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성격,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순기능,역기능,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영향,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방송기술,기획, 비판적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시청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성격,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순기능,역기능,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영향,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방송기술,기획, 비판적 TV프로그램(텔레비전방송) 시청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TV의 성격

Ⅲ. 방송환경 변화와 케이블TV

Ⅳ. TV의 순기능과 역기능
1. TV의 순기능
2. TV의 역기능

Ⅴ. 텔레비전의 영향

Ⅵ. TV방송기술 동향

Ⅶ. TV프로그램 기획

Ⅷ. 비판적 TV시청방안
1. TV의 비판적 시청
2. 비판적 TV시청 프로젝트의 특성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표되었거나 각색된 추상적인 원칙이 아니다.
한편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카톨릭 학교에서 광범위하면서도 기초가 든든한 교육과정을 만드는 데 영향력을 발휘한 시드니의 카톨릭 교육원은 미디어 교육에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 프로젝트가 주목하는 미디어 교육은 방송, 영화, 활자미디어의 덜 좋은 측면을 피하는 한편으로 괜찮은 특징들을 지지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서 청소년을 적극적이고 분별 있는 미디어 이용자가 되도록 하는 훈련이다. 그리고 TV로 인해 시청자인 청소년 학생들이 받는 영향에 관심을 갖고 방송매체의 영향력 및 태도와 행동에 끼치는 충격을 인식하고 방관자가 아니라 참여자의 역할을 통해서 청소년 학생을 보호하고 그들 스스로 비판의식, 목적의식을 갖고 궁극적으로 방송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계도하는 기능을 담당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기구의 활동 방향이다. 방송 미디어에 관해 학생의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강조하므로 교사가 제한하거나 지시하지 않고 약간의 지도를 하며 또 이것은 교실 분석용으로 논쟁적인 주제를 많이 제시하고 이런 계획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열린 토론에 숙련되어 있는 창의적인 교사들이 필요하다는 요청이 있었으며 부부인 싱어박사는 청소년에 대한 미디어의 잠재적 영향력에 관한 관심을 직접 현장에 융합시켜 어린이의 TV 이용지도에 균형 잡힌 접근법을 개발해 냈다. 그들의 조사결과와 후속 CTV 교육과정은 청소년이 매체를 어떻게 이용하고 반응하는지에 대한 가장 정확한 예측 자로써 가정의 TV 이용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과 시청습관에 주목한다. 관련 교육과정을 제한적이나마 실험 적용해본 결과 어린이들이 광고 뿐 만 아니라 환상과 프로그램 형태에 대한 인식을 비롯해 비판적 시청요소들을 배울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보도자료가 발달했다. 이 자료는 초등학교 아동의 기초적 비판적 사고 능력이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강화시킨다면 전통적 교실 안에서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Ⅸ. 결론 및 제언
방송은 프로그램 편성과 관련해 다양성과 균형성, 공익성 등의 편성 이념을 실현함으로써 공적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문화적 다양성 보장이라는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편성 패턴에 대한 몇 가지 개선이 요구된다. 첫째, 교양 프로그램 편성에 있어 문화교양의 편성을 늘릴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지상파TV의 문화교양 프로그램 편성량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BS1과 KBS2의 경우에는 두 채널 가운데 적어도 한 채널은 오전시간대 생활교양 중심의 편성에서 문화교양 편성 비중을 늘려야 할 것이다. 여성, 주부의 문화 취향 개발과 반영을 위해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여성, 주부 대상의 프로그램이 항상 건강과 부동산, 가정경제 등 생활정보에 제한되기 보다는 오전시간대가 가진 특성을 고려해 여성, 주부 대상 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편성으로 방송을 통한 여성 문화의 형성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더군다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영방송의 다양성이란 시청자의 취향 반영이라는 수동성에서 벗어나 문화적 취향의 다양성 창출이라는 적극적인 방향으로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오락교양 프로그램의 편성을 줄여야 한다. 프로그램 포맷의 다양화는 시청자에게 다양한 포맷을 통해 즐거움을 준다는 점에서 시청률 경쟁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공익성과 오락성은 반드시 별개의 것이 아님을 고려해야 한다. 즉 각 장르의 내용에 충실한 것이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원칙이기 때문에 인포테인먼트, 에듀테인먼트형 프로그램보다는 원 장르에 충실한 오락 프로그램과 교양 프로그램의 개발에 좀 더 노력해야 한다. 프로그램 제작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라도 이종 장르의 혼합보다는 원 장르에 충실한 소재와 포맷의 개발을 통해 교양 프로그램의 확대를 이뤄야 한다.
셋째, 주시청시간대의 편성 패턴이 고정화됨에 따라 MBC와 SBS는 교양 프로그램의 편성이 주로 오락교양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이는 결국 시청률 경쟁의 또 다른 반영이라는 점에서 좀 더 과감한 교양 프로그램 편성이 요구된다. 공익성 오락 프로그램을 통한 경쟁 보다는 시청자의 문화적 취향을 개발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이나 시사 다큐멘터리 등의 교양 프로그램으로 주시청시간대 교양 프로그램의 편성 전략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여전히 드라마와 버라이어티쇼 프로그램 등과 같은 소수 장르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는 고착화된 편성 패턴으로 평일보다는 주말에, 다른 시간대보다는 주시청시간대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시간대별로 오락 프로그램의 편성 전략을 차별화하는 것은 좋지만, 개별 시간대의 오락 프로그램의 장르 편중은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각 방송사가 시간대별로는 심야시간대, 요일별로는 주말에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오락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편성 전략을 평일과 다른 시간대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장르의 오락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자들의 선택폭을 넓혀 주는 것은 방송 문화의 폭과 넓이를 풍부하게 한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다섯째, 요일별, 시간대별로 보면 전체적으로 채널 간 차별화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영방송 채널인 KBS2가 다른 채널과 유사한 편성 전략을 취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좀 더 과감하고 고정된 틀을 깨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군다나 주5일제 시행에 따른 시청자들의 문화생활의 다양성 증가, 다매체·다채널화에 따른 매체 경쟁 심화 등의 요인은 지상파TV의 편성 전략이 이전과는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고정된 편성 패턴을 전환하는 노력도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 김영석 - 뉴미디어와 정보사회, 나남 / 1997
* 백선기 -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 2001
* 방송편성론, 한국방송학회 편, 나남출판
* 유의선 - 다매체 시대의 지상파 방송 편성정책, 방송문화진흥회 편
* 원용진 - 텔레비전 비평론, 한울 아카데미 / 2000
* 최용준 - 주 5일 근무와 TV시청,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3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