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러시아 진출 성공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성전자의 러시아 진출 성공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층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표적시장을 젊은 층으로 잡은 삼성의 전략이 또 다른 성공적인 전략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5) 다양한 방법의 광고를 통한 친근함
삼성의 여러 가지 효과적인 광고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난 2002년 러시아 주요 6개 도시에서 개최한 뮤직콘서트에 30만 명이 참여하는 등 성황을 이뤘으며 모스크바 전역에 600여개 이상의 옥외광고와 러시아 젊은 층 대상으로 러시아 전역에서 신제품 로드쇼를 개최하기도 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지난해에 러시아 모스크바에 삼성 휴대폰 전용 브랜드숍을 오픈한데 이어 ‘갤러리 삼성’을 오픈 해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삼성 휴대폰을 접할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러시아 국민과 하나가 되는 마케팅전략의 일환으로 예술스포츠(세계최고의 볼쇼이극장, 에르미따쥐 박물관, 러시아 올림픽위원회, 러닝페스티벌, 디나모 아이스 하키팀, 테니스대회 등) 부문에 대한 많은 스폰서활동을 통해 러시아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심고 있다.
(6) 고가 프리미엄 전략
또 다른 삼성의 전략은 고가의 프리미엄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삼성은 러시아에 최초 진출 시부터 저렴한 가격으로 인한 싸구려의 이미지를 우려하여 고가 정책으로 진행해 나갔다. 이로 인해 러시아 시장 가운데 삼성 휴대폰은 고가의 휴대폰이라는 이미지가 러시아 국민들에게 심어지게 되었다. 러시아 휴대폰 사용자는 다른 유럽의 사용자들과는 달리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로 인해 러시아 휴대폰 시장은 프리미엄 휴대폰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러시아 시장의 분위기를 봤을 때 삼성의 고가 프리미엄 전략은 성공적인 요인으로써 작용했음이 분명하다.
러시아의 휴대폰 전문 시장조사 기관인 모바일 리서치 그룹(MRG)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2004년 한 해 동안 러시아에서 총 560만대(시장점유율 23.1%)의 휴대폰을 판매해 1위를 차지했으며, 2위는 550만대(22.7%)의 모토로라, 3위는 450만대(18.6%)의 노키아가 각각 차지했다.
한편, 러시아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당분간 2.5세대(G) 네트워크 확장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되며, 3G 시장이 오는 2006년 이전에 개화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또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 애니콜이 세계시장에서 성공한 것은 첨단 기술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을 심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애니콜은 하이엔드(high-end) 전략제품 출시로 프리미엄 모바일 이미지를 구축했는데 기술과 디자인 리더십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런 시장 우위 창출은 불가능한 것이다. 또한 러시아인의 취향에 맞춰 레드 계열 모델(E800, E820, X460 등)을 출시했고, 여성 전용 모델(A400)의 최초 출시로 여성시장을 창출했다. 또한 제품의 현지화를 위해 러시아어 키패드를 전 모델에 적용했는데 이 처럼 러시아 문화와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전략을 쓰므로 전략이 성공되었을 것이다.
7. 마케팅전략
(1) 삼성의 문화 마케팅 활동
삼성은 톨스토이 문학상, 볼쇼이 극장, 에르미타주 박물관 후원 사업을 지원해왔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였다. 「어려울 때 친구가 진짜 친구」라는 러시아 속담이 있다. 삼성은 구소련이 해체되던 가장 어려운 시기(1989년)에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을 가지고 러시아에 들어왔고. 또한 1998년 러시아의 모라토리엄(지불유예) 때 일본기업은 모두 철수했지만, 굳건히 자리를 지켰을 뿐만 아니라 문화 마케팅을 계속했다. 러시아 올림픽선수단의 공식 스폰서, 1년 전부터는 이곳 최고 인기 아이스하키 팀의 스폰서를 하고 있다.
(2) 삼성의 빌보드 광고
삼성의 빌보드 광고는 그 질량에서 압도적이다. 이기태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사장의 아웃 도어 광고에 대한 철학은 유별나서 보면 뭔가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때문에 여름 한 철을 제외하고 햇빛을 보기 어려운 北國(북국) 러시아에서 옥외광고는 시가지를 밝게 하는 소품의 역할을 하고 있다. 레닌 도서관, 대통령의 출퇴근길인 쿠트좁스키 거리 등에도 프리미엄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대형 옥외광고를 설치해 놓고 있다.
(3) 대형 이벤트를 통한 이미지 마케팅
2001년 이후 각종 이벤트를 통해 삼성 모바일의 이미지를 심어 주는 활동을 하는데, 매년 여름에 유명 연예인들로 팀을 구성해 6~7개 지방도시를 돌며 지역 로드 쇼를 벌인다. 한 번에 3만~4만 명이 운집하는데 이젠 단순한 마케팅 활동을 넘어서 지역 축제가 되어 지방 판매업자들의 호응이 좋다고 한다.
8. 결론
삼성전자가 러시아 시장에서 현지화에 성공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복잡한 세무구조나 현지에서의 외국인 비용 등 여러 가지 제반 비용들이 있었고, 러시아 사람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키기까지 역시 많은 비용이 들었다.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한 삼성전자는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러시아 휴대폰 시장에서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충성도가 높은 고객들을 다수 확보하였고 프리미엄 전략과 중 저가 모델 동시 공략이라는 차별화 전략을 통하여 매출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삼성전자에서 지금까지 해온 경영전략들이 한계를 맞고 있다. 작년까지 삼성전자가 성공가도를 달려왔다고 하면 2007년 올해는 삼성전자에게 위기라고 할 수 있다. 휴대폰 시장에서의 점유율 경쟁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으며, 매출액 또한 상당히 줄어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서 삼성전자에서는 현재의 기본적인 전략 틀을 유지한 채 장기적인 시장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삼성전자의 최대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A/S와 마케팅의 효과를 더욱더 극대화 하여 시장에서의 위치를 더욱더 확고히 하고, 현지 기업들과의 유대도 더욱 강화하여 지속적인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sec.co.kr
www.seri.org
www.mofat.go.kr
보이지 않는 기업성장 엔진 - 서용구, 삼성경제연구소, 2006.04.14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 - 홍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5.08.31
동아일보
디지털데일리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7.05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