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성공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환경 분석

3. 경쟁사분석

4. 중국시장 진출과정

5. 중국시장 진출전략

6. 향후 전략

본문내용

작용하였다.
삼성전자는 주력 제품이던 D램에서 고부가가치화를 진행하면서 메모리 제품의 다각화를 추진하였다. 주로 모바일 관련 제품에 집중되었는데 삼성전자는 종합전자업체로서 여러 사업부에서 모바일 관련 사업을 벌이고 있었기 때문에 공동 개발을 하거나 사업부끼리 밀접한 교류를 통해 기술력을 조기에 확보하는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었다. 또한 삼성전자 내에서 가장 기술경쟁력이 강한 메모리 부문이 연관 부문 제품에 접목되면서 해당 사업부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이렇게 메모리 부문 다각화는 기존 생산시설의 복합적 활용도를 높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해 주었다. 예를 들어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비D램 메모리들은 D램에 비해 집적도가 낮다. D램을 생산하기 위해 건설한 시설에서 D램만 생산한다면 D램의 세대교체시기에 폐기되어야 한다. 그러나 비D램 메모리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D램 생산에는 활용도가 떨어진 시설을 비D램 메모리 생산의 첨단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3) 3A Strategy
삼성전자는 중국 진출 시 저임금을 겨냥한 생산 기지화 방식을 택했다. 삼성전자의 국제화 전략의 전제가 현지화 전략이라고 할 때, 이는 AAA strategy 중 adaptation과 arbitrage를 접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현지화 부분은 adaptation, 저임금 효과는 arbitrage) 그러나 중국 내 업체가 삼성전자와의 기술적 격차를 좁히며 DRAM시장 집중공략하고, 중국시장 내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마진이 없더라도 버티고 있는 상황이 도래하면서 기존의 저임금의 효과만으로 중국시장에서의 arbitrage가 크지 않았다. 이런 상황은 시장 내 기업들은 재무능력이 떨어지는 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될 경우 공급과잉이 해소되고, 남아있는 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상황이므로 이윤이 없는 경우에도 시장에서의 생존을 목표로 버티고 있는 것이다. 우리 조는 이런 상황에서 삼성전자 이런low end시장에서 탈피하여 high value niche를 찾는 것이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하였다. 이런 방향의 전환은 기업의 전략에서도 나타나는데, 기존의 생산기지나 판매기지에서 R&D 활동을 집중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삼성전자는 2003년 R&D 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중국 우수 인력을 활용한 R&D비용을 증가시켰다. 이는 AAA전략의 arbitrage가 기존의 저임금에서 R&D로 이동한 것이라 생각한다.
즉, 삼성전자의 중국진출 후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경쟁 심화의 측면에서 삼성전자는 adaptation(현지화)+arbitrage(저임금) 전략에서 adaptation(현지화)+arbitrage(R&D) 전략으로 전략변화를 꾀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6. 향후 전략
(1) 비메모리 산업으로의 진출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의 규모로 볼 때, 메모리 부문이 전체의 25%를 차지하고, 비메모리 부분이 75%를 차지하고 있다. 시장의 규모 면에서 비메모리 부문은 메모리 부문보다 3배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삼성전자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업은 비메모리 부문에 굉장히 취약하다. 위의 반도체 시장 분석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메모리 부문은 공급과잉으로 가격 경쟁의 압력에 빠져있다. 삼성전자는 이 시장에서 low end를 포기하고 high end를 취하는 전략을 통해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이제는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부문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할 시기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주축인 메모리 부문에서 high end로 전환에 성공했고, 메모리 부문이 레드 오션이라고 볼 때, 좀 더 큰 시장으로 옮기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비메모리 시장이 Intel과 AMD라는 경쟁자가 버티고 있지만 메모리 시장의 기술력과 역량을 토대로 비메모리 관련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 핵심 기술의 보호
2003년 중국에 R&D 센터를 세우면서 중국의 우수인력을 이용한 R&D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중국은 위의 CAGE 분석에서도 언급했다시피, imitation으로 인한 지적재산권 도용이 심각한 나라이다. 즉, 중국에서 R&D를 시작한 이상 기술 유출, 모방에 관한 문제는 삼성전자도 언제든지 직면할 수 있는 문제라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예방해야 할 것인가?
기술유출은 대부분 내부자의 모의나 내부자의 외부유출로 인한 기술이전이 있을 것이다. 내부자의 모의라는 측면은 기업이 통제하지 못하는 변수라고 볼 때, 철저한 R&D인력관리는 기업이 할 수 있는 기술유출에 대한 예방책이라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R&D 인력에 대한 보수를 적절히 산정하고, 연구 인력과 계약 당시에 기술에 대한 소유권을 확실히 하며, R&D 인력에 대한 윤리 교육 등을 통해 기술유출에 대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3) 정부 정책에 대한 측면
중국은 정부의 힘이 강한 나라이다. 이로 인해 처음에는 외자유치를 위해 많은 외국기업에 혜택을 주지만,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얻고 난 후에는 과실 송금 제한, 몰수 등의 행위를 하기도 한다. 삼성전자는 중국 정부의 IT 산업 지원에 따라 많은 혜택을 받지만 이 또한 언제 변할지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삼성전자는 중국 정부와 강한 연대관계를 유지하고, 계약 체결 시 이런 부분에 대하여 적절히 협상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런 정책의 변화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분석도 요구될 것이다.
<참고자료>
www.sec.co.kr
www.seri.org
www.samsung.com
www.hankyung.com
www.mk.co.kr
www.edaily.co.kr
www.chosun.com
삼성 반도체 세계 일등 비결의 해부 - 신장섭, 삼성경제연구소, 2006
삼성반도체의 성공비결과 향후전망 - 라이터스 편집부, 라이터스, 2006
보이지 않는 기업성장 엔진 - 서용구, 삼성경제연구소, 2006
디지털권력 : 디지털기술, 조직 그리고 권력 - 장승권, 최종인, 홍길표, 삼성경제연구소, 2004
중국마케팅 - 김용준, 백은영 역, 박영사, 2004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9.1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