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윤리학의 분류와 전통윤리학 이론(선한 삶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현대윤리학의 분류
1. 동기주의 윤리설
2. 결과주의 윤리설

Ⅲ. 전통윤리학의 이론
1.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주의
2. 칸트의 선의지
3. 벤담의 공리주의
4. 마르크스의 인간관

Ⅳ. 결 론

본문내용

을 하는 것이며 또한 인간의 자발성을 최대한으로 실현할 수 있을 때 그것을 진정한 삶으로 보며 그것은 노동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한다. 다시 말해 바람직한 삶은 생존을 위해 노동을 통하여 생산 활동을 하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노동의 주체를 ‘정신’이 아닌 ‘인간’으로 보며, “현실적이고 몸을 가지고 있으며, 단단하고 둥근 대지 위에서 모든 자연력을 호흡하는” 존재라고 한다. 인간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 고리로서 ‘노동’을 설정한다. 세계는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위적 세계이고 노동을 통해서 자연을 변화시키고 인간 자신도 변하기 때문에 노동은 인간의 유적인 삶의 대상화라고 한다. 또한 오감, 정신적 감각들, 실천적 감각(의지)은 인간화된 것들을 통해서 나타나므로 오감의 형성을 노동이라고 본다. 그리고 인간은 “의식적 생명활동”을 하는 존재라고 한다. 이때 인간의 ‘노동’은 인간의 ‘목적의식성’을 가지고 있는 활동이라고 한다. 그리고 인간은 노동을 통해 새로운 욕망과 의식을 만들고 사회관계를 만들고 인간의 본질을 특이한 생명활동인 노동으로 본다. 즉, 의식적 노동과 의식적 생명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을 ‘사회관계의 총체’로 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의 사회적 본성, 인간의 자기 이해에 있어서 노동이 가지는 비중, 인간의 소외에 관한 지각을 인류에게 각성시켰다.
마르크스는 또한 인간은 관념론 철학자들이 말해온 것처럼, 정신이나 영혼 또는 의식이 아니라 존재요 물질이요 신체이다. 라고 했다. - 유물론 - 인간의 작업을 일차적으로 의식의 자기 재생산이 아니라 노동과정의 혹독한 소원(소외)이다. 그리고 “이러한 소외의 청산은 사유 속에서만 일어나서는 안 되고, 있는 그대로의 사회의 실생활에서 일어나야만 한다.”고하였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윤리적 도덕적인 관념은 변화를 합리화 하는 것이며, 무의미하다고 했다.
그는 후에 노동자 계급에 호소하였고, 실천적인 정치적 투쟁을 요구하였으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International) - 착취당하는 프롤레타리아(무산자, 노동자)가 착취하는 부르주아(유산자, 생산수단의 소유자)에 대항하여 계급투쟁을 벌이도록 요구하였다.
4. 결 론
지금까지 “선한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현대윤리학과 전통윤리학의 몇 가지 견해를 통하여 생각해봤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이성적 동물로서 제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때 행복이 찾아오는 것이며 행복은 중용을 선택함으로써 획득 가능하다고보며, 벤담은 최대다수가 최대행복을 누리는 것이 선이며 행복은 양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것인데 이것의 총량이 클수록 행복에 가깝다고 한다. 칸트는 선의지를 가지고 행하는 사람이 윤리적인 사람이며 윤리적인사람은 보편적인 법칙을 따라야 하며 행위를 함에 있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행해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는 삶이 윤리적인 삶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고, 끝으로 마르크스는 결론적으로 필요한 만큼 생산하고 각자 필요한 만큼 생산하여 노동을 통해 생산 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선한 삶이란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아니하고 의무를 다하면서 나의 행복을 최대한 추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산한 삶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일반서적
강재륜 <윤리학의 역사>
김태길 <윤리학>
김춘태 이대희 <윤리학의 이해>
제임스 레이첼즈 <도덕철학>
유원기 교수님 <철학의 이해>
일반 윤리학 Allgemeine Ethic - 프리도 릭켄(Friedo Ricken) 번역 : 김용해
윤병우(1992) 경희대학교 대학원 고황논집 제11권, <마르크스의 인간관에 관한 고찰>
서강대 출판부, [철학적 인간학, 인간이라는 심연] - 철학과 현실사 / 1998 p.75~76
2) 인터넷 자료
http;//kin.naver.com (동기주의 & 공리주의)
http://blog.naver.com/plug10?Redirect=Log&logNo=100037987775
http://blog.naver.com/mkhno1/120005848406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XX3454
http;//search.daum.net/seatch?t__nil_searchbox=btn&tot&sType
http://blog.naver.com/alahalahalah?Redirect=Log&logNo=50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3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