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동통신 시장의 실태분석 및 한국기업에의 시사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중국 이동통신시장의 실태 및 변화분석 -5C
1. 중국이동통신시장 - China Market
1) 중국 이동통신 시장의 실태
2) 중국 이동통신 기술 및 산업 실태
3) 중국 이동통신 사업자 시장의 실태
4) 중국 이동통신 단말기 시장의 실태
2. 중국 이동통신시장의 변화분석
1) 중국 이동통신 시장 변화
2) 중국의 WTO 가입후 통신시장의 영향
3. 중국의 이동통신 소비자 분석
4. 중국 이동통신시장 진출 외국 경쟁기업
1) 장비제조업체 및 단말기 제조업체(GSM 기준)
2) 통신서비스 업체
5. 중국 이동통신시장 진출 한국기업
1) 장비제조업체, 단말기 제조업체
2) 통신서비스 업체

Ⅲ. 중국내 CDMA 사업추진 현황
1. 중국 장성이동통신의 CDMA 시범망 사업
2. CDMA 상용화 사업
3. CDMA 시스템과 휴대폰 단말기

Ⅳ. 중국 이동통신시장이 한국기업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자칫하면 한국기업끼리 출혈경쟁을 벌일 우려가 있다. 즉, 경쟁과열로 무분별한 가격경쟁 인하라든가, CDMA 기술의 유출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 그 기업에 이익이 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인 안목과 국가적인 안목으로 바라보았을 때, 큰 손실이므로, 이러한 폐해를 막기 위해 국내 기업끼리의 출혈경쟁을 피해야 할 것이다. 국가저인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구를 만드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4. 이동통신 부가가치 산업과 동반 진출을 꾀하자.
이동통신 산업에는 단지 시스템과 단말기만 존재하지는 않는다. 지금 한국에서도 한참 성업중인 단말기 액세서리업과 이동통신에 파생되는 여러가지 부가가치 산업 등이 있다. 그러므로 대중국 이동통신시장에 진출을 꾀하면서 대기업 위주의 시스템과 단말기 산업과 더불어 단말기 액서세리업과 같은 중소기업이 담당할 수 있는 산업이 중국에 동반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강구된다면, 한국 국가 경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5. Localization으로 중국 현지경영자 확보
한중 수교 후로 중국은 한국의 해외 투자 대상국 중 가장 많은 나라 중에 하나로 자리 잡았으나, 한국기업의 대중국 진출 사례에는 성공담보다는 실패담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한국기업이 중국에 대한 이해와 현지화 부족이 그 주된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국적 마인드를 가지고 있는 한국 인재를 양성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이 또한 궁극적인 문제해결의 열쇠는 아니다. 이 보다 더 나은 방법은 현지화를 통한 우수한 중국 현지경영인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중국 현지경영인을 통한 중국 중앙 정부 및 성 시부의 인적, 조직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합리적인 접근을 통해 흔히 말하는 '꽉시'(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주의할 상황은 '꽉시'가 중국 비즈니스의 처음과 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꽉시'는 어디까지 초기 사업의 중요 성공요인 (key success factor)이지, 사업 전반을 성공으로 이끌어 내는 성공요인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와 더불어 중국 현지 경영인을 통한 중국내 인적 네트워크 구축뿐만 아니라, 한국보다 더 복잡하다는 중국 유통 시장의 합리적인 공략과 중국 노동자들과의 원만한 관계 유지도 이끌어내 수 있기에 중국 현지 경영인 확보는 매우 중요한 대중국 진출 전략의 하나이다.
6. 중국 진출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의 지식(Knowledge) 구축
한국 기업의 대중 투자는 지리적인 근접성과 생산 원가의 절약이라는 목표 추구로 지금까지 엄청나게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성공사례 보다는 실패사례가 많다. 실패의 원인에는 현지화 부족과 더불어 대중 진출 사례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지 못 한데 또 한 원인이 있다.
한국 기업 문화 특성상 1등만이 살아남고, 실패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지금까지의 실패사례는 앞으로 한국기업의 대중국 진출은 많은 걸림돌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작업은 성공사례의 발굴 뿐만 아니라, 실패사례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지식화를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을 배우기 위해 값비싼 학습료를 지불하고 아무 것도 남는 것이 없어, 이후 다른 기업이 대중국 사업 진출시 비슷한 원인과 이유로 또 하나의 실패사례를 만드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공사례와 실패사례의 적극적인 발굴로 중국진출의 지식(Knowledge)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신규로 중국시장에 진입하는 기업이 큰 출혈없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대 중국 이동통신 시장의 진출을 위해서 한국기업은 세계적인 브랜드 파워를 가지는 브랜드의 육성이 필요하고 세계 최고 수준인 CDMA 기술과 중국 시장과 맞바꿀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중국 시장 내에서 국내기업끼리의 출혈경쟁을 피하고, 이동통신 부가 산업과 동시에 중국 시장에 진출할 국가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끝으로 Localization으로 중국 경영인을 확보와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중국 진출의 소중한 경험을 지식화 하여 대 중국 이동통신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이끌어 내야 하겠다.
참고문헌
김용준,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경영전략" 현대중국연구 5호, 1998년
김용준, "중국 이동통신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실태조사"정보통신학술 연구과제, 1999년
김용준, "중국 이동통신시장 진출을 위한 중국소비자 연구"(사)정보통신사업 경영전략 공동연구소, 1999년
한중민간경제협의회(1997),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대한상공회의소.
이제경(1997), "용트림하는 중국," 주간매경, 1997년 9월 10일.
박대석(1997), "97 중국 경제개혁과 전망," 전경련.
권해수(1997), "중국의 이동통신 연구개발 현황 및 진출전략"한성대학교 정보통신학술연구.
금희연(1997), "중국인의 라이프스타일",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1997), "중국 소비시장 개척을 위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
"China To Buffer Telecom Industry From Shock of WTO Entry," China Online, Dec. 6, 1999
馬洪(1998), "1997∼1998 中國經濟形勢與展望", 中國發展出版社.
北京中亞廣告有限公社(1998), "北京中亞廣告有限公社 消費者市場分析".
斯立信市場硏究有限公社(1998), "斯立信市場硏究有限公社 消費者調査報告".
센고쿠 다모쓰(1995), "中國人의 價値觀", 을유문화사.
楊德廣(1997), "中國當代大學生價値觀硏究", 上海敎育出版社.
梁曉聲(1997), "中國社會各階層分析", 經濟日報出版社..
王桂新(1997), "中國人口分布與區域經濟發展", 華東師範大學出版社.
中國統計年監(1996, 1997, 1998), 中國統計出版社.
荷淸蓮(1997), "China Problems-現代化的陷穽", 今日中國出版社.
  • 가격3,2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10.0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