약전의 결혼 예비행사 절차
① 먼저 예비 신랑신부의 아버지들이 함께 자리를 한다.
② 다음에 친척과 승려들이 참석한 가운데 양가 부모들이 결혼을 공식적으로 허락한다.
③ 약혼이 이뤄지면 결혼 날짜와 시간도 점성가와 별자리를 상의한 후 정한다.
▶ 식 장
결혼식의 모든 행사는 신부가 있는 곳에서 거행된다. 식장 중앙에 정방형 화로인 "판달" 을 세워 신성한 불을 밝혀 놓는다.
(불의 신인 "아그니"가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인도 결혼식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 의 복
남자의 의상 - 상의의 소매가 길고 신발도 다르다.
여자의 의상 - 만들 때 독특한 소매와 면을 사용하여 실크로 상의를 만든다.
다양한 종류의 의복이 있으나, 지역에 따라 금실로 조직한 화려한 색상의 의상도 있다. 통상적인 예는 상의, 하의가 신분을 구별
한다. 여성은 수많은 보석류를 몸에 가지고 머리를 감아서 장식한다.
▶ 절 차
① 신랑이 말을 타고 친구와 친척들의 호위를 받으며 기쁨의 춤을 추는 행렬을 이끌고 신부집에 도착한다.
② 신부는 베일로 얼굴을 가리고 예복을 입고 식장에 마련된 의자에 신랑과 나란히 앉는다.
③ 승려는 린넨 천으로 한끝은 신랑의 옷에 묶고 다른 한끝은 신부의 옷에 묶고 신성한 시들을 읊조린다.
④ 신랑신부는 승려의 지시에 따라 힌두 의식 들을 반복한다.(힌두 의식 : 쌀이나 코코넛 등을 그들 앞에 놓인 화로 속으로 던지거나, 쌀을 주변에 뿌리거나, 또는 서로의 손을 맞부딪치는 등의 것)
⑤ 신성한 불 주위를 신랑이 앞서고 신부가 그 뒤를 따르면서 일곱 번을 돈다. (이 행위는 결혼 계약을 봉인하는 것이다. 한 세대가 아닌 일곱 세대가 결혼한 것을 의미한다)
혼례를 거행하면 가내시야신에게 기원하면서 선조와 여러 신에게 숭배한다.
▶ 결혼식 후의 예식
결혼식 후 신랑신부는 인생출문을 향하여 축복과 더불어 황홀한 꽃다발 세례 속에 신혼의 침실로 들어간다.
Ⅲ. 결 론
현대 사회는 형식보다 실용성을 중요시한다. 하지만 그런 사회에서도 결혼식은 가장 큰 인생의 선택이다. 그래서 그만큼 의식에 복잡하다고도 할 수 있고 신성하다고도 할 수 있다. 결혼이란 두 사람이 만나서 부부가 된다는 것을 넘어서는 한 가족과 다른 한 가족이 하나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서구적인 개인주의적 핵가족 사회보다 가족이 중요시되는 대가족 제도를 이루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더 큰 의미가 된다. 지금은 비록 부모와 자식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아직 유교적 문화가 깊숙이 남아 있다. 이런 상황에서 두 사람은 결혼식이라는 의식으로 하나가 된다. 그리고 약간 남성 중심의 면이 남아있긴 하지만 폐백이라는 의식을 통해서 비로소 다른 두 가족 집단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아울러 폐백에는 부부가 되는 두 사람의 앞날에 보다 큰 행복이 함께 하기를 빌어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폐백 음식에 담겨 있는 의미 하나하나가 그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점점 더 핵가족화된다 하더라도 폐백이라는 의식은 당분간 계속 유지될 것이다. 언젠가 그 또한 사라진다 하더라도 그 의미는 우리들 모두에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점점 더 세계화라는 명목으로 세계문화가 획일화가면서 결혼 문화 역시 동일한 모습으로 변해갈 것이다. 하지만 의식이 달라진다고 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까지 변해서는 안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모란, 「한국사회의 혼인거래관행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 논문, 1994.
김형석, 『현대사회와 예』, 탐구당, 1989.
박혜인, 「한국 전통혼례의 연속과 단절」, 이효재 외,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또하나의 문화, 1991, pp.17∼74.
박숙자, 「도시 저 소득층의 혼인양태」, 이효재 외,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혼인』, 또하나의 문화, 1991, pp.75∼116.
서울방송, 『한국의 혼례실태 조사 보고서』, 1997.
손승영, 「가정의례」,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사회문화연구소. 1997, pp.251 ∼292.
이광규, 『한국인의 일생』, 형설출판사, 1985.
이현송·배화옥, 「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변화」, 『보건사회논집』 제16권, 제1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 여름.
장철수, 『한국전통사회의 관혼상제』, 집문당, 1995.
저축추진중앙위원회, 『결혼비용 지출실태 및 의식조사』, 1996.
전경수 역(Van Gennep 저), 『통과의례』, 을유문화사,1985.
전병재, 「예의 사회적 기능」, 『현대사회와 예』, 탐구당, 1989, pp.285∼320.
정승모, 「상·장제도의 역사와 사회적 기능-신유학적 가례체계를 중심으로」,국립민속박물관, 『한국 상장례』, 미진사, 1990, pp.173∼186.
정진흥, 「개신교의 관혼상제 의식」, 박근원 편, 『기독교와 관혼상제』, 전망사, 1984, pp.51 조남훈 외, 『가정의례에 관한 의식행태조사 결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차재호, 「가정의례의 사회심리적 고찰」, 가정의례 개선에 관한 공청회 자료, 1993.
최길성, 『한국의 조상숭배』, 예전사, 1991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6.30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